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ptual History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3초

'광기의 뉴욕'에 나타난 초현실주의적 특성에 대한 연구 - 편집증적 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Surrealistic Characteristics in 'Delirious NewYork' - focused on Paranoid Critical Method)

  • 장용순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2호
    • /
    • pp.53-62
    • /
    • 2019
  • 'Delirious New York(1978)' of Rem Koolhaas is not only a historical book but a double code text writing the history of Manhattan in parallel to surrealism. Throughout this book, the surrealist terminologies such as unconsciousness, desire, paranoid, automatism, cadavre exquis etc, are widely used to explain the urban phenomena and buildings of Manhattan. Among these methods, in the fifth chapter, Paranoid critical method(PCM) invented by Salvador Deli, is explained in detail and adapted to Corbusier's project and other architects of Manhattan. Koolhaas connect PCM to the conceptual transposition and draft in architectural thinking. This thesis is to analyse the terms and methods of surrealism and how these methods are used to explain the urban phenomenon of Manhattan in 'Delirious New York'.

Design a Learning Management System Platform for Primary Education

  • Quoc Cuong Nguyen;Tran Linh Ho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smart convergence
    • /
    • 제13권2호
    • /
    • pp.258-266
    • /
    • 2024
  • E-learning systems have proliferated in recent years, particularly in the wake of the global COVID-19 pandemic. For kids, there isn't a specific online learning platform available, though. To do this, new conceptual models of training and learning software that are adapted to the abilities and preferences of end users must be created. Young pupils: those in kindergarten,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are unique subjects with little research history. From the standpoint of software technology, young students who have never had access to a computer system are regarded as specific users with high expectations for the functionality and interface of the software, social network connectivity, and instantaneous Internet communication. In this study, we suggested creating an electronic learning management system that is web-based and appropriate for primary school pupils. User-centered design is the fundamental technique that was applied in the development of the system that we are proposing. Test findings have demonstrated that students who are using the digital environment for the first time are studying more effectively thanks to the online learning management system.

신구(新舊) 관념의 교차와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 (The Conceptual Intersection between the Old and the New and the Transformation of the Traditional Knowledge System)

  • 이행훈
    • 한국철학논집
    • /
    • 제32호
    • /
    • pp.215-249
    • /
    • 2011
  • 본고는 서양 근대 문명 수용 초기(1890~1910)에 발생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을 중심으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을 역사의미론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한국의 근대를 성찰하는 데 목적이 있다. 한국에서 신구 관념을 놓고 벌어진 주체 간의 투쟁은 전통개신론자들과 문명개화론자들의 주장에서 첨예하게 드러났다. 서양의 충격에서 비롯된 신구 관념의 대립과 충돌은 우주 자연으로부터 사회 정치체제, 학술?문화 등 모든 부문에서 인식의 전환을 요구하였지만, 전통 지식 체계를 이해하는 시각에는 다소 차이가 있었다. 신구 관념에 따른 전통 지식 체계의 구축과 변용과정에서 문명개화론자들에게 '구(舊)'는 단순히 과거의 '지나간', '오래된' 것이 아니라 파괴하고 제거하지 않으면 새로운 문명 건설을 방해하는 장애물이었다. 그러나 전통개신론자들에게 '구(舊)'는 '온고지신(溫故知新)'의 이념 속에서 다시 '신(新)'으로 거듭날 수 있는 가능성을 내함하고 있는 '개신(改新)'의 대상이었다. 박은식의 "유교구신론(儒敎求新論)"이나 한용운의 "조선불교유신론(朝鮮佛敎維新論)"은 전통 지식 체계를 '신학(新學)'으로 재편하려한 대표적인 시도였다. 보편성과 객관성, 합리성을 추구하는 과학적 방법을 수용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는 근대적인 학문으로 변화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신학(新學)으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성학(聖學)으로서의 위상은 탈각되었고, 신앙과 종교적 전통 또한 약화될 수밖에 없었다. 이러한 전통 지식 체계의 변용과 '구학의 신학화' 과정에서 신구 관념의 교차가 발생하였다. 여기서 특히 신구 관념의 교차를 가능하게 한 '실(實)(학(學))' 개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20세기 전후 발간된 다종의 근대 매체는 신구 관념의 다층적 전개 양상을 여실히 보여주는데, 전통 지식 체계가 신학(新學)으로 변용될 수 있었던 계기로서 '실학'이라는 개념적 준거틀이 작동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물론 이 시기 실학이 지칭하는 대상은 대체로 서양의 학문인 '신학(新學)'을 표상하고 심지어 등치되기도 했지만, 전통개신론자들은 문명개화론자들이 점유하였던 '실학' 개념과 그 의미를 재해석함으로써 전통 지식 체계를 신학으로 바꿀 수 있었다. 이들은 과학 기술에 압도되어 점차로 거세되어가던 전통적 가치를 '신학' 수용의 토대로 인식하고, '실학(實學)'을 개념을 준거로 하여 '신학(新學)'을 재전유(再專有)(re-appropriation)하였다. 일제의 강점이 구체화 되어 전통 지식 체계의 주체적 변용 시도는 일정한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지만 '구학의 신학화'는 '동도서기(東道西器)' 논리가 지닌 모순과 문명개화론의 탈주체성을 넘어서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도덕 원리와 경쟁 원리가 충돌하고 '진화'와 '진보'가 대세인 현실에 대응하려했던 '동도서기(東道西器)' 논리는 이미 분리될 수 없는 도(道)와 기(器)를 분리 가능한 것으로 상정해야만 성립되는 모순을 안고 있었고, 문명개화론은 서양을 내면화하여 자기 비하와 멸시로 주체의 균열을 야기하고 전통 지식 체계로부터 단절됐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 때문이다.

화학사적 교수법을 적용한 공명(共鳴) 개념 교수·학습 자료 개발 및 적용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 Concept of Resonance Using the History of Chemistry)

  • 김경임;이우붕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34권2호
    • /
    • pp.342-358
    • /
    • 2010
  • 본 연구는 화학 I 교과의 탄소 화합물 단원에서 벤젠의 '공명(共鳴)' 개념을 화학사에 기초한 교수 학습자료를 개발해 이를 이용한 수업과 전통적 강의식 수업과의 학습 효과를 비교, 분석할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 대상은 포항시에 소재한 일반계 고등학교 3학년 남학생 70명(2개 학반)이다. 선행 연구를 통하여 실험반과 통제반의 공명 개념 수업의 학업 성취도와 체감 난이도를 조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전통적 강의식 수업 집단(35명)에게는 공명 개념의 변천 과정을 주입식으로 전달하였고, 화학사를 이용한 수업 집단(35명)에게는 화학사에 기초한 벤젠 구조와 공명 개념의 도출 과정을 학생들이 직접 경험하게 하였다. 두 집단 모두 학생 스스로가 개념 정리를 할 수 있는 시간을 동일하게 준 후, 학업 성취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 집단(50.143점)이 통제 집단(25.429점)보다 평균 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공명 개념 수업은 일방적인 강의식 수업보다는 화학사에 기초하여 과학자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과학하는 과정을 깨닫게 한 후, 개념 수업을 하는 것이 학습의 효율성과 지속성에 효과가 더 크다.

  • PDF

과학사에 근거한 학생들의 진화 개념 분석 (Analysis of Student Conceptions in Evolution Based on Science History)

  • 이미숙;이길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25-39
    • /
    • 2006
  • 진화에서 학생들이 보이는 대부분의 오개념들이 과학사적으로 진화 개념이 발달해오면서 나타났던 오류와 논쟁들과 매우 유사하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연구에서는 이미숙(2004)의 과학사 분석을 근거로 하여 9학년, 12학년, 대학교 1학년 학생들의 진화 개념의 상태를 조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미숙(2004)의 과학사적 진화 개념 발달의 3차원 틀을 토대로 하여 진화, 적응, 변이(퇴행 변이 포함)의 기작, 대상, 시간에 대한 개념 검사지를 개발하고 각 학년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개념 조사를 실시하였다. 학년이 올라가면서 학생들이 보이는 진화 개념의 상태는 어떻게 다른지를 분석하고 과학사적 진화 개념 변화 과정과 비교하였다. 학생들은 진화, 적응, 변이, 퇴행변이의 기작에 대한 개념이 학년에 관계 없이 과학사 단계 중 단계 2(라마르크적 사고)에 고착되어 있었다. 학생들은 기작, 시간, 대상에 대한 관점에서 논리적인 일관성을 지니지 못하였고 특히, 대상을 바라보는 관점에서 그러한 특징이 두드러졌다. 또한 학생들은 진화, 적응, 변이에 대한 개념에 구분이 없으며 오히려 진화와 적응과 변이를 동일한 것으로 여기고 있었다. 학생들의 변이에 대한 개념의 경우 새로운 형질의 등장이라는 상황과 형질의 퇴화라는 각 상황에 대해서 다르게 반응하고 있었다. 학생들의 올바른 진화 개념 습득을 위해서 학생들의 오개념 상태를 고려하여 변이의 중요성, 개체군내에서의 선택의 효과, 유전과의 연계(획득형질의 비유전성, 변이의 원동력으로서의 유성생식과 돌연변이의 역할 등등) 개념을 더 강조해야 하고 이것과 관련된 여러 가지 학습 전략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Conceptual Design of the NISS onboard NEXTSat-1

  • Jeong, Woong-Seob;Park, Sung-Joon;Park, Kwijong;Lee, Dae-Hee;Pyo, Jeonghyun;Moon, Bongkon;Park, Youngsik;Kim, Il-Joong;Park, Won-Kee;Lee, Duk-Hang;Park, Chan;Ko, Kyeongyeon;Matsumoto, Toshio;Takeyama, Norihide;Enokuchi, Akito;Shin, Goo-Whan;Chae, Jangsoo;Nam, Uk-Won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31권1호
    • /
    • pp.83-90
    • /
    • 2014
  • The NISS onboard NEXTSat-1 is being developed by Korea astronomy and space science institute (KASI). For the study of the cosmic star formation history, the NISS performs the imaging spectroscopic observation in the near-infrared range for nearby galaxies, low background regions, star-forming regions and so on. It is designed to cover a wide field of view ($2{\times}2$ deg) and a wide wavelength range from 0.95 to $3.8{\mu}m$ by using linear variable filters. In order to reduce the thermal noise, the telescope and the infrared sensor are cooled down to 200 K and 80 K, respectively. Evading a stray light outside the field of view and making the most use of limited space, the NISS adopts the off-axis reflective optical system. The primary and the secondary mirrors, the opto-mechanical part and the mechanical structure are designed to be made of aluminum material. It reduces the degradation of optical performance due to a thermal variation. This paper presents the study on the conceptual design of the NISS.

간호실무를 위한 정보체계 개발;척수손상 환자를 중심으로 (Development of Information System in Nursing Practice;spinal cord injury patients)

  • 강인순;김명희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43-57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conducted has been an the development of a computer program to be used for nursing of spinal cord injury patients. The research is also intended to contribute by supplying the basic data, to the development of other programs in relevant areas where similar nursing information system is required. This research used System Development Life Cycle method. Results from the study were as follows : The scope of Information System in nursing practice were based on a wide range of mateials as charts at four hospitals in Pusan that cover the nursing period of spinal cord injury patients from admission to discharge and other sources of reference, the research is done for nursing diagnosis, nursing history, admission and discharge education, and the performing of doctor's order, which were divided into a subsystem that consisted of help, Patient Management, Performing of Docter's Order, and Basic Data Management and then these was analysed systematically using Hierachy Plus Input Process Output, necessary information, data flow diagram, and conceptual designs were developed for chosem system. Furthemore, the system has been programed by a conceptual design that includes the objects of the program and the origins of the sources. The oder to make sure of the proper function, the computer program was actually applied to a nursing practice that had been developed for a hypothetical situation through the two nurses who were in charge of spinal cord injury patients after they were trained to understand the structure and the contents of computer program about the nursing practice from using the computer program developed. Also, the compensatory strategy has been worked out against any problems to arise. It is expected that this kind of nursing practice information system to be used for the spinal cord injury patients that has been developed through the processes shown above will increase the satisfaction for both patients and nurses by enabling them to give more professional advice and service to the development of more information systems for many hospitals.

  • PDF

모바일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n Authoring Tool for Field-Experience Learning using Mobile Device)

  • 강영옥;조나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3권3호
    • /
    • pp.123-132
    • /
    • 2015
  • 2009년 제7차 개정 교육과정부터 자율과 창의 교육을 중심으로 현장체험학습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으며, 현장체험학습의 중요도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현장학습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관련 앱의 출시가 증가하고 현장체험학습 지원을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현장체험학습의 특징과 사용자 요구사항 분석을 바탕으로 현장체험학습을 지원하기 위한 저작도구의 개념을 정의하고, 개념적 설계를 진행하였다. 현장체험학습 저작도구는 사전, 현장, 사후단계 활동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하며, 위치기반의 체험활동 저작이 가능하고, 역사, 과학, 지리 등 현장학습이 이루어지는 교과의 특성을 반영한 저작기능이 요구된다. 특히 현장체험활동 이후 탐구활동 결과물들이 재활용될 수 있는 구조로 설계되어야 함을 확인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개념적인 설계를 진행하였다.

Structure and Conceptual Design of a Water-Hammering-Type Honsang for Restoration

  • Lee, Yong-Sam;Kim, Sang-Hyuk
    • Journal of Astronomy and Space Sciences
    • /
    • 제29권2호
    • /
    • pp.221-232
    • /
    • 2012
  • We analyzed the manufacturing procedure, specifications, repair history, and details of celestial movements of the water-hammering type $Honsang$ (celestial globe). Results from our study on the remaining $Honsangs$ in China and Japan and on the reconstruction models in Korea were applied to our conceptual design of the water-hammering type $Honsang$. A $Honui$ (armillary sphere) and $Honsang$ using the water-hammering method were manufactured in $Joseon$ in 1435 (the 17th year of King $Sejong$). $Jang$ $Yeong-Sil$ developed the $Honsang$ system based on the water-operation method of $Shui$ $y{\ddot{u}}n$ $i$ $hsiang$ $t'ai$ in China. Water-operation means driving water wheels using a water flow. The most important factor in this type of operation is the precision of the water clock and the control of the water wheel movement. The water-hammering type $Honsang$ in $Joseon$ probably adopted the $Cheonhyeong$ (天衡; oriental escapement device) system of $Shui$ $y{\ddot{u}}n$ $i$ $hsiang$ $t'ai$ in China and the overflow mechanism of $Jagyeongnu$ (striking clepsydra) in $Joseon$, etc. In addition to the $Cheonryun$ system, more gear instruments were needed to stage the rotation of the $Honsang$ globe and the sun's movement. In this study, the water-hammering mechanism is analyzed in the structure of a water clock, a water wheel, the $Cheonhyeong$ system, and the $Giryun$ system, as an organically working operation mechanism. We expect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an essential basis for studies on $Heumgyeonggaknu$, the water-operating astronomical clock, and other astronomical clocks in the middle and latter parts of the $Joseon$ dynasty.

진화개념의 역사에 근거한 한국과 미국 대학생의 진화개념 수준 비교 (A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 Evolution Concepts based on the History of Evolutionary Ideas)

  • 하민수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659-668
    • /
    • 2017
  • 이 연구는 진화 개념의 발달 단계가 전공과 국가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한국과 미국의 대학생의 자료를 생물 전공과 비생물 전공에 따라 구분하여 수집하였다. Ha(2007)이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여 Ha(2016)의 분석방법에 근거하여 순위선다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진화적 사고의 과학사적 발달 과정(창조, 목적, 의도, 용불용설, 자연선택)을 토대로 순위선다방식으로 분석하는 방법이 한국과 미국, 전공과 비전공 학생에게도 적합하게 적용될 수 있는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진화 개념의 발달 단계를 확인한 결과 우리나라 대학생들은 용불용설 수준, 미국의 대학생들은 목적론적 설명 수준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공과 국가에 따른 진화 개념의 발달 수준은 진화 설명소재와 교호작용효과가 있는지 확인한 결과 유의미한 교호작용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진화 개념의 발달 단계와 종교성은 유의미한 관련성이 있었다. 이 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진화 개념의 발달 특성에 대해서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