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ual understanding

검색결과 719건 처리시간 0.027초

고등학교 미적분에서의 수학화 교수.학습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athematizing Teaching and Learning in Highschool Calculus)

  • 조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8권4호
    • /
    • pp.417-439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프로이덴탈의 수학화 교수 학습론을 토대로 현행 고등학교 미적분 교수 학습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프로이덴탈의 수학화 이론과 딘즈의 개념학습의 다양성 이론의 변증법적 통합을 시도하고 이를 토대로 수학 II 미분 영역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 문제점을 도출한 후, 수정된 수학화 과정에 충실한 미분계수 개념의 수학화 적분 교수 학습 자료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자료의 특징은 미분계수 개념의 역사적 근원문제인 접선문제와 속도문제를 다양한 표현도구를 이용하여 해결하는 과정에서 접선개념과 속도개념을 수학화 한 후에 미분계수 개념을 수학화하는 데 있다.

  • PDF

협동적 CAI에서 소집단 구성 방법의 효과 (The Influences of Group Composition in Cooperative CAI)

  • 노태희;차정호;박혜영;김경은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508-516
    • /
    • 2002
  • 이 연구에서는 소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협동적 CAI의 효과를 개념 이해도, 개념 응용력, 과학 학습 동기,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서울시의 한 남녀공학 중학교에서 1학년 97명을 선정하고 '분자의 운동'에 대하여 5차시 동안 수업을 실시하였다. 두 처치 집단에서는 사전 과학 청취도를 기준으로 이질적 소집단과 동질적 소집단을 구성하여 협동적 CAI를 실시하였고, 비교 집단에는 전통적인 수업을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처치 집단들의 개념 검사 점수가 비교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그러나 집단 구성 방법에 따른 차이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개념 응용력 검사와 과학 학습 동기 검사 점수에서는 세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협동적 CAI 집단의 수업 참여도에 대한 인식이 비교 집단에 비하여 더 긍정적이었다.

사전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적 컴퓨터 보조 수업의 효과 (A Study on the Effect of Cooperative Computer-Assisted Instruction by Previous Achievement Level)

  • 노태희;차정호;윤선애;강석진
    • 대한화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7-384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사전 성취 수준에 따른 협동적 컴퓨터 보조 수업의 쇼과를 개념 이해도, 개념 적용력, 학습 동기 측면에서 조사하였다. 서울시의 중학교 2개 학급을 대상으로 분자 운동 단원에 대해 5차시 동산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 처치 전, 학습 동기 검사를 실시하여 공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사전 학업 성취도 검사 점수는 개념 관련 변인의 공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중간고사 과학 성적을 조사하여 구획변인으로 사용하였다. 수업처치 후 , 개념검사, 개념 적용력 검사, 학습 동기 검사를 실시하였다. 이원 공변량 분석 결과 개념 검사와 개념 적용력 검사 점수에서는 처치 집단과 통제 집단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학습 동기 검사에서는 처치 집단의 점수가 통제 집단에 비하여 유의미하게 높았다.

초등과학 영재의 물체 인식 개념 변화를 위한 튜토리얼의 개발과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utorial for Conceptual Change on Object Recognition of Scientific Gifted in Elementary School)

  • 이지원;김중복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3호
    • /
    • pp.340-35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teaching materials for elementary science gifted conception about object recognition. Elementary science gifted have misconceptions that they can see in lightness. They can not explain how a shadow is made. This paper reports in-depth investigation on elementary science gifted's understanding of object recognition focusing on process of light. A program is developed to elementary science gifted in the subject matter. The tutorial emphasizing the process of light consists of pre-test, worksheet, and post-test. The Tutorial has 4 steps; darkness and light, light on things, light reached eyes, structure of the eyes. Each steps has 2~4 experiments. Through the tutorial, we expect their misconceptions can be changed into scientific conceptions. For the research and analysis, a questionnaire is posed to 39 elementary science gifted at M Elementary School in D Metropolitan City. The first method of product analysis makes a comparative study of pre-test, post-test score, and hake gain each test. As a result, total score of all student was raised. And hake gain of pre-test(II) is 0.6, hake gain of post-test is 0.68. It is Medium gain. Also, elementary science gifted could understand how we see through the tutorial emphasizing process of light. And their misconceptions can be changed into scientific conceptions.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서의 위치 관리 기술에 대한 고찰 (A Survey of Location Management Techniques in Wireless Mobile Networks)

  • 공기식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33-443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셀룰러 네트워크와 Mobile IP 기반의 네트워크를 위해 제안되었던 기존의 다양한 위치 관리 기법들에 대한 광범위한 소개 및 분류법을 제시한다. 또한, 기존에 제안되었던 다양한 위치 관리 기법들로부터, 네트워크의 종류와 관계없이 위치 관리 기법들의 이해를 돕기 위한 유용한 가이드를 제공할 수 있는 공통의 핵심 기술들 및 주요 설계상의 목표와 성능 고려 사항 등을 도출해 낸다. 본 논문의 목적은 위치 관리를 위한 새로운 기법을 제안하는 것이라기보다는, 기존에 제안되었던 위치관리 기법들의 다양한 설계상의 핵심적인 특징들을 도출해내고, 차세대 무선 이동 네트워크에서 보다 효율적이고 최적화된 위치 관리 기법을 설계하기 위해 근간이 되는 핵심 개념 및 기술들에 대한 통찰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러한 근간이 되는 개념 및 기술들은 네트워크의 종류와 관계없이 향후의 이동 컴퓨팅 환경에서 보다 효율적인 이동성 및 서비스 품질 제공을 위해서도 쉽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바이다.

정보채집으로의 접근 - 폭소노미 이해를 위한 개념적 틀 연구 - (Information Forager's Approach to Folksonomy)

  • 박희진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89-206
    • /
    • 2011
  • 본 연구는 정보채집(information foraging) 이론을 적용하여 웹 정보자원을 조직, 검색, 공유하는 폭소노미 이용자의 상호작용을 체계적으로 연구, 분석하는 개념적 틀을 제시하고자 한다. 폭소노미 상호작용 이해를 위한 개념적 틀은 최종 이용자의 세 가지 정보행위간의 유기적인 관계로 구성되어 있다: (1) 태그를 활용하여 웹 정보자원을 분류하고 조직하는 태깅; (2) 폭소노미 내에서 유용한 정보 자원을 발견하고 검색하는 정보탐험; (3) 폭소노미를 통해 유사한 관심을 갖고 있는 다른 이용자를 발견하고 커뮤니티를 구성하며, 협업을 통해 새로운 정보자원을 창출해내는 지식공유. 이 틀에서 최종이용자는 정보환경에 유연적으로 적응하며 폭소노미를 통해 줄곧 관심사에 관한 정보를 수집, 모니터하며 다른 이용자와의 효율적인 공유와 검색을 위해 끊임없이 탐험하는 정보채집자(information forager)로 이해된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개념적 틀은 이용자와 폭소노미의 역동적이고 복잡한 상호작용 현상을 포괄적으로 조망함으로써, 향후 폭소노미를 비롯한 웹 정보서비스의 유용화 연구 설계에 보다 체계적인 이론적 토대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패션의류시장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마케팅 경로 관리 연구 (Managing Hybrid Marketing Channels for Fashion Apparel Industry(in Korea))

  • 손상기;권순기
    • 국제지역연구
    • /
    • 제12권3호
    • /
    • pp.89-109
    • /
    • 2008
  • 마케팅 경로 관리에 있어서 하이브리드 경로를 활용할 때는 경로 통제 잇점(직접경로)과 경로 관리의 유연성(간접경로)을 동시에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거래 당사자들의 다양한 이질적 기대치와 우선적 권리 확보 성향과 충돌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하이브리드 경로 관리의 비용과 편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시작된 것이며, 특히 패션의류시장에서 빈번히 활용되는 하이브리드 마케팅 경로, 당사자 간의 상호 지배문제, 상호 갈등문제 그리고 경로 관리 효율성을 높이고자 수행된 것이다. 이를 위해, 첫째, 기업간 지배 및 기업내 지배 문제를 통해 마케팅 경로 관리를 분석하고 나아가 판매원(샵마스터)관리 문제를 통합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둘째, 본 연구에 제시된 하나의 개별 틀 속에서 경로 지배관련 두 관점을 하나로 통합하여 추후 연구토대를 제시하고있다. 패션의류 메이커와 소매업자간의 경로 관계를 축으로 실증 조사된 결과, 본 연구에서 제시된 이론적 가설이 긍정적으로 뒷받침 되고 있다.

단계별 질문 중심의 단원 설계가 초등학생의 '계절의 변화' 개념 이해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tep-by-Step Question-Based Unit Design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 of 'Seasonal Change' Concept)

  • 노자헌;손준호;정지현;송진여;김종희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151-164
    • /
    • 2019
  • 이 연구의 목적은 단계별 질문을 활용해 '계절의 변화' 단원을 재구성함으로써 학생들의 오개념 변화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 것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계절 변화의 원인을 설명하는데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여 선개념을 구성하고 있었다. 그래서 개발한 수업에서는 학생들이 갖고 있는 선개념 중 오개념을 조사하고 이에 대한 지도 계획을 '개념 변화를 위한 수업 설계 요소'로 명시하여 핵심 교수 학습 내용이 되도록 단원을 재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의 24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과학 개념 검사를 실시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질적 분석을 실시한 결과, 계절 변화를 설명할 때 활성화한 개념적 자원의 수와 계절 변화를 설명하는 구체성의 정도가 비교 집단에 비해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Model Multiplicity (UML) Versus Model Singularity in System Requirements and Design

  • Al-Fedaghi, Sabah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4호
    • /
    • pp.103-114
    • /
    • 2021
  • A conceptual model can be used to manage complexity in both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phases of the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Such a model requires a firm grasp of the abstract principles on which a system is based, as well as an understanding of the high-level nature of the representation of entities and processes. In this context, models can have distinct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discusses model multiplicity (e.g., unified modeling language [UML]), model singularity (e.g., object-process methodology [OPM], thinging machine [TM]), and a heterogeneous model that involves multiplicity and singularity. The basic idea of model multiplicity is that it is not possible to present all views in a single representation, so a number of models are used, with each model representing a different view. The model singularity approach uses only a single unified model that assimilates its subsystems into one system. This paper is concerned with current approaches, especially in software engineering texts, where multimodal UML is introduced as the general-purpose modeling language (i.e., UML is modeling). In such a situation, we suggest raising the issue of multiplicity versus singularity in modeling. This would foster a basic appreciation of the UML advantages and difficulties that may be faced during modeling, especially in the educational setting. Furthermore, we advocate the claim that a multiplicity of views does not necessitate a multiplicity of models. The model singularity approach can represent multiple views (static, behavior) without resorting to a collection of multiple models with various notations. We present an example of such a model where the static representation is developed first. Then, the dynamic view and behavioral representations are built by incorporating a decomposition strategy interleaved with the notion of time.

인공지능(AI) 기술 기반의 뉴스 앵커에 대한 수용 의도의 선행요인 연구 (An Evaluation of Determinants to Viewer Accep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News Anchor)

  • 신하얀;권상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4호
    • /
    • pp.205-219
    • /
    • 2021
  • 본 연구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제작된 뉴스 앵커의 시청자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AI 뉴스 앵커에 대한 지각된 신뢰와 지각된 유용성, 의인화, 사회적 실재감, 그리고 이해도를 포함하는 5개의 선행요인이 사용자 수용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그리고 AI 뉴스 앵커로부터 지각하는 능력과 호의, 진실성은 신뢰를 형성하는 선행요인으로 예측하였다. 연구모형과 연구가설을 통계적 유의수준에서 검증하기 위하여 513명의 조사 대상자로부터 설문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데이터의 정규성과 동일방법편의, 내적 일관성 평가와 함께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포함한 척도 순화 프로세스를 수행하였다.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수행한 결과, AI 뉴스 앵커로부터 지각하는 신뢰와 지각된 유용성, 의인화는 시청자 수용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AI 앵커로부터 지각한 능력과 진실성은 신뢰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