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tact Binary

검색결과 105건 처리시간 0.028초

접촉쌍성 V523 Cas의 측광학적 관측과 분석 (PHOTOMETRIC OBSERVATIONS OF THE CONTACT BINARY SYSTEM V523 CASSIOPEIAE)

  • 정장해;김천휘;이용삼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3권3호
    • /
    • pp.177-188
    • /
    • 2006
  • 소백산 천문대의 61cm 망원경과 2K CCD 카메라로 2003년 1월 6일부터 24일까지 5일간 WUMa형 접촉쌍성 V523 Cas를 측광판측하여 총 920개의 관측점(${\Delta}B$: 230점, ${\Delta}V$. 230점, ${\Delta}R$: 230점, ${\Delta}I$: 230점)을 얻었다. 우리의 관측점으로부터 9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주극심: 5개, 부극심: 4개)을 산출하였다. 2004년도 Wilson-Devinney(WD) 쌍성 모형으로 우리가 얻은 새로운 BVRI 광도곡선과 Rucinski et al.(2003)의 시선속도 곡선을 결합하여 분석함으로서 V523 Cas의 제 물리요소를 새롭게 산출하였다. 광도곡선에 나타난 작은 비대칭을 온도가 높은 주성의 광구 표면에 차거운 흑점과 반성에 뜨거운 흑점을 가정하여 설명하였다.

영상처리기법을 이용한 분무액적 크기의 측정 (Spray droplet size measurement using image processing technique)

  • 김인구;이상용
    • 대한기계학회논문집
    • /
    • 제12권5호
    • /
    • pp.1121-1129
    • /
    • 1988
  • 본 연구에서는 oil-bath를 이용한 종래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사진으로 부터 분무액적의 수와 크기를 자동적으로 측정하는 방법을 시도하였다.특히 측정을 효과 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한 영상에서 비교적 맣은 분무액적을 측정하는 방법과 붙어있는 액적들이나 이물질 등을 걸러내는데 중점을 두었으며, 아울러 본 연구를 통하여 설정 된 측정방법의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SMMs을 이용한 고분자막의 표면개질과 이의 투과증발분리 연구 (Surface Modification of 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s using Surface Modifying Macromolecules (SMMs) and Their Application to Pervaporation Separation)

  • 임지원;이병성;김대훈;이보성;윤석원;임현수;문고영;남상용;변홍식
    • 멤브레인
    • /
    • 제18권3호
    • /
    • pp.206-213
    • /
    • 2008
  •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Poly vinylidene fluoride, PVDF) 막을 고분자(Surface Modifying Macromolecules, SMM) 첨가제를 사용하여 표면 개질 하였다. 표면 개질된 PVDF 막의 제조는 0에서부터 2 wt%까지 SMM의 다양한 농도로 제조되었으며, 사용된 SMM으로써는 Zonyl BA-L을 이용하였다. 제조된 막을 이용하여 주사 전자 현미경법(SEM)과 접촉각 측정(Contact angle)을 하였고, 투과증발(Pervaporation)공정을 이용하여 물-에탄올 계의 분리실험을 통해 특성 평가를 하였다. 그 결과 SEM image를 통하여 SMM이 PVDF막 표면에 층을 형성하였음을 알 수 있었고, 접촉각은 기존의 PVDF 막 보다 SMM을 2 wt% 첨가하였을 때 $8^{\circ}$ 증가한 것으로 보아 소수성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물-에탄올 계에 대한 투과증발 실험은 다양한 조업온도별(50, 60, $70^{\circ}C$)로 수행하였으며, Zonyl의 함량이 PVDF 대비 1, 2 wt% 함유된 막을 사용하였으며 원액의 조성은 무게비로 물 10, 20, 50, 100%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물 : 에탄을 = 10 : 90 조성, 조업온도 $50^{\circ}C$에서 선택도 287과 투과도 5.3 $g/m^2hr$를 PVDF/2 wt% Zonyl BA-L 막이 보여주었다.

W UMa형 접촉쌍성 AB And의 주기변화 (PERIOD CHANGE OF W UMa TYPE CONTACT BINARY AB And)

  • 진호;한원용;김천휘;이재우;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2호
    • /
    • pp.242-250
    • /
    • 1997
  • W UMa형 접촉쌍성 AB And의 BVR CCD 측광 관측을 1994년 9월부터 1996년 10까지 4일간 수행하여 4개의 새로운 극심 시간을 결정하였다. 이 극심 시각과 이제까지 발표된 모든 극심 시각을 분석하여 AB And의 주기변화의 양상을 연구하였다. AB And의 주기변화를 sine 함수와 같이 규칙적으로 변한다고 가정하여, 관측된 극심 시간을 가장 잘 맞추는 광도 요소를 구하였다. 이 광도요소의 sine 항으로부터 계산된 AB And의 공전주기 변화는 약 0.059일의 진폭으로 약 92년 주기로 규칙적으로 변화하고 있다. 그러나 가장 최근에 관측된 이 연구의 극심 시각들은 이 광도요소에서 예측한 극심 시각들보다 다소 크게 나타나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AB An의 공전주기가 sine 함수 외에도 포물선 형태로 변한다고 가정하고 관측된 극심 시각을 가장 잘 맞추는 광도요소를 구하였다. 이 광도요소의 이차항으로 계산된 AB And의 공전주기는 100년에 약 0.73초만큼 영 년 증가하는 동시에, sine 항으로부터 약 62.9년 주기와 0.024일의 진폭으로 규칙적으로 변화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10년 이내에는 AB And의 공전주기는 sine 항만을 고려하면 주기 감소를 해야하고, 이차항까지 고려하면, 주기 증가가 예측되므로, AB And의 주기변화에 대한 명확한 해답을 위해서 지속적인 관측이 요구된다.

  • PDF

W UMa형 접촉쌍성 SS ARIETIS의 공전주기 변화 (PERIOD CHANGES OF W UMa TYPE CONTACT BINARY SS ARIETIS)

  • 김천휘;한원용;윤재혁;나일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4권1호
    • /
    • pp.44-58
    • /
    • 1997
  • 1996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열흘간 W UMa 형 접촉쌍성 SS Ari의 BVR CCDD 측광관측을 수행하였당. 이 관측으로부터 여덟 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결정하였다. 이 극심시각과 발표된 모든 극심시각을 분석하여 SS Ari의 궤도공전주기의 변화 진폭은 약 0.053일이며, 그 주기는 약 58년이다. 이 변화의 원인을 1)제 3전체에 의한 광시간 효과 2) 한 성분별에서의 주기적 자기활동에 이한 형상 변화 효과란 두 가지 관점에서 조사하였다. 전자로 해석할 경우 제 3 천체의 질량은 약 $1.3M_{\odot}$인데, 존재한다면, 백색왜성이나 쌍성일 가능성이 높다. 분광관측으로 얻은 SS Ari계의 시스템 속도는 이를 뒷받침하는 것 같다. 후자로 해석할 경우, 자기활동이 심한 별은 주성이다. 이때 이론적인 주성의 밝기 변화 요구량은 $\pm0.^m08$이다, 그러나. 관측자료의 부족으로 이를 검증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현재의 관측자료를 가지고, 두 해석 중 어느 것이 바른 해석인지를 결론지을 수 없다. 또한, SS A갸의 공전주기의 변화에는 위의 변화 위에 약 $0.^{d}0.01$의 작은 진폭을 갖고 약 14년의 주기적 변화가 겹쳐 있다. 이 변화의 원인에 대해서도 아직 명확히 결론을 내릴 수 없다.

  • PDF

44i BOO의 자외선 방출연구 (UV LINE EMISSIONS OF 44i BOOTIS)

  • 한동주;김용기;한원용;이우백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5권2호
    • /
    • pp.335-340
    • /
    • 1998
  • IUE 저 분산 관측자료를 가지고 W-UMa 형 별인 44i Boo의 자외선 광도곡선을 완성하였다. 채층과 전이영역으로부터 나오는 방출선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서 CI, CII, CIV, SiIV, Hell 선의 방출선 세기를 계산하였다. CIV 방출 선이 가장 강한 방출을 보였으며, CII, Hell, CI, SiV의 순서로 방출선의 세기가 관측되었음이 확인되었다. 또한 방출선의 세기가 주기적으로 변하고 있음을 확인하였고, 모든 방출 선들이 위상 0.2와 0.8부근에서 상대적으로 강한 방출 선을 보인다. 이는 44i Boo의 표면에서 채층 및 전이영역의 활동성으로 인해 자외선 방출이 불 균일하게 나오고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해석할 수 있다. 채층 활동의 변화로 인해 관측시간이 서로 다를 때 자외선 방출선의 변광 형태도 달라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 PDF

W UMa형 식쌍성 AK Herculis의 측광학적 연구 (PHOTOMETRIC STUDY OF THE W UMA TYPE ECLIPSING BINARY AK HERCULIS)

  • 박성홍;이용삼;정장해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16권1호
    • /
    • pp.21-30
    • /
    • 1999
  • 소백산 천문대에서 1997년 2월부터 1998년 3월까지 총 3일 밤 동안 VRI 필터를 가지고 AK Her에 대한 CCD 측광관측을 수행하여 얻은 관측점의 수는 V는 236점, R은 198점, I는 197점이다. 관측 기간 동안 주극심과 부극심 시각을 각각 1개씩 관측하였으며, 우리의 관측자료를 가지고 VRI 광도곡선과 (O-C)도를 만들었다. Wilson-Devinney 방법으로 우리의 광도곡선을 분석한 결과 AK Her는 접촉형 (모드 3)의 경우는 해를 구할 수 없었고, 나머지(모드2, 4, 5)에 대해서는 접촉형에 가까운 분리형 또는 반분리형이라고 할 수 있었다. 우리의 최근자료를 가지고 만든 (O-C)도에서 AK Her 공전주기는 Borkovits & Hegedus의 예상과는 다르게 1990년도 이후 증가하는 변화가 나타났다.

  • PDF

The Photometric Analysis Of The W Subtype Contact Binary EK Comae Berenices

  • Song, Mi-Hwa;Kim, Chun-Hwey;Lee, Jae Woo
    • 천문학회보
    • /
    • 제42권2호
    • /
    • pp.64.1-64.1
    • /
    • 2017
  • 접촉쌍성 EK Com은 0.2667일의 짧은 주기를 가진 만기형 식쌍성으로 광도곡선의 변화로 인해 연구자마다 이계의 하위 유형을 다르게 언급하여 하위유형의 혼동이 있는 천체이다. 우리는 소백산천문대에서 2009년 5월 VR 필터로, 2013년 2 ~ 5월 사이 BVRI 필터로, 2016년 1 ~ 4월 사이 R 필터로 CCD 측광 관측하여 3개의 새로운 광도곡선을 획득하였다. 우리의 관측 자료와 SuperWASP의 공개된 자료로부터 40개의 새로운 극심시각을 산출하였다. 이 극심시각을 포함하여 155개의 극심시각을 여러 문헌에서 수집하여 주기 연구를 수행한 결과, EK Com의 공전주기는 영년 주기 증가와 더불어 8.2년의 주기적인 변화가 겹쳐 변화함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주기 변화 원인에 대하여 살펴본 결과, 영년주기변화는 질량이 작은 별에서 큰 별로의 질량이동에 의하여 일어나고, 주기적인 변화는 질량이 큰 주성의 자기 활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을 보였다. Wilson-Devinney code를 이용한 광도곡선 분석을 통하여 EK Com은 개기식이 부식에 있는 하위 유형 A라기 보다 주식에 있는 W형에 속하며, 모든 광도곡선에서 1개의 Hot spot과 1개의 Cool spot을 가진 모형이 가장 관측치를 잘 설명한다. W UMa형 별들의 HR도, 온도비, 질량의 그래프에서 EK Com은 W형 Group들이 있는 위치에 존재한다. 이는 광도곡선에서 유추한 EK Com의 하위 유형과도 일치한다.

  • PDF

다중 영상처리용 홀로그래피 광학소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Holographic Optical Element for Multiple Image Processing)

  • 김남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17권12호
    • /
    • pp.1353-1361
    • /
    • 1992
  • 가볍고 박막이며 자유공간 상호연결이 가능한 홀로그래피 광학소자 (HOE)를 제작하였다. 특히 광연결 및 다중영상처리를 위해서는 고효율이어야 하며 같은 파워의 스폿빔이 형성되어야 한다. 2차원 2진 위상구조를 갖는 위상격자를 찾기위해 modified Newton방식을 기초로 컴퓨터 시뮬레이션하여 비선형 방정식의 해를 구하였다. 플로터를 이용하여 원화를 그린다음 축소하여 마이크로 필름에 정보를 옮겼다. 마이크로 필름과 은염 홀로그램 필름을 접촉복사시켜 위상형 회절격자를 만들어 $5{\times}5$ 다중 스폿빔을 형성시켰다. 중앙 0차 빔을 제외하고는 균일한 세기를 가졌으며 표백처리된 홀로그래피 광학소자는 고효율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전구체 박막 증착법을 이용한 CuInSe2 박막 합성 및 결정화 메커니즘 분석

  • 이동욱;최영우;용기중
    • 한국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진공학회 2011년도 제41회 하계 정기 학술대회 초록집
    • /
    • pp.367-367
    • /
    • 2011
  • 태양전지에서 광흡수층으로 널리 쓰이는 CuInSe2은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고 20%대의 고효율을 기록하며 큰 관심을 받고 있다. 하지만 증발법 및 스퍼터링 등의 기존 진공, 고온 기반 공정 기술은 원천적인 공정비용 절감이 어렵고, 고가의 희귀원소인 In 등의 원료 활용도가 떨어져 실험실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최근 공정 비용을 최소화와 원료 활용을 극대화를 통해 고효율 CIGS 박막형 태양전지를 제조하기 위해 비진공 방식의 전구체 박막 코팅 및 열처리를 통한 광흡수층 제조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본 연구는 doctor-blade coating을 이용하여 전구체 박막을 기판 위에 형성하고 열처리 온도에 따른 박막 물성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박막 형성 메커니즘을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또한 합성된 박막의 전기적, 광학적 특성을 분석하여 태양전지 응용 가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SEM, XRD, TGA 분석을 통해 Cu, In, Se 전구체들이 각각 binary phase, 즉, Cu2-xSe 및 In2Se3의 metal chalcogenide을 형성하고, 고온에서 서로 결합하여 CuInSe2로 결정화 되는 현상을 관찰하였다. 또한 합성된 CIS 박막은 근적외선 및 가시광 영역에서 높은 광흡수도를 보였으며, 전기적으로 Mo 전극과 ohmic contact을 이룸으로써 CIGS계 태양전지의 광흡수층으로의 적합성을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