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ct toxicity

검색결과 106건 처리시간 0.019초

SAFETY EVALUATION OF SUNSCREENS (I) ; CORRELATION BETWEEN SUN PROTECTION FACTOR AND SKIN IRRITATION

  • Suh, Soo-Kyung;Kim, Jong-Won;Park, Ju-Young;Seo, Kyung-Won;Park, Chang-Won;Kim, Kyu-Bong;Kim, Kwang-Jin;Kim, Jong-Min;Lee, Sun-Hee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Current Trends in Toxicological Sciences
    • /
    • pp.138-138
    • /
    • 2002
  • In recent years, the safety of sunscreens has been challenged based on the reports of its adverse effect on users; dermatitis, allergic contact dermatitis, photoallergic contact dermatitis.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sun protection factor (SPF) and the safety of sunscreens, we measured in vitro SPF index using homosalate as a standard and examined the toxicity tests on cosmetics; primary and cumulative skin irritation tests, ocular irritation test, and skin sensitization test.(omitted)

  • PDF

CORRELATION BETWEEN SPF INDEX AND SAFETY MARKER IN SUNCREENS

  • Kim, Jong-Won;Suh, Soo-Kyung;Park, Ju-Young;Park, Chang-Won;Seo, Kyung-Won;Kim, Kyu-Bong;Kim, Kwang-Jin;Kim, Jae-Hee;Lee, Sun-Hee
    • 한국독성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독성학회 2002년도 Molecular and Cellular Response to Toxic Substances
    • /
    • pp.195-195
    • /
    • 2002
  • In recent years, the safety of sunscreens has been challenged based on the reports of its adverse effect on users; dermatitis, allergic contact dermatitis, photoallergic contact dermatitis. To investigate a correlation between sun protection factor (SPF) and the safety of sunscreens, we measured in vitro SPF index using homosalate as a standard and examined the toxicity tests on cosmetics; primary skin irritation tests, ocular irritation test, and skin sensitization test.(omitted)

  • PDF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Spearmint Oil의 살충활성 (Insecticidal Activity of Spearmint Oil against Trialeurodes vaporariorum and Bemisia tabaci Adults)

  • 최유미;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23-328
    • /
    • 2004
  • 본 연구는 시설하우스의 주요 해충인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에 대한 spearmint oil의 훈증독성 및 접촉독성을 조사하였으며, gas chromatograph (GC)와 gas chromatograph mass spectrometry(GC/MS)를 이용하여 speamint oil의 주요 구성성분을 분석하였다. 훈증독성 시험 결과, 온실가루이에 대해서 spearmint oil은 $10{\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99.1\%$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와 $1{\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각각 $91.7\%$$41.1\%$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담배가루이에 대해서 spearmint oil은 $10{\mu}L/954mL$ air의 약량처리에서 각각 $100\%$의 살충활성을 나타내었으며, 5와 $1{\mu}L/954mL$ air의 약량에서도 각각 100, $61.3\%$의 높은 살충활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온실가루이와 담배가루이 성충에 대한 spearmint oil의 접촉독성은 살충효과가 $30\%$ 이하로 낮았다. Spearmint oil을 GC와 GC/MS로 분석한 결과, limonene ($16.1\%$), ${\gamma}$-terpinene($13.8\%$), ${\rho}$-cymene($5.8\%$), 3-octanol($6.9\%$), carvone($40.9\%$)이 주요 구성성분으로 나타났으며, 주요성분인 carvone 은 $10{\mu}L/954mL$ air 약량에서 $100\%$의 높은 훈증독성을 나타내었다.

카보퓨란 처리 방법 별 벼멸구에 대한 살충 효과 판별 최적 시기 (Optimal Duration of Determining the Insecticidal Effect of Carbofuran on Nilaparvata lugens Using Different Application Methods)

  • 이시우;정진교;서보윤;박창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4호
    • /
    • pp.351-356
    • /
    • 2017
  • 관주처리에 의한 벼멸구 흡즙 섭식 독성, 잎 침지처리에 의한 접촉독성과 식물체내 침투에 의한 섭식독성, 미량국소처리에 의한 표피 접촉 독성 등, 처리 방법에 따른 카보퓨란의 벼멸구에 대한 살충 작용 특성을 분석하였다. 카보퓨란 관주처리는 시간에 따른 벼멸구의 살충력 변화가 2가지 패턴으로 나타났다. 상대적으로 높은 농도(8~30 ppm)의 처리에서는 급격히 사충율이 올라가다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증가율이 낮아지는 로그곡선의 형태와 낮은 농도(1~4 ppm)의 처리에서는 사충율 증가 패턴이 S 자 모양의 곡선 형태를 보였다. 관주처리 시 높은 농도에서는 처리효과가 즉시 나타나 하루 만에 치사율이 40% 이상 도달하였으나 상대적으로 낮은 1~2 ppm의 농도에서는 처리 5일 후에야 80~100%에 달하는 사충율을 얻을 수 있었다. 침지처리는 사충율이 처리 1일 후 약효가 급격히 증가하고 이 후 증가율이 낮아졌다. 국소처리도 침지처리와 비슷한 경향을 보이나 침지처리와는 달리 처리 후 3일 이후에는 사충율이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약효 최적 조사 시간은 관주처리에서 처리 후 2일 (42시간)이었으며 침지처리와 국소처리에서는 처리 후 1~2일이 약효 조사 적기였다.

어린이용품의 환경유해인자 표시 현황과 독성자료에 대한 연구 (Investigation of Labeling Status and Toxicity Data of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in Children's Products)

  • 이지윤;김지효;문명희;이기영;지경희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5권5호
    • /
    • pp.443-456
    • /
    • 2019
  • Objectives: Children are exposed to various environmental pollutants through contact with children's products. We investigated the KC mark, certification number, and contained substances labeled on children's products through market research and collected the toxicological data on these substances. Methods: The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labeled on children's products (n=6576), including toys (n=2812), personal care products (n=2212), stationary/books (n=1333), and playground equipment (n=219) were examined. For the components that could be identified by CAS number, toxicological data on oral, inhalation, and dermal routes, cancer slope factor, and reference dose were collected. Results: Among the investigated products, KC marks or certification numbers were found for 4557 products (69.3%). Except for cosmetics and cleansers, the material information was labeled on most of the products. The frequency of labeling substance information in toys and stationary/books was low since this information could be omitted if KC certification was obtained. In the target products, 617 substances were identified by CAS number, and polypropylene, acrylonitrile butadiene styrene, and polyester were the most frequently displayed. Chronic toxicity data was found for only 32.4% of individual components, and information on toxicity through the dermal route was also highly limited. Conclusion: Our study suggested that labeling guidelines should be required to identify the environmentally hazardous substances contained in children's products. In addition, the toxicological data on many ingredients in children's products were insufficient. The data gap for toxicity data should be filled for future risk assessment.

멸구$\cdot$매미충의 종류에 따른 살충제의 선택독성 (Selective Toxicity of Insecticides to Plant-and Leaf-hoppers)

  • 최승윤;이형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6
    • /
    • 1976
  • 본 시험은 애멸구, 흰등멸구, 벼멸구 및 끝동매미충을 공시하여 몇 가지 수도해충 방제용 살충제의 선택독성을 검토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유기인계 살충제로서 Diazinon $(34\%\; 유제 3\%\; 입제)$을 공시하였고 Carbamate계 살충제로서 MPMC$(Meobal 50\%\; 수화제)$, BPMC $(Bassa 50\% 유제)$, Carbofuran (Curator. $3\%$ 입제)을 공시하였다. 유제와 수화제는 유묘의 침지에 의한 접촉법으로 실시하였고 입제는 Pot를 사용하여 수면처리에 의하여 행하였다. 1. 유묘침지시험에 있어서 Diazinon MEP, PAP제는 벼멸구에 대한 살충력이 현저이 낮었고 MEP제는 끝동매미충에 대해서도 살충력이 낮었으나 MPMC제는 네 가지 공시충에 대하여 선택독성이 비교적 적었다. 끝동매미충에 대한 MEP제의 선택독성을 제외하고는 애멸구, 흰등멸주, 끝동매미충에 대한 살충력은 보다 높아 선택독성을 인정할 수 없었라. 재차 시험에 있어서도 유기인제인 Diazinon, MEP 및 PAP는 벼멸구에 대하여 살충력이 심히 낮었으나 Carbamate계인 BPMC, MPMC는 살충력이 좋았다. 2. 입제의 수면처리시험에서도 Carbamate계 살충제 Carbofuran은 애멸구, 흰등멸구, 벼멸구, 끝동매미충에 대하여 비교적 높은 살충제을 보였으나 유기인계 살충제 Diazinon은 벼멸구에 대하여 살충력이 심히 낮었다. 3. 제제의 형태에 상관없이 유기인계 살충제는 Carbamate계 살충제에 비하여 멸구$\cdot$매미충의 종에 따른 선택독성이 거의 없었다.

  • PDF

흰개미 가해 목조건축물의 급속 방제를 위한 분말형 약제(Termite Dust) 평가 기준 연구 (Study on the Evaluation Criteria of Termite Dust for Rapid Control of Wooden Structures Damaged by Termites)

  • 임익균;정용재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7-235
    • /
    • 2019
  • 국내에서는 목조건축물의 흰개미 방제를 위하여 여러 방제 방안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목부재를 내부를 가해하고 있는 개체에게 빠르게 독성 물질을 접촉시킬 방법이 없어 방제 기간 장기화에 따른 목조건축물의 손상을 지켜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이에 목부재에 직접적인 천공을 실시하여 내부 개체에게 직접적으로 독성물질을 접촉 전이시켜 빠른 방제 효과를 일으키는 분말형 약제의 국내 도입을 위한 실내 평가 기준 연구를 수행하였다. 먼저 국내 서식 흰개미에 대한 방의 효력의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하여 접촉 독성, 전이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접촉 독성 평가 결과 3종의 약제 모두 접촉 후 24시간 이내 100% 사멸이 확인되었으나, 아치사 단계로의 전이 시간에는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한 전이력 평가 결과, 1:9, 1:25 비율 조건에서는 사멸율이 점차 감소하였으나, 약제의 종류에 따라 감소율의 차이가 확인되었다. 이와 더불어 약제 분사 시 목부재 천공의 압축강도 변화 평가를 실시한 결과, 대조군 및 1~3회 천공 조건 간측정값의 차이가 5% 이내로 나타나 목재의 압축 강도에는 큰 영향을 끼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분말형 약제의 선정 기준 및 평가 방안과 처리법의 안정성을 평가하여 향후 국내 목조건출물의 흰개미 급속 방제를 위한 해당 방안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지중 내 TPH, Phenol의 확산방지를 위한 선택적 차수재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electively Block Barrier for Prevent the Spread of TPH and Phenol in the Ground)

  • 임호진;조우리;오승진;김수희;이재영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1-7
    • /
    • 2024
  • 본 연구에서는 지중 내 오염물질(TPH, Phenol)의 확산 방지를 위해 오염 발생시에만 선택적으로 차수성능을 발현하는 차수재를 제조하고자 하였다. 선택적차수재의 구성물질로는 주문진규사, 벤토나이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스필하운드 마린을 사용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구성물질들의 활용가능성을 평가하기 위해 기초 특성 및 환경유해성을 확인하였으며 오염물질과의 접촉 24시간 후 변화되는 투수특성을 비교하여 차수재로서 사용가능성을 확인하였다. 각 구성물질의 pH는 일반 지하수 pH 범위와 유사하였으며 독성특성 및 유해물질 용출가능성 분석결과 기준치 이하의 함량을 보여 환경유해성은 없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오염물질 접촉 전‧후 투수계수를 비교하였을 때, 접촉 전 α × 10-3cm/sec 내외의 투수계수가 오염물질과 접촉 이후 α × 10-6cm/sec로 감소된 결과를 보여 차수재의 비오염 상황에서는 투수성과 오염발생시 차수성능 발현을 확인할 수 있었다.

Development of human tumor necrosis factor-α muteins with improved therapeutic potential

  • Jang, Seung-Hwan;Kim, Hyo-Jin;Cho, Kwang-Hwi;Shin, Hang-Cheol
    • BMB Reports
    • /
    • 제42권5호
    • /
    • pp.260-264
    • /
    • 2009
  • Tumor necrosis factor-$\alpha$ (TNF-$\alpha$) exhibits cytotoxicity towards various tumor cells in vitro and induces apoptotic necrosis in transplanted tumors in vivo. It also shows severe toxicity when used systemically for the treatment of cancer patients, hampering the development of TNF-$\alpha$ as a potential anticancer drug. In order to understand the structure-function relation of TNF-$\alpha$ with respect to receptor binding, we selected four regions on the bottom of the TNF-$\alpha$ trimer that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receptor and carried out mutagenesis studies and computational modeling. From the study, various TNF-$\alpha$ muteins with a high therapeutic index were identified. These results will provide a structural basis for the design of highly potent TNF-$\alpha$ for therapeutic purposes. By conjugating TNF-$\alpha$ muteins with a high therapeutic index to a fusion partner, which targets a marker of angiogenesis, it could be possible to develop TNF-$\alpha$ based anticancer drugs.

화학물질에 대한 직업적 노출기준의 표기 항목 비교 (Comparison of Notation Items for Chemical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 피영규;김승원;하권철
    • 한국산업보건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26-235
    • /
    • 2020
  • Objectiv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signs and notations of skin absorption, carcinogenicity, germ cell mutagenicity, and reproductive toxicity in the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of Korea and of other advanced countries. Methods: Information on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in Korea, the USA, the UK, Germany, and Japan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Internet, and items marked as carcinogenicity and skin absorption were compared by country. Results: Legal occupational exposure limits have been greatly simplified. However, in the case of HSE WEL, skin absorption, carcinogenicity classification, sensitization, and in the case of DFG MAK, skin absorption, carcinogenicity, pregnancy risk group, germ cell mutagenicity, airway and skin sensitization, photo contact sensitization, and vapor pressure were provided. Conclusions: It is desirable to indicate the carcinogenicity and skin absorption within permissible limits, and to include information on critical effects in chemical substance exposure limits to uphold the right to know of industrial hygienists and workers in Korea. It is also necessary to clarify the precautions, limitations and protections for skin absorp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