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servation site

검색결과 914건 처리시간 0.027초

완주 신풍유적 출토 고려시대 청동생산 부산물의 재료학적 특성 (The Study on Material Characteristics of the By-Products of the Production of Bronze during the Goryeo Dynasty Excavated from the Sinpung Site, Wanju, Jeollabuk-do, South Korea)

  • 최남영;조남철;강병선
    • 보존과학회지
    • /
    • 제35권5호
    • /
    • pp.392-402
    • /
    • 2019
  • 전북 완주 신풍유적 출토 고려시대 슬래그와 송풍관을 대상으로 신풍유적의 야동기술(冶銅技術)성격을 확인하고, 납 원료산지를 추정하기 위해 납동위원소비를 실시하여 알아보았다. 성분분석 결과, Cu-Sn-Pb 삼원계 합금하는 과정에서 비롯된 슬래그와 송풍관으로 해석되었다. 금속현미경과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energy dispersive spectrometer) 분석결과, 동괴와 주석괴에 방연석을 첨가하여 완제품 제작을 위한 중간소재를 생성하는 합금단계에서 발생한 부산물로 추정된다. 납동위원소비분석 결과, 한국 남부 Zone III 지역의 광산에서 채굴된 방연석을 사용하여 합금한 것으로 판단된다. 송풍관은 송풍관의 외측으로 갈수록 Mullite가 검출되어, 1,000℃ 내외에서 조업이 이뤄졌을 가능성이 있다.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 출토 조선시대 토기의 재료과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해석 (Material Characteristics and Clay Source Interpretation of Joseon (the 15th to 17th Century) Potteries from Ssangyongdong Yongam Site in Cheonan, Korea)

  • 김란희;이찬희;윤정현
    • 보존과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7-20
    • /
    • 2012
  • 이 연구에서는 천안 쌍용동 용암유적에서 출토된 조선시대(15~17세기) 토기에 대한 재료과학적 특성과 원료의 산지를 해석하였다. 토기가마 폐기장과 공방지에서 수습한 토기시료는 회색 및 적색계열로 다양한 형태와 소성온도에 따른 굳기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유사한 기질특성을 보인다. 또한 모든 토기와 공방지 토양은 산출상태, 광물조성 및 지구화학적 거동특성이 상당히 유사하나, 유적지 주변에서 수습한 토양은 이들과 상이한 재료학적 특성을 가진다. 그러나 식질의 공방지 토양은 용암유적 조선시대 토기제작에 실제 이용된 원료점토로 판단된다. 이 용암유적 조선시대 토기 중 연질토기는 운모의 상전이 온도인 $900^{\circ}C$ 전후, 경질토기는 뮬라이트와 사장석의 생성과 소멸온도를 기준으로 $1,000{\sim}1,100^{\circ}C$의 소성온도를 경험한 것으로 해석된다.

천안 도림리 백제시대 분묘 유적 석재의 암석기재적 특성과 원산지 연구 (A Study on Petr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rovenance for the Rock Properties from Dorim-ri Tombs of Baekje Kingdom in Cheonan, Korea)

  • 이찬희;조지현;박성미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477-490
    • /
    • 2021
  • 이 연구에서는 천안 도림리 유적 출토 백제시대 석곽묘와 석실분의 구성암석에 대한 암석기 재적 특성과 원산지를 분석하였다. 이 두 분묘는 편마암과 섬록암 및 안산암을 비롯한 총 10종의 다양한 석재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편마암이 가장 높은 점유율(54.3%)을 보이며, 벽석의 주요 석재로 사용되었다. 또한 섬록암(11.3%)과 안산암(10.6%)은 사잇돌로 사용된 경향을 보여, 형태와 상황에 맞게 석재를 활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석재의 공급지는 유적과 약 1 km 떨어진 입장저수지 인근으로 확인되었고, 수로를 통해 조달했을 것으로 해석된다. 이 결과는 고대 분묘문화의 재료조달 체계와 유구의 보존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포항 법광사지 납유 전돌의 수화 양상과 화학조성 (Hydration Characteristics and Chemical Composition of Lead-glazed Paving Bricks Excavated from the Beopgwangsa Temple Site, Pohang)

  • 전상은;김규호
    • 박물관보존과학
    • /
    • 제29권
    • /
    • pp.65-80
    • /
    • 2023
  • 본 연구는 통일신라 하대 전돌 유약의 재료학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포항 법광사지 출토 납유 전돌 7점을 조사하였다. 유약의 표면과 단면을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양한 수화양상을 확인하고 이를 표면층·수화층A·수화층B·녹색층으로 분류하였다. 이들 각 층의 화학조성을 주사전자현미분석으로 측정한 결과, 수화의 영향이 가장 적은 녹색층이 원 조성으로 추정된다. 이 녹색층은 주성분이 PbO와 SiO2가 8 : 2의 비율로 나타나고 주요 발색원소인 CuO를 약 2% 내외로 함유한 저화도 유약이다. 녹색층은 경상도 납유 전돌의 기 분석된 주성분 자료들과 비교 검토하여 법광사지 납유 조성이 사천왕사지, 천룡사지, 부석사지 바닥전과 유사함을 밝혀냈다.

생태계보전협력금 반환사업 사후관리 실태와 개선 방안 (A Study on the Post-management and Improvement of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 이지현;성현찬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12
    • /
    • 2013
  • This study reviews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completed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 sites to suggest management methods for their conservation and sustainability. For the scope of the study, five microsites of completed return projects in Seoul were selected and their project planning documents were reviewed to help with site surveying and analysis. To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site surveying and analysis, and to evaluate the management problems from different perspectives, the site managers were interviewed in-depth. The experts were surveyed as well to develop a realistic and practical improvement method. The survey results helped to categorize the post-management problems, and separate improvement methods were suggested for each category. First, the post-management guidelines are proposed for the ecosystem-based environment/ecosystem environment, user management, and monitoring. These guidelines will increase the expertise and practicality of the management principles. Second, the regulations for the participation of expert management enterprises and the development of separate monitoring or maintenance management team are suggested. These regulations will improve the participation of experts and consistency of management systems. Third, the post monitoring or maintenance management during the year after the project completion should be set as a separate project to secure budget. Furthermore, policies and/or institutions should be established to set a portion of ecosystem conservation return fund or a grant for post monitoring and maintenance management. Forth, as a way of adaptive management, at least more than three years of post-management should be evaluated under detailed categories and vigorous standard to improve the institutional operation for 'Ecosystem Conservation Fund Return Projects'.

Study on the Iron Production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By-Products Found at Jiǔdiàn Iron Production Site, China

  • Bae, Chae Rin;Cho, Nam Chul;Jo, Young Hoon;Chen, Jianli
    • 보존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273-281
    • /
    • 2018
  • $Ji{\check{u}}di{\grave{a}}n$ iron production site in China is a relic smelting site, which in the past produced pig iron. In this study, scientific analysis of the smelting furnace and collected slag was conducted to reveal some aspects of the ancient Chinese smelting technique. A 3D model of the smelting furnace showed a narrow lower part and an upper section which increased in diameter upwards. Although the smelting furnace relic does not include the upper part and its complete shape cannot be predicted, the remaining part suggests that the furnace had a larger diameter in the central part compar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Most of the collected slag was completely vitrified. Long prismatic fayalite was observed in the matrix of some samples. The iron particles contained phosphorus, which could not be discharged during smelting work. In addition, as the $CaO/SiO_2$ ratio was 0.42 or lower in the results of the content analysis, no CaO slag former had been added. However, the ratio of $CaO/SiO_2$ to $Al_2O_3/SiO_2$ did not have a constant trend. This needs to be investigated in a further study.

자연자원 보전지역의 평가모형 - 내셔널 트러스트 후보지 선정을 중심으로 - (The Evaluation Model for Natural Resource Conservation Areas - Focused on Site Selection for the National Trust -)

  • 유주한;정성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39-49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objective and rational methodology for the selection of proposed sites far the National Trust(NT), which is the new alterative proposal far the conservation of natural environments destroyed by injudicious land development and economic growth. That is to enforce many analysis for the effective estimation of rare ecological and landscape resources and to propose a model based on estimation and united indicators. Using the estimative model, we apply it to the selection of the proposed site in micro scale and simultaneously offer the basic methodology of effective and systematic land conservation in macro scal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s of analysis for the reliability of estimative items and indicators, presented no problem in that the coefficient of reliability was over 0.7. 2) The correlation measure of the estimative indicator indicated that 'succession'and 'regenerating restorability' were highly correlative in the item of plants. Another three items showed a tendency to be alike. 3) The results of factor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indicators, classified plants into four categories including a stable factor. The item of animals was classified as a stable and rare factor. The item of landscape was classified as a physical and mental factor and the environment as a pollutional and conditional factor. 4) The model of estimation created through factor analysis was valid for the approval of the regression model because significant probability was 0.00. When we consider the NT proposed site as a complex body that is composed of diverse natural and manmade resources, certainly the synthetic methodology of estimation is needed. If these studies are carried out, NT sites will be selected more rationally and effectively than at present. Consequently, they have the potential to play a core role of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in Korea.

보존유적 현황과 문제 인식을 통한 보존조치 제도 연구 (A Study on Policies for Conservation Measures Based on the Status and Issues of Conserved Remains)

  • 소재윤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3권3호
    • /
    • pp.110-127
    • /
    • 2020
  • 보존유적이라 함은 건설 공사에 따른 구제 발굴로 인하여 중요 유적이 확인될 경우 매장문화재 가치 평가에 따라 보존조치되는 유적을 말한다. 우리나라는 지난 수십 년간 급속한 경제발전으로 토지개발이 이루어지게 되면서 구제 발굴 건수도 급격히 증가하게 되었고 이에 따른 보존유적도 자연히 급증하게 되었다. 현재는 이러한 보존유적의 증가로 토지 수용부터 관리·활용 등에서 여러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명확한 해결 방법은 제시되고 있지 않은 상황이다. 본 연구에서는 유적 보존과 관련된 기술적인 문제보다 주로 제도상의 문제점 인식을 통해 보존유적 관리와 제도에 관심을 가지고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정된 재원과 인력으로 보존유적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제도의 미비점을 먼저 확인하고 검토하는 것이 우선이라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제도 개선을 요구할 수 있는 여러 안들이 있겠지만 현 제도상에서 우선적으로 검토되어야 하는 것은 보존유적에서 지정문화재로 신속한 전환 혹은 검토라 할 수 있다. 보존유적은 조치 이후 관련 후속 법규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지정문화재와 달리 임시적인 보존 방편에 불과하다. 이를 장기간 유지하게 될 경우 당연히 여러 문제가 발생할 수밖에 없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보존유적을 지정문화재와 거의 유사한 수준으로 관리할 수 있는 법적 제도를 마련하든지 아니면 현 제도상에서 개선 가능한 방법을 모색하여 문제의 최소화를 꾀하는 방법이 있겠다. 본 연구에서는 지정문화재로의 신속한 전환 방법 외에도 제도적 개선이 가능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몇 가지 제안을 하였다. 현재의 보존조치 유형은 현지보존, 이전보존, 기록보존 이 세 가지로 구분하고 있는데 이를 다시 두 개의 조치 유형과 그 하위의 네 가지 유형으로 재분류해 보았다. 현지보존은 보존유적과 새롭게 제시한 복토유적 두 가지만 포함시키고, 나머지 이전활용유적과 기록보존유적은 사업 시행이 가능한 보존조치 유형으로써 현지보존과 대비되는 대체보존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복토유적도 보존유적과 다르게 사업 시행이 가능한 유형으로 제시하였다.

용인시 석성산의 자연환경 보전 (Nature Conservation of Mt. Seokseong in Yongin-si)

  • 이웅빈
    • 환경생물
    • /
    • 제24권3호
    • /
    • pp.294-299
    • /
    • 2006
  • 용인시 석성산은 북위 $37^{\circ}15'15'{\sim}37^{\circ}17'00'$, 동경 $127^{\circ}09'30'{\sim}127^{\circ}11'00'$에 걸쳐 위치한다. 군집분석 결과 B지역에는 170종류의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어 조사지역 가운데 가장 식생이 풍부한 것으로 조사되었고, C지역은 140종류의 관속식물을 갖고 있어 다음으로 식생이 풍부하다. 그러나 관속식물의 유사도 지수는 B지역과 D지역이 53.7%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생태공원을 만들기 위하여 등산로, 삼림욕장, 수서생물 못, 자갈길, 식물관찰로 등 테마공원 조성이 필요하다. 한편 이 지역의 생태적 고립화를 막기 위하여 멱조고개와 용인정신병원 앞 도로 위로 생태다리를 건설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