• 제목/요약/키워드: Contents of lignin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3초

돈분과 돈슬러리의 성분이 열분해공정에 의한 바이오오일 생산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ig Feces and Pig Waste Mixture Compositions on Bio-oil Production by Pyrolysis Process)

  • ;최홍림;신중두;백이
    • 유기물자원화
    • /
    • 제17권4호
    • /
    • pp.29-35
    • /
    • 2009
  • 바이오매스를 바이오오일로 전환시기키 위하여 오거형의 반응조를 설계, 제작하여 실험하였다. 10.2L의 반응조는 $550^{\circ}C$를 유지하며 Batch식으로 운영하였다. 돈분뇨 혼합물, 돈분 왕겨혼합물, 돈분 톱밥혼합물 등 세 가지 혼합물을 대상으로 주(主) 구성성분인 헤미셀루로즈, 리그닌, 셀루로즈, 단백질, 지질(脂質)등을 화학적으로 분석하였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전섬유소 (holocellulose = hemicellulose + cellulose), 리그닌(lignin)의 함유량이 클수록 바이오오일 생산량은 많았으나, 회분(ash)함량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바이오매스기질을 평가하였으며, 돈분과 왕겨의 상관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돈분과 톱밥의 상관성은 매우 높게 나타났다.

  • PDF

낙엽송(落葉松)(Larix leptolepis Gorden)의 심부재(心腐材) (On the Pith-damaged Wood of Larix leptolepis Gorden)

  • 민두식;이세표;최태호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9권4호
    • /
    • pp.419-423
    • /
    • 1990
  • 낙엽송의 심부후재(心腐朽材) 형성 원인과 성장상태(成長狀態) 및 그의 조성분(組成分) 차이를 구명하기 위한 실험이다. 1. 낙엽송이 정상적인 생장을 한 10년생 까지는 그의 성장율이 32.4% 이었으나 심부피해가 있는 11-13년 사이는 19.4%로 13% 점감하고 있다. 그리고 심부후재 형성은 산화(山火)에 의한 수피(樹皮)의 화상부분(火傷部分)부터 이루어지고 있다. 낙엽송 임지(林地)의 산화피해로 생기는 심부후재로 인한 재적(材積) 손실(損失)은 약 20% 이상이 되고 있다. 2. 조성분에 있어 탄분(炭分) 함유량은 심재가 0.05%, 심부후재부가 0.08%로 변재 0.29%에 비하여 적은데 이러한 원인은 유출성분(抽出成分) 함량 차이에서 오는 것으로 볼 수 있다. Holocellulose 함유량은 54.3%에서 59.3%로 심재, 심부후재부 그리고 변재 사이에 차이가 인정되지 않는다. Pentosan 함유량은 심재 6.3% 및 심부후재부가 6.6%로 변재보다 많았다. Lignin 함유량은 심재 34.4% 보다 심부후재부에서 감소되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목재의 제강도(諸强度)가 열화(劣化)된다고 본다.

  • PDF

한국인 상용 채소류의 식이섬유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Composition of Dietary Fiber in Vegetables)

  • 계수경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28-41
    • /
    • 2014
  • 식이섬유가 인체 내에서 나타내는 중요한 생리 기능은 각 구성 성분들의 함량과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채소를 대상으로 식이섬유 각 성분들의 함량을 분별 측정하고, 열처리 시 변화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각종 채소의 총 펙틴 함량은 건조물 기준으로 0.89~2.75 g/100 g의 범위였으며, 대부분 1~2 g/100 g 수준이었다. 펙틴의 각 분획 별 함량의 경우, 열수 가용성 펙틴 함량은 0.33~0.98 g/100 g, 인산 가용성 펙틴 함량은 0.29~0.81 g/100 g의 범위였고, 염산 가용성 펙틴 함량은 0.30~1.40 g/100 g의 범위로 세 가지 펙틴 분획 중에서 채소 종류에 따른 변이가 가장 컸다. 이상의 세 가지 펙틴 분획의 비율은 각 채소에서 대략 비슷한 수준이었다. 각종 채소의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은 건물 기준으로 총 불용성 식이섬유인 Neutral detergent fiber(NDF)는 11.8~31.9%, Acid detergent fiber(ADF)는 10.9~25.4%, cellulose는 8.8~23.8%, hemicellulose는 0.6~10.6%, lignin는 1.0~5.2% 범위였으며, 특히 고추류에서 총 불용성 식이섬유 함량이 높았다. Cellulose는 총 불용성 식이섬유인 NDF의 63% 정도를 차지하여 본 실험에 사용된 채소들의 경우, 불용성 식이섬유의 대부분이 cellulose로 구성되어 있었다. 가열 방법에 따른 펙틴 함량의 변화에 있어서, 총 펙틴 함량은 가열 처리 시 원료 시료에 비해 감소했으며, boiling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펙틴의 세 분획 중 열수 가용성 펙틴(HWSP) 함량은 증가했고, 비수용성 펙틴인 인산 가용성 펙틴(HXSP)과 염산 가용성 펙틴(HCLSP) 함량은 감소했다. 가열 처리에 의한 NDF, ADF, cellulose 함량의 변화는 원래 시료보다 증가했으며, 이들 성분들의 변화는 cellulose의 함량 변화에 기인했다. 그러나 hemicellulose와 lignin 함량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았다. 총 식이섬유 함량은 신선물 기준으로 1.20~7.11% 범위였으며, 마늘, 우엉, 고추잎 등에서 높았다. 총 식이섬유 함량의 대부분이 불용성 식이섬유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총 식이섬유/조섬유 비율은 1.32~4.00으로 붉은 고추가 가장 낮고, 상치가 가장 높았으나, 채소 종류 간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Characteristics of Wood Meals by Laccase Delignification

  • Kim, MyungKil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31권3호
    • /
    • pp.11-16
    • /
    • 2003
  • On nitrobenzene oxidation of aspen, spruce, and knauf wood meals gave rise to vanilline, syrigaldehyde, p-hydroxybenzoaldehyde, vanillic acid, and other minor oxidation products. The phenolic aldehydes (p-hydroxybenzaldehyde, vanilline, and syringaldehyde) are derived from oxidative degradation of the corresponding 4-hydroxyphenylpropane units and their ethers. The lignin content of knauf wood meals was different as the concentration of NaOH solution and cooking temperature. The lignin contents of aspen, spruce, and knauf wood meals were decreased as laccase treatment. The laccase caused C-oxidation, demethylation, cleavage in phenolic groups and C-C cleavage in syrigyl structures.

혼화제를 이용한 조강콘크리트 배합설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ix Design of Early Strength Concrete using Admixture)

  • 박영신;남성우;박재명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2005년도 봄학술 발표회 논문집(II)
    • /
    • pp.69-72
    • /
    • 2005
  • In this study, it is contents to application on AE water reducing admixture for high early strength, which reduce to construction period for cost down in construction. In experiment result on the kinds of AE water reducing admixture for concrete strength promotion, when passed 60 minutes, while it was happened on lignin and naphthalene system about $30\∼35\%$ that loss related to slump, slump flow and air, but happened about $8\∼10\%$ on polycarboxylic system. And the result of compressive strength tests, when 32 hours passed in polycarboxylic system than lignin and naphthalene system, was showing an increase of 10$\%$. Accordingly, concrete properties was measured to condition change by the addition amount and curing temperature of polycarboxylic system. The required curing temperature to gain 5MPa of compressive strength, which is capable of side form stripping, must keep more than smallest 12. 5$^{circ}C$ when polycarboxylic system is used. As a result, AE water reducing admixture of polycarboxylic system may apply effectively to high early strength concrete

  • PDF

거대억새(Miscanthus sacchariflorus)의 혐기소화를 위한 메탄생산 퍼텐셜 분석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Analysis for Anaerobic Digestion of Giant Miscanthus (Miscanthus sacchariflorus))

  • 유정숙;김창현;윤영만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9-35
    • /
    • 2017
  • BACKGROUND: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ssess a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of giant miscanthus (Miscanthus sacchariflorus) which was a promising candidate energy crop due to a high biomass productivity, in order to utilize as a feedstock for the biogas production. METHODSANDRESULTS: Giant miscanthus was sampled the elapsing drying time of 6 months after harvesting. TS (Total Solid) and VS (Volatile Solid) contents were 94.7 and 90.8%. And CP (Crude Protein), EE (Ether Extracts), and CF (Crude Fiber) contents of giant miscanthus were 1.4, 0.46, and 46.12%, respectively. In the organic composition of giant miscanthus, the NDF (Neutral Detergent Fiber) representing cellulose, lignin, and hemicellulose contents showed 86.88%, and the ADF (Acid Detergent Fiber) representing cellulose and lignin contents was 62.91%. Elemental composition of giant miscanthus showed 47.75%, 6.44%, 41.00%, and 0.28% for C, H, O, and N, respectively, and then, theoretical methane potential was obtained to $0.502Nm^3kg^{-1}-VS_{added}$. Biochemical methane potential was assessed as the range of $0.154{\sim}0.241Nm^3kg^{-1}-VS_{added}$ resulting the lower organic biodegradability of 30.7~48.0%. CONCLUSION: Therefore the development of pretreatment technology of the giant miscanthus was needed for the improvement of anaerobic digestability.

단벌기 순환림 후보 호랑버들 7 클론의 화학적 조성과 에너지 함량 (Chemical composition and Energy contents analysis of Seven Clones of Salix hultenii as short-rotation forestry candidate)

  • 신수정;김용상;연익준;한심희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36-438
    • /
    • 2009
  • To evaluate short rotation forestry candidates, seven clones of Salix hultenii were investigated as focused on chemical compositions and energy contents. There were significant variations in chemical compositions and energy contents among different clones. Variations in hot-water extractives content were 6.6-16.0% and 19.6-25.4% variation in lignin content. In carbohydrate compositional analysis, xylan contents were 7.5-13.1% with variation among different clones. Higher heating values were 17.69-20.02 MJ/kg.

  • PDF

황산 및 수산화나트륨처리가 낙엽송과 백합나무의 주요 화학조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luted H2SO4 and NaOH Treatment on Chemical Composition of Larch and Yellow Poplar)

  • 이수민;이아람;안병준;김용식;양인;조성택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1권4호
    • /
    • pp.358-37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산 및 알칼리 처리가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주요 화학조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H_2SO_4$와 NaOH를 각각 1.0 wt%와 2.0 wt% 수용액으로 제조한 후 국내 주요 수종인 백합나무와 낙엽송에 상온에서 72시간 침지 처리하였다. 리그닌, 주요 구성당, 원소분석 등 화학적 특성 분석을 수행하고 그 결과를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동일한 화학적 처리에도 수종에 따라 95% 유의수준에서 유의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백합나무는 산 처리에 민감한 변화를 보이는 반면에 낙엽송에서는 알칼리 처리에서 유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두 수종 모두에서 glucose보다는 헤미셀룰로오스에 미치는 영향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바이오매스의 에너지량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H/C와 O/C 비율을 이용한 Van Krevelen 다이어그램에서는 산 또는 알칼리 처리 종류에 관계없이 수종에 따라 상반된 결과를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바이오매스 종류에 따라 각기 다른 최적화된 바이오에너지 생산 공정이 필요함을 의미하며, 목재펠릿과 같은 고형 바이오연료 생산의 경우 바이오매스 내 헤미셀룰로오스 및 리그닌 함량 변화로 인하여 내구성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온성 액체에 의한 거대억새 전처리 특성 및 리그닌의 구조적 변화 관찰 (Study on Pretreatment of Giant Miscanthus Using Ionic Liquid and Structural Change of Lignin)

  • 박신영;황혜원;장수경;최인규;최준원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3호
    • /
    • pp.344-354
    • /
    • 2015
  • 이온성 액체를 이용한 거대억새의 전처리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1-ethyl-3-methylimidazolium acetate ([Emim][OAc])와 1-butyl-3-methylimidazolium acetate ([Bmim][OAc]) 두 종류의 이온성 액체로 $90^{\circ}C$, $110^{\circ}C$, $130^{\circ}C$ 세 온도조건에서 전처리를 진행하였다. 반응 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cellulose-rich product (CP)의 수율은 87.2%에서 67.6%로 점차 감소하였으며 ionic liquid lignin (ILL)의 수율은 2.2%에서 9.9%로 증가하였다. CP는 ILL에 비해 탄소함량은 낮았지만, 산소함량은 높게 나타났다. CP의 효소당화 결과 $110^{\circ}C$에서 [Emim][OAc]로 전처리하여 얻은 CP의 당화율이 56.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ILL의 열중량 분석 결과에 의하면 전처리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분해율은 점차 감소하였으며, 최대분해온도는 [Emim][OAc]로 처리한 ILL이 $274{\sim}279^{\circ}C$로 [Bmim][OAc]의 $2701{\sim}294^{\circ}C$보다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전처리 온도가 $90^{\circ}C$에서 $130^{\circ}C$로 증가함에 따라 ILL 내 ${\beta}$-O-4 결합빈도는 [Emim][OAc]의 경우 $2315{\mu}mol/g$에서 $591{\mu}mol/g$으로, [Bmim][OAc]의 경우 $1936{\mu}mol/g$에서 $2478{\mu}mol/g$으로 감소하였다. ILL의 S/G ratio는 [Bmim][OAc]용액으로 $110^{\circ}C$에서 처리하였을 때 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볏짚 발효사료 제조시 과산화수소 전처리 효과 (The Effects of Hydrogen Peroxide Pretreatment on Rice Straw Fermentation for Feed)

  • 최윤희;이상복;김명숙;홍재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326-333
    • /
    • 1994
  • 볏짚의 사료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한 전처리와 섬유소 및 리그닌분해력이 강한 Pleurotus florida 균주로 발효사료를 제조하고 화학성분, 결정도 및 in vitro 소화율을 조사하여 사료적 가치를 검토하였다. P. florida에 의한 볏짚발효시 hemicellulose, cellulose 및 lignin은 각각 22.5%, 11.4%, 28.1% 감소하였고, $H_2O_2$$H_2O_2(pH\;11.5)$ 전처리 후 발효시에는 4% 이하의 저농도에서 감소가 심하였으며 발효기간이 경과할수록 cellulose, lignin 등이 감소하였고 아미노산함량은 무처리 볏짚에 비하여 배양 30일 후에 약 28.9% 증가하였으며 4% $H_2O_2$ 전처리 후 발효시는 35.1% 증가하였다. 볏짚 섬유소의 결정도는 $H_2O_2$ 처리 및 P. florida에 의한 발효처리로 감소하였고 $H_2O_2(pH\;11.5)$ 처리시 증가하였으며 $H_2O_2(pH\;11.5)$ 처리 후 수세시의 잔류볏짚의 결정도는 더욱 증가하였고 P. florida에 의한 볏짚배양 30일 후 in vitro 소화율은 17.1% 증가하였으며, $H_2O_2$ 전처리 후 발효시킨 볏짚은 6% 이하의 저농도에서 소화율 상승효과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