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ntration of Spatial Information

검색결과 189건 처리시간 0.075초

지리정보시스템(GIS) 및 존재인구를 이용한 초미세먼지(PM2.5) 노출평가 (Existing Population Exposure Assessment Using PM2.5 Concentration and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 우재민;민기홍;김동준;조만수;성경화;원정일;이채관;신지훈;양원호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298-305
    • /
    • 2022
  • Background: The concentration of air pollutants as measured by the Air Quality Monitoring System (AQMS) is not an accurate population exposure level since actual human activities and temporal and spatial variability need to be considered. Therefore, to increase the accuracy of exposure assessment, the population should be considered. However, it is difficult to obtain population data due to limitation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Objectives: The existing population defined in this study is the number of people in each region's grid. The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ology for evaluating exposure to PM2.5 through existing population data provided by the National Geographic Information Institute. Methods: The selected study period was from October 26 to October 28, 2021. Using PM2.5 concentration data measured at the Sensor-based Air Monitoring Station (SAMS) installed in Guro-gu and Wonju-si, the concentration for each grid was estimated by applying inverse distance weights through QGIS version 3.22. Considering the existing population, population-weighted average concentration (PWAC) was calculated and the exposure level of the population was compared by region. Results: The outdoor PM2.5 concentration as measured through the SAMS was high in Wonju-si on all three days. Wonju-si showed an average 22% higher PWAC than Guro-gu.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WAC and outdoor PM2.5 concentration by region, the PWAC in Guro-gu was 1~2% higher than the observed value, but it was almost the same. Conversely, observations of Wonju-si were 10.1%, 11.3%, and 8.2% higher than PWAC. Conclusions: It is expected that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method and the existing population will be used to evaluate the exposure level of a population with a narrow activity radius in further research. In addition, based on this study, it is judged that research on exposure to environmental pollutants and risk assessment methods should be expanded.

레이저 Rayleigh 산란을 이용한 연료농도 계측시 잡음원인과 대책 (Fuel Concentration Measurements by Laser Rayleigh Scattering)

  • 권순태;이재원;박찬준;엄인용
    • 에너지공학
    • /
    • 제17권4호
    • /
    • pp.189-197
    • /
    • 2008
  • 본 연구는 정상 상태의 유동에서 Rayleigh 산란을 이용하여 연료 농도를 측정시 잡음 원인과 대책에 관한 것이다. 실험 장치는 연료 농도 변화를 시간적, 공간적으로 측정함과 동시에 정확한 농도 측정을 위한 보정도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실험 장치를 우선 보정 용기에 적용하여 프로판, 부탄, 아세틸렌, 프레온 가스의 산란단면적을 구하였다. 이후 내연기관을 상사한 실린더 헤드, 인젝터, 흡기매니폴드, 투명 실린더로 구성된 정상유동 장치를 구성하였다. Rayleigh 산란을 이용한 농도 측정 시 가장 큰 난점은 Mie 산란에 의한 간섭이다. Mie 산란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 하드웨어 필터로 입자의 수 밀도를 측정 가능한 수준으로 감소시켰다. Mie 산란 입자를 충분히 작게 만든 후 광전자 증배관과 앰프의 시정수에 바탕을 둔 소프트웨어 필터를 개발하여 적용하였다. 그리고 바탕 잡음은 광학적 배열을 조정하고 동시에 핀 홀과 빔 트랩을 적용하여 감소시켰다. 실험 결과 LRS는 연료 농도 계측에 매우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고 소프트웨어 필터는 Mie 간섭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자연 삼림의 탄소 분리 추정에 관한 연구 (Estimation of carbon sequestration in natural forests - A Geospatial Approach -)

  • 라마찬드란;자야쿠마;허준;김우선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공간정보시스템학회 2007년도 GIS 공동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59-362
    • /
    • 2007
  • Estimation of carbon in the natural forest regions is a pre-requisite for carbon management. In the light of increasing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in the atmosphere, the amount of carbon present in the plants and soils are very much needed to estimate the sequestered carbons stock of any region. Carbon stock estimation studies are limited in India, especially in the natural forest regions of Eastern ghats of Tamil Nadu. Remote sensing, Geographical Information System (GIS) and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were used along with extensive field and laboratory works to estimate the carbon stock in the living biomass and soil. About five forest types were identified and mapped using satellite data. The total biomass carbon including above and below ground were 2.74 Tg and the total soil organic carbon was 3.48 Tg. This study has yielded significant information about the carbon stock in a natural forest region and it could be used for future comparative studies.

  • PDF

산림소유역 유출수의 비강우일 비점오염물질 농도 변화 및 유출 특성 분석 (Changes in temporal and spatial stream water concentrations and analysis on nonpoint source runoff in forested watersheds on non rainfall days)

  • 유현주;최형태;김재훈;임홍근;양현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6호
    • /
    • pp.137-149
    • /
    • 2020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monthly runoff concentration on non rainfall days in order to prepare basic data to compare the runoff concentration on rainfall days in 7 forest watersheds in the Republic of Korea. Forest stream water has been collected through 15 times of sampling in each watershed and analyzed based on the changes in concentration of Biochemical Oxygen Demand(BOD), Chemical Oxygen Demand(COD), Total Organic Carbon(TOC), Total Nitrogen(TN), and Total Phosphorus(TP). The average concentration was 0.8 mg/L for BOD, 1.4 mg/L for COD, 0.8 mg/L for TOC, 1.85 mg/L for TN and 0.002 mg/L for TP during non rainfall days. Coniferous forested watersheds showed higher value of TN and TP concentration. Concentrations of BOD and TP in early March (p<0.01) were affected by melt water flow input in spring season. Significant differences (p<0.01) in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BOD and TOC, indicating seasonal rainfall and vegetation growth impacts on forest stream quality. Concentration of TN and TP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nd weak negative correlation was found in the concentration of BOD and TOC. It is expected that result of forest stream water on non rainfall days could be basic information in managing non-point source from forest watersheds.

교통카드 데이터를 활용한 서울시 고령인구 주요 체류지 및 체류지별 특성 (Analysis of Elderly Population's Staying Places in Seoul using Public Transportation Card Data)

  • 이주윤;김현덕;강영옥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1호
    • /
    • pp.231-245
    • /
    • 2020
  • 본 연구는 교통카드 자료를 활용하여 서울시 고령인구의 주요 체류 공간을 도출하고 체류의 시공간적 특성을 분석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5년 10월 12일부터 2015년 10월 18일까지 7일간의 서울시 교통카드 자료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도심지, 강남 등 14개 지역이 주 체류 공간으로 추출되었으며, 각 체류지별 방문 사용자 특성과 체류 시간대를 기준으로 살펴본 결과 5개 그룹으로 특성이 나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류지 대부분은 해당 지역 인근에 거주하는 고령 인구가 방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많은 고령 인구가 방문하는 그룹의 경우 상대적으로 방문 고령자의 거주지가 넓게 나타나 체류지간 위계가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체류 집중 시간대는 주로 오전 10시에서 오후 5시 사이에 집중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제기동과 영등포의 경우 오후 12부터 체류가 집중되며, 잠실, 선릉, 양재의 경우 주중 오전 9시부터 체류가 집중되어 체류지별 인구 집중 시간이 상이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결과는 서울시 내의 고령 인구의 주요 체류 공간과 각 체류 공간별 체류 특성을 고려한 대중교통정책수립에 필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

GIS를 이용한 도로 분진의 중금속원소 함량 해석에 관한 연구 (Interpretation of heavy metal elements from the road dusts using GIS)

  • 이효재;이근상;이언호;장영률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0권2호
    • /
    • pp.201-213
    • /
    • 2002
  • 대도시화와 산업화에 따른 중금속 오염으로 많은 환경오염을 일으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d, Cu, Fe, Mn, Pb, Zn와 같은 중금속 원소들의 분산과 산출상태를 규명하기 위해 광주광역시의 도로변에서 분진을 채취하여 분석하였다. 분진중의 pH를 측정하였으며 0.1N HCI에 의한 용출실험으로 Cd, Cu, Fe, MN, Pb 및 Zn 함량을 AAS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광주시의 도로변 분진의 pH는 5.60-7.09범위로 약산성 내지는 거의 중성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0.IN HCI을 이용한 부분분해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는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오염도가 높다고 판단하기는 어려움이 있지만 Cd와 Cu는 서구지역 특히 광천터미널에서 멀지 않은 지역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보여주며, Mn과 Pb는 북구와 남구에서 약간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Zn는 평균 150.09ppm으로 오염이 상당히 진행되고 있었다. P.I.는 전 지역이 1이하로 우려할 상황 은 아니다. 본 연구와 같은 분석방법을 이용한 다른 지역과 비교해 볼 때, Cd 와 Zn의 오염이 상당히 진행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 PDF

스태킹 앙상블 모델을 이용한 시간별 지상 오존 공간내삽 정확도 향상 (Improved Estimation of Hourly Surface Ozone Concentrations using Stacking Ensemble-based Spatial Interpolation)

  • 김예진;강은진;조동진;이시우;임정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74-99
    • /
    • 2022
  • 지상 오존은 차량 및 산업 현장에서 배출된 질소화합물(Nitrogen oxides; NOx)과 휘발성 유기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광화학 반응을 통해 생성되어 식생 및 인체에 악영향을 끼친다. 국내에서는 실시간 오존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지만 관측소 기반으로, 미관측 지역의 공간 분포 분석에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스태킹 앙상블 기법을 활용하여 매시간 남한 지역의 지상 오존 농도를 1.5km의 공간해상도로 공간내삽하였고, 5-fold 교차검증을 수행하였다. 스태킹 앙상블의 베이스 모델로는 코크리깅(Cokriging), 다중 선형 회귀(Multi-Linear Regression; MLR), 랜덤 포레스트(Random Forest; RF), 서포트 벡터 회귀(Support Vector Regression; SVR)를 사용하였다. 각 모델의 정확도 비교 평가 결과, 스태킹 앙상블 모델이 연구 기간 내 시간별 평균 R 및 RMSE이 0.76, 0.0065ppm으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여주었다. 스태킹 앙상블 모델의 지상 오존 농도 지도는 복잡한 지형 및 도시화 변수의 특징이 잘 드러나며 더 넓은 농도 범위를 보여주었다. 개발된 모델은 매시간 공간적으로 연속적인 공간 지도를 산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8시간 평균치 산출 및 시계열 분석에 있어서도 활용 가능성이 클 것으로 기대된다.

클로로필의 반사특성 분석과 원격탐측을 이용한 대청호의 영양상태 평가 (Analysis of Chlorophyll Reflectance and Assessment of Trophic State for Daecheong Reservoir Using Remote Sensing)

  • 김태근;김태승;조기성;김환기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35-45
    • /
    • 1996
  • 호수의 수질관리시 가장 중요한 수질인자 중의 하나인 클로로필의 반사도를 측정하여 가시광선과 근적외선 영역에서 클로로필의 파장별 반사특성을 파악하였고, 클로로필 반사도 스펙트럼에 TM데이터를 적용시켜 TM데이터만으로 클로로필 농도를 추정할 수 있는 변환식을 유도하였다. 또한 1995년 6월 20일과 1996년 3월 18일자의 LANDSAT TM데이터와 위성 통과시간에 대청호에서 측정한 클로로필의 상관관계로부터 회귀모델을 유도하여 대청호 전역의 영양상태 분포도를 작성하였고 계절에 따른 영양상태를 평가하였다.

  • PDF

펜실바니아 유역 수질의 공간적 변이에 관한 연구 (Spatial Variations of Nutrient Concentrations in Pennsylvania Watersheds)

  • Chang, Heejun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5호
    • /
    • pp.536-550
    • /
    • 2002
  • 이 연구는 7년 동안의 수문, 기후, 수질자료를 이용하여 펜실바니아 38개 유역 수질의 공간적 변이 패턴을 고찰하였다. 연구기간동안 도시적, 농업적 토지이용이 많은 유역에서 농도의 변이가 심하게 나타났다. 질소의 농도는 농업적 토지이용과. 인의 농도는 도시적 토지이용과 상관관계가 높게 나타났다. 주성분분석을 통해 이들의 농도 변이를 설명하는 주요 성분 셋이 - 토지 지형관련, 기후관련, 규모 - 도출되었다. 부분 여분 분석을 통해 기후, 토지, 지형의 복합적인 영향이 질소 농도 변이의 28.1%를 설명하고 있으며, 순수한 토지 변수의 영향이 인 농도의 41.8 o/o를 설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주 전체적인 차원에서 농도변이의 뚜렷한 지리적 패턴-북서부지역의 낮은 농도와 남동부지역의 높은 농도-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지역적 규모에서 수문, 기후, 토지이용, 지형 등 여러 가지 환경변수의 복합적인 상호관련성을 반영하고 있다.

서울시 지하철 터널 내 입자상물질의 농도 특성 및 오염형태 분류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Concentration and Classification of Contamination Patterns in the Seoul Metropolitan Subway Tunnels)

  • 이은선;이태정;박민빈;박덕신;김동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593-604
    • /
    • 2017
  • The suspended particulate matter(PM) was measured in subway tunnel of Seoul Line 1 to 9 in order to evaluate the pollution degree and characteristics of the PM in the subway tunnel. Also, to analyze the effect of outdoor aerosol concentration on the PM concentration of subway tunnels, the ambient PM concentration around the subway station was extracted by spatial analysis using $PM_{10}$ data of Seoul air pollution monitoring network. Finally, in order to understand pollution pattern in the Seoul subway tunnels,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based on input data set such as PM levels in tunnel, tunnel depth, length, curvature radius, outdoor ambient air pollution levels and so on. The average concentration of $PM_{10}$, $PM_{2.5}$, and $PM_1$ on subway tunnels were $98.0{\pm}37.4$, $78.4{\pm}28.7$, and $56.9{\pm}19.2{\mu}g/m^3$, respectively. As a result of the cluster analysis, tunnels from Seoul subway Line-1 to Line-9 were classified into five classes, and the concentrations and physical properties of the tunnels were compared. This study can provide a method to reduce PM concentration in tunnel for each pollution pattern and provide basic information about air quality control in Seoul subway tunn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