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lete edentulism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15초

Differences in Oral Health Status between Rural and Urban Populations of Korean Elders: A Population-Based Study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 (2013~2015)

  • Choi, Yong-Keum;Kim, Eun-Jeong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81-189
    • /
    • 2019
  • Background: Edentulism is associated with socioeconomic status, rural residence, and chronic disease, but no studies have investigated edentulism and residence factors together. All information that driv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related to edentulism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lanning and delivery of appropriate dental services for the elderly by national and oral health professionals.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prevalence of edentulism in adults aged over 60 years in Korea and to examine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in dentate status between people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after controlling for sociodemographic and other related factors. Methods: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collected from 2013 to 2015 as part of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VI, those individuals aged over 60 years and who had complete datasets were included (5,071). The number of teeth and residence status were categorized into two groups: edentate and dentate (1 or more); urban and rural. Multiple multivariat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sequentially applied to assess the association between dentate status and residence status after adjusting for potential confounders. Results: Rural areas, lower household income, and lower education levels were associated with a higher edentate rate. The number of teeth was lower in rural areas than in urban areas. After adjusting for various factors, statistically significant associations were present for women, low household income, low education level, poor perceived health status, and alcohol consumption in participants. Conclusion: Elders living in rural areas had poorer oral health than elders living in urban areas. The government will need to provide effective systems for promoting oral health for elders living in rural areas.

구강안면 근긴장이상을 가진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구치부 지르코니아 교합면을 갖는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 (Maxillary complete denture with posterior zirconia occlusion and mandibular implant support fixed prostheses in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with orofacial dystonia)

  • 서종민;정창모;이소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9권4호
    • /
    • pp.237-249
    • /
    • 2023
  • 구강안면 근긴장이상(Orofacial dystonia)은 자신의 의지와 상관없이 불수의적으로 얼굴, 입술, 혀 및 턱 주변을 불규칙적이거나 반복적으로 움직이는 신경운동학적 장애로 틱장애로 불리기도 한다. 이러한 증상을 갖는 무치악 환자는 총의치 사용의 어려움과 더불어 언어 장애 및 연하곤란, 구강안면의 통증까지 기능적이고 심미적인 문제점들을 겪게 된다. 본 증례에서는 비교적 젊은 나이에 완전 무치악 상태를 경험하게 된 구강안면 근긴장이상 환자를 위해, 양측 구치부 지르코니아 교합면을 갖는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의 수복치료를 시행하고 지속적인 미소훈련을 시행하여 안면근육의 심미적인 개선을 도모하고자 하였다. 치료의 결과, 환자는 저작기능과 심미성이 향상된 것 뿐만 아니라,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하여 정상적인 일상생활이 가능해진 것에 대해 매우 만족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임플란트용 플라스틱 트레이를 이용하여 하악 흡착의치를 제작하는 방법 (Technique for fabricating a mandibular suction denture with a plastic implant tray)

  • 이주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1호
    • /
    • pp.36-42
    • /
    • 2021
  • 하악 무치악 환자에게 치과용 임플란트를 이용한 피개의치가 우선적으로 추천된다. 그러나 많은 환자들은 경제적, 건강상태를 이유로 전통적인 총의치를 선택하기도 한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작된 총의치는 치조골 흡수가 심한 환자에서 간혹 유지 및 안정에 한계를 보인다. 이런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 폐구인상법을 이용한 흡착의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방법은 Frame cut back tray, Centric tray, Gnathometer M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진료실에서 흔히 사용되는 치과재료를 이용한 하악 흡착의치 제작과정을 소개하고자 한다.

단일 환자에서 디지털 및 전통적인 워크플로우로 제작한 두 쌍의 총의치를 장착하여 비교평가한 증례 보고 (Comparative evaluation of two sets of complete dentures fabricated by digital and conventional workflow in a single patient: A case report)

  • 김상현;오경철;박지만;김지환;문홍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9권3호
    • /
    • pp.350-358
    • /
    • 2021
  • 치과치료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함으로써 치료 과정을 단순화하고 환자의 불편감을 줄여줄 수 있다.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총의치의 경우 여러 상업적인 시스템들이 나와 있으나 아직 국내에서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지 않다. 본 증례 보고에서는 단일 환자에서 디지털 및 전통적인 치료 술식으로 제작한 두 쌍의 총의치를 장착한 뒤 이에 대한 환자의 만족도와 유지력, 안정성,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디지털 치료 술식으로 제작한 총의치는 개인화되어 디자인된 밀링된 치아를 이용했기 때문에 이상적 교합을 형성할 수 있었으며, 디지털 치은 디자인을 통해 심미성 또한 확보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임상결과를 보였으나, 전통적 제작 방식에 비해 하악 의치의 유지력이 떨어지는 등의 한계 또한 존재하였기에, 이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하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하이브리드형 보철물을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Full mouth rehabilitation of mandibular edentulous patient using implant hybrid prosthesis)

  • 김현숙;김소현;오남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25-30
    • /
    • 2018
  •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의 장점은 안정성, 편안함을 들 수 있으며, 생물학적 측면으로는 하악골 흡수를 방지할 수 있고 저작기능이 향상된다는 이점이 있다. 그중 하이브리드형 보철 수복은 하악골 이공사이에 4 - 6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양쪽 원심으로 캔틸레버를 만들어 구치부 치아를 대체하게 된다. 본 증례는 85세 여성 환자로 상하악의 무치악 상태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상악의 가철성 총의치, 하악의 임플란트 하이브리드형 보철물로 최종 치료하여 치료 후 기능적,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Contour of lingual surface in lower complete denture formed by polished surface impression

  • Heo, Yu-Ri;Kim, Hee-Jung;Son, Mee-Kyoung;Chung, Chae-Heon
    • The Journal of Advanced Prosthodontics
    • /
    • 제8권6호
    • /
    • pp.472-478
    • /
    • 2016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hapes of lingual polished surfaces in lower complete dentures formed by polished surface impressions and to provide reference data for use when manufacturing edentulous trays and lower complete dentures. MATERIALS AND METHODS. Twenty-six patients with mandibular edentulism were studied. After lower wax dentures were fabricated, wax was removed from the lingual side of the wax denture and a lingual polished surface impression was obtained with tissue conditioner. The definitive denture was scanned with a three-dimensional scanner, and scanned images were obtained. At the cross-sections of the lingual frenum, lateral incisors, first premolars, first molars, and anterior border of the retromolar pads, three points were marked and eight measurements were taken. The Kruskal-Wallis test and a post hoc analysis with the Mann-Whitney test were performed. RESULTS. Each patient showed similar values for the same areas on the left and right sides withou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height of the contour of the lingual polished surface at the lingual frenum was halfway between the occlusal plane and lingual border, it moved gradually in a downward direction. The angle from the occlusal plane to the height of the contour of the lingual polished surface was increased as it progressed from the lingual frenum towards the retromolar pads. CONCLUSION. The shape of the mandibular lingual polished surface was convex at the lingual frenum, lateral incisors and gradually flattened towards the first molars and retromolar pads.

총의치 장착 후 의치 조정 횟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후향적 연구 (Factors influencing the frequency of denture adjustments after delivery of complete denture: a retrospective study)

  • 이승원;윤준호;유진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239-245
    • /
    • 2022
  • 목적: 총의치를 장착한 환자에서 연령, 성별, 총의치를 장착한 악궁, 틀니 보험 적용 여부, 대합치의 종류, 의치 사용 경험, 무치악 기간, 의치상 종류 등에 따라 의치 장착 후 의치를 조정하는 횟수 및 기간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5년 간 국민건강보험 일산병원 치과보철과에서 총의치 장착을 시행한 만 65세 이상 환자의 의무기록을 대상으로, 총의치 장착 후 사후 점검의 횟수 및 기간을 평가하였다. 성별, 보험 적용 여부, 총의치를 장착한 악궁, 의치상 종류, 대합치의 종류, 의치 사용 경험, 연령 및 발치 후 의치를 장착하기 전 치유기간에 따른 총의치의 사후 점검 횟수 및 기간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기 위해서 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 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총 247개의 의치가 포함되었다. 평균 사후 점검 횟수의 중위수는 3회였으며, 사후 점검 기간의 중위수는 36일이었다. 의치를 하악에 장착한 경우가 상악에 장착한 경우보다 사후 점검 횟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P = .036) 대합치가 총의치인 경우가 국소의치인 경우에 비해 사후 점검 횟수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P = .016). 연령, 성별, 보험 적용 여부, 의치 사용 경험, 무치악 기간, 의치상 종류에 따른 사후 점검 횟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이번 연구의 한계 내에서, 의치의 조정 횟수는 의치를 장착한 악궁이 하악일 때 및 대합치가 총의치인 경우에서 증가하였다.

심한 치조골 흡수로 인해 편평한 치조제를 보이는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설측 교두 교합을 이용한 의치 수복 증례 (Complete denture treatment using lingualized occlusion scheme at the edentulous patient with severely absorbed flat residual ridges: a case report)

  • 최범식;이준석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3호
    • /
    • pp.207-215
    • /
    • 2017
  • 총의치 치료에서는 지지, 유지, 안정, 교합, 심미 등 고려할 요소가 많으나 치조골 흡수가 심한 경우, 해당 요인을 갖추기 어렵다. 해부학적 치아를 사용할 경우 좋은 저작효율과 심미성을 기대할 수 있으나, 흡수된 치조골에서는 안정이 저하될 수 있으며 비해부학적 치아는 이와 반대의 효과를 나타낸다. 이에 치아를 혼용하는 설측 교두 교합이 제시되었다. 설측 교두 교합에서 상, 하악 협측 교두는 중심위, 측방위에서 접촉되지 않고 교합접촉위치가 설측화 또는 중심화되어 의치의 안정성이 증대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하 치조제의 흡수가 진행되어, 상악에서 편평한 치조제를 보이는 경우로, 설측 교두 교합을 이용한 총의치를 이용하여 치료함으로써 의치의 안정성과 환자의 만족도를 높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 총의치와 하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 치료를 위한 치료법 비교: 증례 보고 (Comparison of treatments for maxillary full denture and mandibular implant-supported fixed prosthesis in completely edentulous patients: A case report)

  • 한진원;표세욱;장재승;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61권1호
    • /
    • pp.73-81
    • /
    • 2023
  •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상악은 전통적인 총의치 치료를 통해 충분한 안정, 지지 및 유지를 얻기 용이하지만, 하악은 해부학적 한계로 인하여 치료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임플란트를 동반한 치료를 고려할 수 있다.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어려운 경우에는 이공 전방에 4 - 5개의 임플란트를 이용하여 하악의 의치를 고정해주는 하이브리드 형 고정성 총의치로 치료할 수 있고,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이 가능한 경우라면 다수 유닛으로 구성되는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고려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방식은 시대가 지남에 따라 수술방식이나 사용하는 재료 등이 다양하게 변해왔다. 본 증례에서는 상악 총의치를 사용하는 완전 무치악 환자의 하악에서 임플란트를 이용한 고정성 보철 치료의 증례를 중심으로 치료 방법을 비교해 보고자 한다.

Locator R-Tx 부착 장치를 이용한 하악 임플란트 피개 의치 보철수복 증례 (Mandibular implant overdenture using Locator R-Tx attachment: A case report)

  • 이주형;손동석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8권4호
    • /
    • pp.335-341
    • /
    • 2020
  • 심한 하악골의 흡수는 총의치 사용에 어려움을 야기한다. 임플란트 피개 의치는 유지, 안정, 지지를 향상시키면서, 덜 침습적이고 경제적인 치료법이다. 현재 Locator 부착 장치는 많은 임상가에 의해 성공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Locator 부착 장치의 다음 세대인 Locator R-Tx 부착 장치가 최근에 출시되었다. 이 논문은 새로 출시된 Locator R-Tx 부착 장치를 이용하여 피개 의치를 제작하는 과정 및 Locator R-Tx 부착 장치의 특징들을 기술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