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truction Management (CM)

검색결과 442건 처리시간 0.03초

CM정책에 대한 CM기업의 인식과 평가에 관한 연구 (Perception and Evaluation of Construction Management Firms toward Government Policies for Construction Management)

  • 조유경;김한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5권1호
    • /
    • pp.62-69
    • /
    • 2014
  • 정부정책은 시장과 기업에 많은 영향력을 행사하기 때문에 정부정책에 대한 평가는 중요한 현안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CM정책을 제시하는 대표적인 자료는 건설산업기본계획과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으로 이를 통해 정부의 CM정책을 이해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3차 건설산업기본계획과 제4차 건설기술진흥기본계획에 제시된 CM정책항목을 중심으로 CM정책에 대한 CM기업의 인식과 평가를 Gap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중요도와 실행도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주요 특징 및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주요 결과는 정부가 제시한 CM정책항목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CM기업이 인식하고 있는 반면 실행도에 대해서는 낮은 평가를 내리고 있다는 것이다. 향후 정부는 새로운 CM정책항목의 발굴보다는 이미 발굴되어 있는 CM정책항목의 이행전략과 성과점검에 보다 노력을 경주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방자치단체 CM사업 특징 분석에 관한 연구 : CM사업 채택 동기를 중심으로 (Characteristics of CM Projects in Local Government Client's motivation in selecting the CM procurement route)

  • 송연주;김한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4년도 제5회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433-436
    • /
    • 2004
  • 국내 건설산업에서 건설사업관리(CM)의 활성화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민간 및 공공부문에서 CM사업이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공공부문의 CM사업은 강제사항이 아닌 임의사항인데도 불구하고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한 특징이다. 공공부문 중 특히 지방자치단체 CM사업이 중앙정부에 비해 활발하게 발주되고 있으며,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7년간 발주된 지자체 CM사례를 채택 동기의 관점에서 분석하여 주요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다. 지자체 사례를 중심으로 CM채택 동기에 대한 분석을 통해 특징과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은 공공 발주자 CM수요의 특징을 이해하고 공공부문에서 CM활성화의 방향성을 모색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 PDF

주제분류코드에 의한 국내외 건설사업관리(CM) 기술 분야별 연구 현황분석 (Analysis of Research Trend by Technical Field of Construction Management Using Subject Classification Code)

  • 강인석;박호병;김민지;문현석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48-58
    • /
    • 2010
  • 건설사업관리(Construction Management, CM)제도의 적용확대와 함께 관련 학계 및 연구계에서도 CM의 세부분야별로 활발한 연구들을 진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연구 성과물들이 양산되고 있다. 지속적인 CM연구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최근 국내외 연구 주제들의 동향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로써 국내외의 취약 연구 분야와 관련 기술을 유추할 수 있다. 본 연구는 CM의 주요 기술 분야별 주제분류 코드체계를 구성하여 각 주제별로 최근 5년간 2,000여편의 국내외 관련 논문을 대상으로 세부 분야별 연구동향을 분석하고 있다. 분석결과 국내외 CM연구 분야별 강점 및 취약분야와 최근의 연도별 연구동향 추이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CM분야의 연구 활성화를 위한 추진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CM업무 고도화를 위한 전문가 지식관리 시스템 개발 방향 및 전략 (Direction and Strategy of Experts-Knowledge Management System Development for Enhancing CM Services)

  • 김선국;김아영
    • KIEAE Journal
    • /
    • 제7권2호
    • /
    • pp.63-70
    • /
    • 2007
  • Construction managers who are placed on the top of the construction production organization should exhibit its best knowledges concerning all aspects and control related members at every position properly. In case of CM firms in developed countries, they are equipped with a practical system of technology and management knowledge, and efficiently use the knowledge not only for novices but also experts. However, the domestic CM firms which are now at the lower level than those in developed country are not supported with the sufficient and systematic knowledge for CM tasks due to various reasons. Therefo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direction and strategy for the development of an experts-knowledge management system to enhance the construction productivity at the viewpoint of CM firms which conduct, manage and supervise various tasks of construction projects. Domestic CM firms would play a great role to enhance productivity and secure competitive advantage of project management as much as the firms in developed countries if experts-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supported by a computerized system.

${\cdot}$ 소규모 건축공사의 선택적 건설사업관리 적용 방안 (Application of Selective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s to Private Small-Medium Construction Projects)

  • 김성환;문경직;우유미;구교진;현창택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05-309
    • /
    • 2006
  • 1996년 국내에 건설사업관리 제도가 도입된 이래 조속한 제도의 정착과 활성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CM 적용은 건설산업제도의 변화와 선진화에 대한 기본적인 지표라고 볼 수 있다. 이는 공공건설의 경우 제도에 의한 CM 적용이 가능하지만, 민간건설의 경우 실질적인 필요성과 타당성에 대한 이해 없이는 성공적인 정착과 활성화를 기대하기 어렵다. 이에 따라 중소규모, 민간건설 사업관리를 중심으로 CM을 적용한 사례를 고찰하여 그 과정에서 나타난 효과와 문제점을 검토하여 실질적으로 적용 가능한 업무 항목표를 만들어 중소규모 민간공사에 적용 방안을 찾고자 한다.

  • PDF

국내 공공부문 시공책임형 CM 사업자 선정을 위한 평가방식에 관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the Evaluation Method for the Selection of Construction Responsible CM Operators in Korea)

  • 박보성;이태형;방홍순;김옥규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8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98-299
    • /
    • 2018
  • The construction liability type CM has been introduced in the form of a pilot project through public institutions since 2017 since it was introduced in the term of construction responsibility typ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in the Basic Law of Construction Industry in 2011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constitution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and strengthening global competitiveness. Through the introduction of construction-responsible CM, the government intends to change the paradigm of the overall construction industry, including design and construction, construction costs, disputes between stakeholders, and transparency of business. In this regard, the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evaluation methods on the bidding guide that public institutions (LH) are currently using to select companies in order to lay the foundations for successful construction of construction-responsible CM ordering methods.

  • PDF

건설사업관리 제도개편에 따른 기업의 대응방안에 관한 연구 - 건설기술진흥법 시행과 관련하여 - (The Actions by Enterprise along the Reforming Construction Management Regulations)

  • 신현정;신규철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4년도 춘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54-55
    • /
    • 2014
  • The structure of construction management service in the Construction Technology Management Act has changed recently. The new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becomes effective to support and promote the development of related construction industries and construction technology for domestic and overseas markets.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analyze the main contents of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and to investigate corporate status, problems, and issues. The research is conducted to improve as reorganization of the CM service system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experts. Accordingly the research is to derive countermeasures of CM enterprises. The research results are presented in the following categories of contract awarding, project management, human resource management, general administration and staff education management as countermeasures of enterprises.

  • PDF

'가톨릭중앙의료원 새병원 및 성의회관 건립공사'CM수행사례 소개 (A Case Study of the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Applied to New Catholic Medical Center Construction Project)

  • 김효성;박영순;김찬중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7-44
    • /
    • 2006
  • 가톨릭중앙의료원 새병원 건립공사는 건설에 대한 전문적인 지식이 부족한 발주처를 대신하여 병원기획 단계부터 개원에 이르기까지 CM사가 발주처의 대리인으로 프로젝트 전 과정을 관리하는 대형병원건립 프로젝트이다. 본 사업은 병원건립 프로젝트에서 국내최초로 CM을 도입한 사례로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즉, 건설본부조직을 구성하여 많은 인원을 병원의 직원으로 고용하지 않고서도 대형 프로젝트를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 최초의 사례이다. 이에 본 사례연구에서는 CM사가 참여하면서 Pre-Con.단계에서 적용된 건설사업관리 업무를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병원공사에 있어서 CM 도입의 필요성을 검토하고, CM적용 효과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병원공사에서의 CM의 확대 적용에 기여하고자 한다.

  • PDF

AHP 기법을 이용한 건설사업 단계별 CM업무 체크리스트 개발 (Development of Construction Management Performance Checklists Using Analytic Hierarchy Process(AHP))

  • 이태식;전영준;김영민;곽동구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6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342-346
    • /
    • 2006
  • 건설 산업이 점차 전문화되고 복잡화 되어감에 따라 참여 조직들이 증가하게 되었고, 사업자체의 대형화 추세로 인해 건설사업관리(CM)의 필요성은 날로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요성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선진국에 비해 성과측정과 평가를 통한 활성화는 매우 부진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AHP 기법을 이용한 건설사업 단계별 CM 업무 체크리스트는 CM 업무를 사업 진행 단계별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 수행업무의 실행 정도를 체크하고 이를 통한 건설 프로젝트의 성공적 완수가 가능하도록 효율적인 CM 업무가 수행되도록 하는 역할에 있다. 본 연구의 최종결과불인 건설사업 단계별 CM업무 체크리스트를 건설사업관리자 및 발주자, 설계자, 시공자 등 모든 건설 프로젝트의 이해관계자가 활용한다면, 건설 산업에 있어서의 사업관리 업무 효율성 증대 및 건설 프로젝트의 목적에 부합되는 최종 결과물 산출이 가능할 것이다.

  • PDF

민간 프로젝트에서의 발주방식에 따른 CM효과 분석에 관한 사례연구 -전통적 방식과 발주자형 CM을 중심으로- (A Case Study on the CM Effect Analysis According to Project Delivery Methods in Private Projects)

  • 이희창;김영일;김용수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3년도 학술대회지
    • /
    • pp.278-281
    • /
    • 2003
  •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 사업관리를 적용하여 진행되었던 민간프로젝트 중 전통적 방식과 발주자형CM의 사례를 대상으로 CM 효과를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진행은 문헌을 통한 이론적 고찰과 사례분석을 통하여 이루어 겼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도출된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전통적 방식과 발주자형 CM을 종합할 때 업무 분야에서 발주자형 CM이 매우 우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발주자형CM은 기획관리, 설계관리, 품질관리가 대체적으로 우수하게 나타났으며, 전통적 방식예서는 상대적으로 모든 업무분야에서 미흡한 점으로 분석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