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ncentrate:Forage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18초

옥수수 Silage 및 조사료 급여 체계가 유량 및 유성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Corn Silage and Roughages Feeding Systems on Milk Yield and Compositions)

  • 이상무;이준영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3-52
    • /
    • 2004
  • 본 실험은 사료급여 종류가 동절기 우유의 생산량 및 조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기 위하여, 1998년 10월 부터 1999년 3월까지 실시하였다. 실험구 처리는 볏짚구(볏짚 위주 조사료+농후사료: T1)를 대조구로 하여 옥수수 사일리지구(옥수수 사일리지 위주 + 농후사료:T2) 및 TMR구(완전혼합사료: T3)를 상호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유 생산량은 T2(31.9$\pm$3.2kg) > T3(29.6$\pm$3.8kg) > T1구(22.5$\pm$2.0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P<0.05). 그리고 산차별 우유 생산량은 T2 및 T3구는 3산에서(P<0.01), T1구는 4산에서 높은 유량을 나타냈다. 2. 유지율은 T3구가 3.79$\pm$0.31%로 가장 높았던 반면 T1구는 2.64$\pm$0.20%(P<0.01)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으며, 산차별로는 2 산차가 높은 경향치를 보였다. 3. 단백질 함량은 사료종류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지만 T1구(3.17%$\pm$3.56%)에 비하여 T2(3.25$\pm$0.05%) 및 T3구(3.29$\pm$0.10%)가 높은 경향을 나타났으며(P<0.05), 산차에 따라서는 뚜렷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4. 무지고형분 함량은 T3(8.74$\pm$0.18%)>T2(8.47$\pm$0.22%)>T1구(8.56$\pm$0.04%)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고형분 함량은 T3(12.51$\pm$0.57%)>T1(11.71$\pm$0.62%) > T2구(11.52$\pm$0.55%) 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상호간 유의차는 없었다. 5. 체세포 수는 T1구가 39.6$\pm$4.6${\times}$$10^4$Cell/ml 로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던 반면 T2구는 28.7$\pm$4.4 ${\times}$ $10^4$ Cell/ml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볏짚구(T1)에 비하여 TMR(T3) 및 옥수수 사일리지(T3) 급여체계는 유량 증대 및 우유성분 함량을 높이는 데 매우 효율적인 방안으로 나타났다.

농후사료 급여 횟수가 제주산마(제주마×더러브렛)의 체중과 산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eeding Concentrates Frequency on Weight Change and Colic of Jeju Cross-bred Horses)

  • 우제훈;손준규;양병철;김남영;신상민;신문철;유지현;박남건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24-230
    • /
    • 2018
  • 본 연구는 농후사료의 급여 횟수에 따른 제주산마의 체중 변화 및 산통에 미치는 효과를 구명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축으로 36개월 내외의 제주산마를 공시하였으며, 농후사료를 체중의 2.5%로 2회, 3회, 4회로 급여한 후 체중 변화 및 생리적 변화와 혈액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증체량은 농후사료 일일 2회 급여구에서 55.80kg, 3회 급여구에서 54.40kg, 4회 급여구에서 63.00kg을 나타내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일당 증체량은 농후사료 일일 2회, 3회, 4회 급여구에서 각각 0.69kg, 0.67kg, 0.78kg을 나타내어 일일 2, 3회 급여구보다 4회 급여구에서 일일 증체량이 높은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p>0.05). 모든 처리구에서 직장 온도는 정상 범위보다 높은 경향을 보였고, 분 pH는 정상 범위보다 낮았으나 12주차에 모든 처리구에서 6.0보다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모든 처리구에서 높은 직장 온도와 낮은 분 pH를 보였지만 산통 증상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품종에 따른 차이에 의한 것으로 사료된다. 산통 지표로 알려진 피브리노겐과 질병 발생의 지표로 알려진 백혈구는 정상 범위 내에 있었고 시험 기간 동안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p>0.05). 결론적으로 제주산마에게 일반적인 농후사료 급여량보다 높은 양인 체중의 2.5%의 농후사료를 급여할 경우, 여러 번에 나누어 주는 것이 산통 발생 방지 및 소화에 도움이 될 것으로 가정했으나 급여 횟수에 따른 증체량, 혈액, 생리적 특성의 차이는 나타나지는 않았다. 결론적으로 제주산마에게 체중의 2.5% 농후사료를 12주간 2회, 3회, 4회 급여하는 것에 따른 생산성 및 산통 발생에 차이가 없어 노동력의 투입을 감안했을 때 2회로 나누어 주는 것이 유리할 것으로 사료된다.

옥수수 사일리지와 대두 사일리지의 혼합급여가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 및 거세한우의 성장과 육질등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rn Silage and Soybean Silage Mixture on Rume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In Vitro, and Growth Performance and Meat Grade of Hanwoo Steers)

  • 강주희;이기환;타비타 다메리아 마분;송재용;권찬호;윤두학;서진동;조영민;김진열;김은중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61-72
    • /
    • 2022
  • 옥수수사일리지와 대두 사일리지를 다양한 수준으로 혼합한 사일리지의 in vitro 반추위 발효성상을 평가하는 실험(실험 1)에서 가스발생량은 대두 사일리지의 혼합비율이 증가할수록 배양 48시간을 제외한 모든 발효시간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암모니아태 질소의 발생량은 배양 24시간에 대두 사일리지 대체율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p<0.05). 건물소화율은 배양 6시간을 제외한 전 배양시간에서 대두 사일리지의 첨가량이 감소함에 따라 낮은 경향을 보였고, acetate와 propionate를 비롯한 총 휘발성 지방산 생성량은 대두 사일리지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두번째 실험인 옥수수와 대두 혼합사일리지(4%, 원물기준)를 급여한 육성기 거세한우 사양실험에서 육성기에 옥수수-대두 혼합사일리지 급여구의 증체량과 사료효율이 대조구 및 옥수수 사일리지 처리구와 비교하여 높았다(p<0.05). 또한, 육질등급은 처리구별 유의차가 없었지만 옥수수-대두 혼합사일리지의 급여구에서 가장 우수한 육질등급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옥수수 사일리지에 대두 사일리지의 첨가는 반추위 발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옥수수 사일리지를 급여하는 육성기 거세 한우에게 4% 수준의 대두 사일리지 혼합급여는 증체량 및 사료효율에 영향을 미치며, 육질등급의 증가로 고급육 생산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답리작 재배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가 거세 한우의 증체, 사료요구량 및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Whole Crop Barley Silage Feeding on the Growth Performance, Feed Requirement and Meat Quality of Hanwoo Steers)

  • 서성;김원호;김종근;최기준;김기용;조원모;박범영;김영훈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257-266
    • /
    • 2010
  • 본 연구는 답리작에서 보리를 재배하여 사일리지를 조제하고 거세 한우에게 청보리 사일리지를 급여하여 성장, 사료이용성, 도체특성 및 육질개선 효과를 구명하고자 전북 정읍 농가에서 4개월령 거세 한우 육성우 21두를 공시하여 27개령까지 사육하였다. 대조구(일반볏짚구), 청보리 사일리지구, 생볏짚 사일리지+청보리 사일리지구 등 3처리를 두었으며, 배합사료는 육성기는 체중의 1.5%, 비육전기는 1.8%, 비육후기는 자유 채식하도록 하였고, 조사료는 사육기간 자유채식을 원칙으로 하였다. 청보리 사일리지의 평균 생산량은 ha당 사일리지 17,135 kg, 건물 6,011 kg 이었으며, 사일리지의 품질등급은 청보리에서 2~3등급, 생볏짚은 4등급이었다. 청보리 사일리지 급여로 거세 한우증체와 배합사료 절감효과가 뚜렷하였는데, 육성기에는 일당증체 65% 증가, kg 증체당 배합사료 35% 절감, 비육전기는 일당증체 7% 증가, kg 증체당 배합사료 19% 절감, 그리고 전기간으로는 일당증체 8% 증가, kg 증체당 배합사료 18% 절감효과가 있었다. 또 청보리 사일리지구에서 육질 1등급 이상 출현율은 62.5%로 대조구(37.5%)에 비해 높았으며, 근내지방도도 4.38로 대조구(2.75)에 비해 높았고, 고기의 보수력, 가열감량, 다즙성, 연도, 향미 등도 우수하였다(p<0.05). 답리작 재배 청보리는 양질 사료작물로 거세 한우의 증체와 배합사료 절감, 육질개선에 효과적이었으며, 육성기와 비육전기 위주 급여가 바람직하였고, 답리작을 이용한 월동 사료작물 재배확대가 기대되었다.

사양체계 및 NDF 급여 수준이 번식용 육성우의 혈중 대사물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eeding System and NDF Level on Blood Metabolism of Growing Cows)

  • 박병기;안준상;우종민;김민지;손기활;조상래;김병완;권응기;신종서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91-297
    • /
    • 2018
  • 본 연구는 사양체계 및 TMR의 NDF 수준이 번식용 젖소 육성우의 혈중 대사물질 농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고, 에너지, 단백질, 지질 및 간 기능 관련 지표 대사물질의 농도를 토대로 영양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공시동물은 번식용 젖소 육성우 50두를 공시하였으며, 시험구 배치는 사양체계에 따라 TMR 처리구(TMR) 및 배합사료 + 혼합 조사료 처리구(CON)의 2처리로 하였으며, TMR의 NDF 수준에 따라 53% 이상(T1), 50 ~ 53%(T2) 및 50% 이하(T3)로 3처리 하였다. 혈중 GLU 농도는 사양체계에 영향을 받지 않았지만, NDF 수준이 감소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사양체계가 혈중 단백질 관련 대사물질 농도에 미치는 영향은 없었으며, NDF 수준이 낮아질수록 혈중 ALB 농도가 증가되는 결과를 보였다(p<0.05). 혈중 CHOL 농도는 TMR 보다 CON 처리구에서 높았으며(p<0.05), NDF 수준이 낮을수록 증가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혈중 지질 농도는 TMR 보다 CON에서 높았으며, NDF 수준이 낮아질수록 높게 나타났다. 혈중 ALT 농도는 T3구가 T1 및 T2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에서 사양체계 및 TMR의 NDF 수준은 번식용 젖소 육성우의 혈중 대사물질 농도 변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사료섭취량 및 영양성분 수준을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애기수영이 우점한 고랭지 목초지에 제초제의 처리가 잡초방제 및 목초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erbicide Application on Weed Control and Forage Production in Alpine Grassland Predominated with Red Sorrel(Rumex acetosella L.))

  • 김영근;정종원;최연식;임영철;한성윤;나기준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865-874
    • /
    • 2003
  • 강원도 대관령지역의 목초지에 발생하는 광엽잡초 중의 하나인 애기수영의 방제에 우수한 약제 이용을 위한 예비선발 결과 경엽처리 제초제는 MCPP 액제를, 토양처리 제초제로는 펜디유제를 선발하였다. 경엽처리제인 MCPP액제 처리시 방제효과는 500$m\ell$/10a를 처리시가 77.2%, 750$m\ell$/10a 처리시가 82.8%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지상부 고사로 형성된 나지를 통해 출아한 애기수영의 개체수가 무처리구에 비해 4배 이상이었다. 애기수영이 우점한 목초지에 펜디유제를 처리한 결과 애기수영의 rhizome의 생육억제에는 전혀 효과가 없었으나 초지를 전면 갱신한 후 펜디유제를 300$m\ell$/10a를 처리한 결과 83.0%의 애기수영 종자의 발아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경엽처리제인 MCPP 액제와 토양처리제인 펜디유제를 연계처리시 MCPP 액제 500$m\ell$/10a와 750$m\ell$/10a의 농도로 먼저 처리한 처리구의 애기수영 방제효과가 각각 90.0%와 86.3%로 MCPP 액제를 나중 처리한 처리구의 66.7%와 78.3%보다 높았다. 지하부를 통해 재생하는 애기수영의 방제를 위해 MCPP 액제를 750$m\ell$/10a 농도로 20일 간격으로 2회 처리시 93.2%의 높은 방제가를 나타내었으며 목초의 수량도 높았다. 목초 중 MCPP 액제의 잔류량은 약제처리 20일째 500$m\ell$/ 10a 처리시 0.033ppm, 1000$m\ell$/10a 처리시 0.081 ppm을 나타내었으며, 펜디유제 잔류량은 약제처리 후 20일째 300$m\ell$/10a 처리시 0.07ppm, 600$m\ell$/10a 처리시 0.31ppm으로 두 약제 공히 잔류허용기준 0.5ppm 미만이었다.

Effects of Ambient Temperature on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Immune Cell Populations in Korean Cattle Steers

  • Kang, H.J.;Lee, I.K.;Piao, M.Y.;Gu, M.J.;Yun, C.H.;Kim, H.J.;Kim, K.H.;Baik,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9권3호
    • /
    • pp.436-443
    • /
    • 2016
  • Exposure to cold may affect growth performance in accordance with the metabolic and immunological activities of animals. We evaluated whether ambient temperature affects growth performance, blood metabolites, and immune cell populations in Korean cattle. Eighteen Korean cattle steers with a mean age of 10 months and a mean weight of 277 kg were used. All steers were fed a growing stage-concentrate diet at a rate of 1.5% of body weight and Timothy hay ad libitum for 8 weeks. Experimental period 1 (P1) was for four weeks from March 7 to April 3 and period 2 (P2) was four weeks from April 4 to May 1. Mean ($8.7^{\circ}C$) and minimum ($1.0^{\circ}C$) indoor ambient temperatures during P1 were lower (p<0.001) than those ($13.0^{\circ}C$ and $6.2^{\circ}C$, respectively) during P2. Daily dry matter feed intake in both the concentrate diet and forage groups was higher (p<0.001) during P2 than P1. Average daily weight gain was higher (p<0.001) during P2 (1.38 kg/d) than P1 (1.13 kg/d). Feed efficiency during P2 was higher (p = 0.015) than P1. Blood was collected three times; on March 7, April 4, and May 2. Nonesterified fatty acids (NEFA) were higher on March 7 than April 4 and May 2. Blood cortisol, glucose,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did not differ among months. Blood CD4+, CD8+, and CD4+CD25+ T cell percentages were higher, while CD8+CD25+ T cell percentage was lower, during the colder month of March than during May, suggesting that ambient temperature affects blood T cell populations. In conclusion, colder ambient temperature decreased growth and feed efficiency in Korean cattle steers. The higher circulating NEFA concentrations observed in March compared to April suggest that lipolysis may occur at colder ambient temperatures to generate heat and maintain body temperature, resulting in lower feed efficiency in March.

Suitability of Sainfoin (Onobrychis viciifolia) Hay as a Supplement to Fresh Grass in Dairy Cows

  • Scharenberg, A.;Kreuzer, M.;Dohme, Frigg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2권7호
    • /
    • pp.1005-1015
    • /
    • 2009
  • Two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utility of sainfoin hay, a temperate tanniferous forage legume, as a dietary supplement for grass-fed cows. The condensed tannins (CT) of sainfoin might counteract the typical metabolic ammonia load of cows in intensive grazing systems. Furthermore, the physical fibrousness of sainfoin might improve ruminal pH stability. In the preliminary experiment, the eating rate of non-lactating Holstein cows of two tanniferous hays, sainfoin and birdsfoot trefoil, was compared to that of a grass-clover hay after specific periods of time (n = 4). The eating rate of sainfoin was superior to that of the other forages. In the main experiment, designed as a replicated 3${\times}$3 Latin square, six ruminally-cannulated, lactating Red Holstein cows received grass, concentrate and either no supplementation, 3 kg/d of grass hay or 3 kg/d of sainfoin hay (n = 6). Measured intakes of the grass hay and the sainfoin hay were 2.0 and 1.5 kg DM, and two cows entirely refused to eat the sainfoin hay and had to be excluded from data analysis. Grass DMI was similar for cows supplemented with sainfoin hay and cows fed only grass whereas intake of concentrate was higher (p<0.01) for the latter treatment. Continuous measurement of ruminal pH showed that the minimum pH at night tended to be lower (p<0.10) with grass-only feeding compared to sainfoin supplementation, but pH did not decline below the threshold of subacute acidosis for a longer period of time. The slightly higher intake of nitrogen (N) for cows supplemented with sainfoin hay (413 g/d) compared to cows fed only grass (399 g/d) was accompanied by an increased (p<0.05) fecal N excretion and a tendency for an increased (p<0.10) urinary N excretion. Ruminal ammonia concentration, as well as plasma and milk urea, were not affected by sainfoin supplementation. In conclusion, the lack of positive effects typical for CT might be explained either by the limited CT content of this plant species (55 g/kg DM) or the relatively low proportion of sainfoin in the total diet or both. Moreover, due to the unexpected low grass quality, the general ammonia load might have been too low for CT to have an impact.

Evaluation of liquid and powdered forms of polyclonal antibody preparation against Streptococcus bovis and Fusobacterium necrophorum in cattle adapted or not adapted to highly fermentable carbohydrate diets

  • Cassiano, Eduardo Cuellar Orlandi;Perna, Flavio Junior;Barros, Tarley Araujo;Marino, Carolina Tobias;Pacheco, Rodrigo Dias Lauritano;Ferreira, Fernanda Altieri;Millen, Danilo Domingues;Martins, Mauricio Furlan;Pugine, Silvana Marina Piccoli;de Melo, Mariza Pires;Beauchemin, Karen Ann;Meyer, Paula Marques;Arrigoni, Mario de Beni;Rodrigues, Paulo Henrique Mazza
    • Animal Bioscience
    • /
    • 제34권1호
    • /
    • pp.74-84
    • /
    • 2021
  • Objective: Feed additives that modify rumen fermentation can be used to prevent metabolic disturbances such as acidosis and optimize beef cattle production. The study evaluated the effects of liquid and powdered forms of polyclonal antibody preparation (PAP) against Streptococcus bovis and Fusobacterium necrophorum on rumen fermentation parameters in ruminally cannulated non-lactating dairy cows that were adapted or unadapted to a high concentrate diet. Methods: A double 3×3 Latin square design was used with three PAP treatments (control, powdered, and liquid PAP) and two adaptation protocols (adapted, unadapted; applied to the square). Adapted animals were transitioned for 2 weeks from an all-forage to an 80% concentrate diet, while unadapted animals were switched abruptly. Results: Interactions between sampling time and adaptation were observed; 12 h after feeding, the adapted group had lower ruminal pH and greater total short chain fatty acid concentrations than the unadapted group, while the opposite was observed after 24 h. Acetate:propionate ratio, molar proportion of butyrate and ammonia nitrogen concentration were generally greater in adapted than unadapted cattle up to 36 h after feeding. Adaptation promoted 3.5 times the number of Entodinium protozoa but copy numbers of Streptococcus bovis and Fibrobacter succinogens genes in rumen fluid were not affected. However, neither liquid nor powdered forms of PAP altered rumen acidosis variables in adapted or unadapted animals. Conclusion: Adaptation of cattle to highly fermentable carbohydrate diets promoted a more stable ruminal environment, but PAP was not effective in this study in which no animal experienced acute or sub-acute rumen acidosis.

Effect of Supplementary Feeding of Concentrate on Nutrient Utilization and Production Performance of Ewes Grazing on Community Rangeland during Late Gestation and Early Lactation

  • Chaturvedi, O.H.;Bhatta, Raghavendra;Santra, A.;Mishra, A.S.;Mann, J.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6권7호
    • /
    • pp.983-987
    • /
    • 2003
  • Malpura and Kheri ewes (76) in their late gestation, weighing $34.40{\pm}0.95kg$ were randomly selected and divided into 4 groups of 19 each (G1, G2, G3 and G4). Ewes in all the groups were grazed on natural rangeland from 07.00 h to 18.00 h. Ewes in G1were maintained on sole grazing while ewes in G2, G3 and G4, in addition to grazing received concentrate mixture at the rate of 1% of their body weight during late gestation, early lactation and entire last quarter of pregnancy to early quarter of lactation, respectively. The herbage yield of the community rangeland was 0.82 metric ton dry matter/hectare. The diet consisted of (%) Guar (Cyamopsis tetragonoloba) bhusa, (59.2), Babool pods and leaves (17.2), Bajra (Pennisetum typhoides) stubbles (8.8), Doob (5.3), Aak (4.2) and others (5.3). The nutrient intake and its digestibility were higher (p<0.01) in G2, G3 and G4 as compared to G1 because of concentrate supplementation. The intakes of DM ($g/kg\;W{^0.75}$), DCP ($g/kg\;W{^0.75}$) and ME ($MJ/kg\;W{^0.75}$) were 56.7, 5.3 and 0.83; 82.7, 12.2 and 1.16; 82.7, 12.1 and 1.17 and 83.1, 12.3 and 1.18 in G1, G2, G3 and G4, respectively. The per cent digestibility of DM, OM, CP, NDF, ADF and cellulose was 57.9, 68.8, 68.7, 52.3, 37.5 and 68.4; 67.6, 76.1, 82.3, 60.6, 44.5 and 73.4; 67.6, 76.1, 81.5, 60.6, 44.8 and 74.5 and 67.6, 76.1, 82.3, 60.6, 44.7 and 73.3 in G1, G2, G3 and G4, respectively. The nutrient intake of G2, G3 and G4 ewes was sufficient to meet their requirements. The ewes raised on sole grazing lost weight at lambing in comparison to advanced pregnancy. However, ewes raised on supplementary feeding gained 1.9-2.5 kg at lambing. The birth weight of lambs in G2 (3.92) and G4 (4.07) was higher (p<0.01) than G1 (2.98), where as in G1 and G3 it was similar. The weight of lambs at 15, 45 and 60 days of age were higher in G2, G3 and G4 than in G1. Similarly, the average daily gain (ADG) after 60 days was also higher in G2, G3 and G4 than in G1. The milk-yield of lactating ewes in G2, G3 and G4 increased up to 150-250 g per day in comparison to G1. The birth weight, weight at 15, 30, 45 and 60 days, weight gain and ADG at 30 or 60 days was similar both in male and female lambs. It is concluded from this study that the biomass yield of the community rangeland is low and insufficient to meet the nutrient requirements of ewes during late gestation and early lact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concentrate supplementation at the rate of 1% of body weight to ewes during these critical stages to enhance their production performance, general condition as well as birth weight and growth rate of lam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