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parative morphology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23초

연질캡슐 피막물질로서 식물성 성분 원료와 젤라틴에 대한 품질특성 비교 (Comparative Characterization Study on Quality Attributes of Vegetable and Gelatin as Capsule Shell of Soft Capsule)

  • 김동욱;원권연
    • 약학회지
    • /
    • 제59권2호
    • /
    • pp.70-76
    • /
    • 2015
  • A Softgel is an oral dosage form for medicine similar to capsules and softgel dosage form offers several advantages over other oral dosage forms, such as delivering a liquid matrix designed to solubilize and improve the oral bioavailability of a poorly soluble compound as a unit dose solid dosage form, delivering low and ultra-low doses of a compound. This study aimed to qualify a proprietary vegetable soft capsule which contains modified starch and carrageenan as capsule shell components compare to the conventional gelatin softgel. Four kinds of samples were prepared with vegetable and gelatin capsule shell, respectively. Morphology of capsule shell, mechanical strength of capsule, and hygroscopic properties were studied for comparing the quality attributes of softgel. Short-term stability against heat and moisture was also investigated in this study. Vegetable capsule shell showed better mechanical strength, physical stability and disintegration time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than those of conventional gelatin capsule shell with four different filling materials used frequently as soft capsule form. Conclusively, this vegetable capsule shell polymer system can replace easily gelatin-shell systems and additionally allows encapsulation of lipid fills at high temperatures that are semisolid or solid-like at room temperature.

A new free-living marine nematode species of the genus Belbolla (Enoplida, Enchelidiidae) from a subtidal zone of the East Sea, Korea, with some ecological and biogeographical information

  • Rho, Hyun Soo;Lee, Heegab;Lee, Hyo Jin;Min, Wongi
    • 환경생물
    • /
    • 제38권4호
    • /
    • pp.578-585
    • /
    • 2020
  • A new free-living marine nematode species of the genus Belbolla Andrássy, 1973 belonging to the family Enchelidiidae is described based on specimens collected from the sediment of a subtidal benthic environmental habitat in the East Sea, Korea. Belbolla wonkimi sp. nov. differs from its congeners by the combination of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 relatively long body (3263-3396 ㎛), the absence of ocelli, nine oesophageal bulbs in the posterior pharynx, well-developed two winged precloacal supplements, longer spicule length(115-130㎛, 1.6-1.8 anal body diameter long), and a triangle-shaped shorter gubernacular apophysis (17-18 ㎛). Comparative tables on the biogeograph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Belbolla species are presented. A DIC (differential interference contrast) photomicrograph of the new species is also provided. This is the first taxonomic report on the genus Belbolla from Korean waters.

Heterostyly and pollen dimorphism of Menyanthes trifoliata

  • Hye-Rin KIM;Kweon HEO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53권1호
    • /
    • pp.9-13
    • /
    • 2023
  • Menyanthes trifoliata L., a heterostyly plant, is an endangered species in Korea. Floral morphology has been published for M. trifoliata, but few works have concentrated on pollen dimorphism differences accompanied by floral dimorphism. Here, we conducted a comparative morphological study of two morphs to investigate a dimorphism system with Korean populations. Pollen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were observed with a light microscope and a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or the pin type, pollen size is 36.01 ± 2.01 ㎛, whereas for the thrum type it is 41.28 ± 2.58 ㎛ in terms of the equatorial diameter. The two morphs have a small apocolpium field at 5.62 ± 0.30 for the pin type and 6.24 ± 0.70 for the thrum type. The configuration of the aperture was tricolpate with a striate ridge in the two morphs. However, they have different pollen shapes and sizes, stigma shapes, and apocolpium sizes. M. trifoliata only has different pollen sizes and shapes between European populations and Korean populations. Nevertheless, Korean populations also show pollen dimorphism correlated with their floral dimorphism.

일상 생활용수 내 Zn-Al-Mg계 합금도금강재의 부식거동 (Corrosion Behavior of Zn-Al-Mg Alloy Coated Steel Exposed to Residential Water)

  • 이재원;김성진
    •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2권5호
    • /
    • pp.387-392
    • /
    • 202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orrosion resistance of Zn-Al-Mg alloy coated steel in residential water with trace quantities of Cl-. Comparative evaluations were performed using two commercial coated steel products, GI and Galvalume, as reference samples. Examination of corrosion morphology and measurement of weight loss revealed that the Zn-Al-Mg alloy coated steel exhibited higher corrosion resistance than reference samples. This finding suggests that the alloy coated steel possesses long-term corrosion resistance not only in highly Cl- concentrated environments such as seawater, but also in environments with extremely low levels of Cl- found in residential water. The primary factor contributing to the superior corrosion resistance of the Zn-Al-Mg alloy coated steel in residential water is the formation of an inhibiting corrosion product composed primarily of two phases: Zn5(OH)6(CO3)2 and Zn5(OH)8Cl2·H2O. The preferential dissolution of Mg from the corroded coating layer can increase alkalinity, which might enhance the thermodynamical stability of Zn5(OH)6(CO3)2.

한국인과 스칸디나비아계 백인의 두부자세와 두개안면구조의 형태에 관한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head postur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between koreans and scandinavian caucasians)

  • 오용덕;윤영주;김광원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707-720
    • /
    • 1999
  • 본 연구는 두부자세를 형성하는 두개저와 경추가 이루는 각의 차이가 두개안면구조의 형태에 어떠한 차이로 나타나는지를 파악해 보기 위하여, 51명의 한국인 성인 남자와 120명의 스칸디나비아계 백인, 성인 남자를 대상으로 자연상태의 두부위치로 촬영하여 얻은 두부방사선계측사진에서 두부자세변수, 두개저, 경추, 상악골, 하악골, 상하악 악골관계 그리고 치아, 치조에 관련된 변수를 설정, 이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NSL/OPT로 표현되는 두개와 경추가 이루는 각은 한국인에서 평균 9.28도 더 크게 나타났다. 2. n-s로 표현되는 전두개저의 길이는 한국인에서 평균 4.66 mm가 더 짧게 나타났다. 3. sp-pm 및 ss-pm으로 표현되는 상악골 기저의 길이는 한국인에서 각각 평균 2.75 mm, 4.65 mm더 짧은 양상을 보였으며, n-sp로 표현되는 상악골의 전방부 고경, 그리고 s-pm으로 표현되는 상악골의 후방부 고경은 각각 2.60 mm, 2.06 mm더 긴 양상을 보이는 한편, NSL/NL로 표현되는 상악골의 두개저에 대한 기울기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4. pg-tgo로 표현되는 하악골체의 길이와 ar-tgo로 표현되는 하악골지의 고경은 두 표본에서 동일한 양상을 보였으나, ML/RL로 표현되는 하악우각부는 한국인에서 3.22도 작은 양상을 보였고, NSL/ML로 표현되는 두개저에 대한 하악골의 경사도는 한국인에서 2.44도 더 큰 양상을 보였다. 5. s-n-sp 및 s-n-ss로 표현되는 상악골의 두개저에 대한 돌출도, 그리고 s-n-sm으로 표현되는 하악골의 두개저에 대한 돌출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6. ss-n-pg로 표현되는 상,하악골의 전후방적 관계는 한국인에서 1.44도 더 큰 양상을 보였으나. NL/ML로 표현되는 수직적관계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7. n-go으로 표현되는 전안면고경은 한국인에서 5.57 mm 더 큰 양상을 보였다. 8. CL/ML로 표현되는 하악치조의 돌출도는 한국인에서 5.71도 더 큰 양상을 보였으며, ILs/ILi로 표현되는 상,하악 전치가 이루는 각은 한국인에서 3.08도 더 작은 양상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는 두개저와 경추가 이루는 두부자세에 따라 두개안면구조의 형태가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형질전환 돼지의 정자와 일반돼지의 정자성상에 대한 비교평가 (Comparative Evaluation on Sperm Parameter of Transgenic Pigs with General Pigs)

  • 박상현;이건섭;이주영;김경운;변승준;옥선아;황성수;양현;우제석;오건봉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27-233
    • /
    • 2017
  • Pig has been known to be one of the most feasible animals as a bioreactor to produce pharmaceuticals in milk and as a mediator in xenotransplantation research. Previously, we generated transgenic pigs for both purposes, which were expressing Factor 8, vWF, hTPA, and hEPO in milk, along with expression of MCP at GalT gene locus ($GalT^{-MCP/-MCP}$) as well as expressing MCP at GalT gene loci with CD73 expression ($GalT^{-MCP/+}/CD73$). In this study, we performed comparative analyses of sperm parameters between wild type male (WT) pig and those transgenic males to examine the effects of transgenes integrated into the pigs on motility, morphology,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of the spermatozoa. Our results showed that the rates of actively motile spermatozoa of WT, Factor 8, vWF, hTPA, hEPO, $GalT^{-MCP/+}/CD73$, and $GalT^{-MCP/-MCP}$ pigs were 85.0%, 83.3%, 82.5%, 83.3%, 82.5%, 77.5%, and 78.7%, respectively. Whereas, the rates of morphologically normal spermatozoa of WT, Factor 8, vWF, hTPA, hEPO, $GalT^{-MCP/+}/CD73$, and $GalT^{-MCP/-MCP}$ pigs were 90.0%, 80.0%, 80.0%, 83.3%, 85.0%, 91.8%, and 80.8%,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viability in spermatozoa of WT, Factor 8, vWF, hTPA, hEPO, $GalT^{-MCP/+}/CD73$, and $GalT^{-MCP/-MCP}$ pigs were 93.9%, 82.4%, 89.9%, 83.9%, 87.4%, 92.8%, and 83.6%, respectively. The rates of spermatozoa with normal acrosome integrity in WT, Factor 8, vWF, hTPA, hEPO, $GalT^{-MCP/+}/CD73$, and $GalT^{-MCP/-MCP}$ pigs were 98.1%, 98.6%, 98.6%, 98.7%, 98.1%, 99.5%, and 95.1%, respectivel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ility, morphology, viability, and acrosome integrity of the spermatozoa among WT, Factor 8, vWF, hTPA, and hEPO, $GalT^{-MCP/+}/CD73$, and $GalT^{-MCP/-MCP}$ pigs. These mean that neither random integration nor targeted integration of the transgene into chromosome of pig effect on characteristics of spermatozoa. Ultimately, the transgenic male pigs subjected in this study could apply to propagate their progenies for production of human therapeutic proteins and advancing the xenotransplantation research.

한국산(韓國産) 모래무지아과(亞科)(Gobioninae) 어류의 미설골(尾舌骨)에 대한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Urohyal of the Subfamily Gobioninae of Korea)

  • 김익수;강언종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1권1_2호
    • /
    • pp.24-34
    • /
    • 1989
  • 외부형태를 근거로 구분되어 온 잉어과(科)(Cyprinidae)의 모래무지아과(亞科)(Gobioninae)어류는 아과(亞科)의 한계가 학자 간에 일치되지 않아 분류학적으로 문제된다. 본 연구는 이의 규명을 위해 한국산 모래무지아과(亞科) 어류(魚類) 14속(屬)에 대해 두골의 형질을 재검토하던 중 미설골(urohyal)의 형질이 뚜렷한 형질전이 상태를 보여 주목되었다. 한국산 모래무지아과(亞科) 어류는 미설골의 형질상태에 의해 다음과 같은 4개의 group으로 구분되었다. 1. Coreo leuciscus, Gnathopogon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후연이 쐐기모양으로 패인 원추형이고, 그 길이는 수직판보다 길다. 2. Squalidus, Hemibarbus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뒤로 갈수록 넓어지며 후연은 뾰죽하게 뻗은 긴 마름모꼴로, 그 길이는 수직판과 거의 같다. 3. Sarcocheilichthys, Pseudorasbora, Pseudopungtungia, Pungtungia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중앙부분이 매우 넓은 마름모꼴로, 그 길이는 수직판 보다 길고, 인대가 부착되는 선단은 2분지 되지 않으며, 중앙부분이 복면을 향해 굽어 있다. 4. Ladislavia, Gobiobotia, Abbottina, Hicrophysogobio, Pseudogobio, Saurogobio group ; 수평판의 형태는 뒤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침상 혹은 넓은 쐐기모양으로, 그 길이는 수직판보다 짧고, 선단의 인대가 부착되는 부위는 배면으로 비후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adductor mandibulae complex와 geniohyoideus 등의 근육형질이나 두부 측선감각관 등의 형질에 의한 결과와도 일치되는 것으로 주목된다.

  • PDF

한국산 가자미과 어류의 미설골의 형태에 관하여 (MORPHOLOGY OF UROHYAL BONES OF PLEURONECTIDAE FISHES IN KOREAN WATERS)

  • 김용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5권4호
    • /
    • pp.121-127
    • /
    • 1972
  • 한국산 가자미과어류의 미설골의 형태를 비교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특질을 가지고 있음을 알았다. 1. 좌골부선단의 위치가 속 또는 종에 따라 달리하고 있는데, 주부의 선단에서 각을 이루는 부분까지의 거리의 1/2(Platichthys 및 Cleisthenes), 앞쪽에서 1/3(Eopsetta 및 Tanakius), 뒷쪽에서 1/4(Verasper 및 Dexistes), 동일위치 (Limanda, Clidoderma, Glyptocephalus 및 Microstomus), 2배의 거리 (Kareius 및 Pleuronichthys)에 있는 것등으로 나누어지며 , 좌골부선단의 모양은 절두형인 것(Eopsetta, Verasper, Limanda, Platichthys, Tanakius 및 Glyptocephalus), 끝이 뾰족하고 위로 향한 것(Kareius, Pleuronichthys, Clidoderma 및 Microstomus), 끝이 뾰족하며 앞으로 향한 것(Cleisthenes 및 Dexistes)등 세가지형으로 나누어진다. 2. 분문돌기는 발달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고 그 모양도 다양하다. 비교적 큰 것에 속하는 것(Eopsetta, Verasper, Platichthys, Tanakius, Kareius 및 Dexistes), 작은 것(Pleuronichthys 및 Clidoderma), 막대기 모양인 것(Glyptocephalus), 보통인 것(Limanda, Microstomus 및 Cleisthenes)등 의 네가지로 나누어지며, 모양은 상연이 둘로 갈라져 날개 모양을 한 것(Eopsette, Verasper, Limanda, Platichthys, Tanakius, Glyptocephalus, Kareius, Pleuronichthys 및 Clidoderma), 끝이 뾰족한 것 (Microstomus 및 Cleisthenes), 절두형에다 내연이 발달한 것(Dexistes) 등 세가지로 나누어진다. 3. 주부와 좌골부가 만드는 각도는 Pleuronichthys, Clidoderma, Microstomus의 반타원형을 제외하고는 $30^{\circ}$에서 $60^{\circ}$까지의 각도를 이루고 있다.

  • PDF

직접 메탄올 연료전지용 술폰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전해질 막의 혼합 캐스팅 용매에 따른 형태 및 특성 (Effects of Mixed Casting Solvents on Morp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Sulfonated Poly(aryl ether sulfone) Membranes for DMFC Applications)

  • 홍영택;박지영;최준규;최국종;황택성;김형중
    • 멤브레인
    • /
    • 제18권4호
    • /
    • pp.282-293
    • /
    • 2008
  • 친전자성 치환반응으로 제조된 술폰화 단량체, 비(非)술폰화 단량체 및 탄산칼륨을 이용하는 직접 중합법을 통하여 높은 점도의 술폰화 폴리아릴에테르술폰 공중합체를 합성하고, 이들을 원료로 N-메틸-2-피롤리돈(NMP)과 디메틸아세트아미드(DMAc)의 혼합 용매 상에서 직접 메탄을 연료전지용 고분자 전해질 막을 제조하였다. 막 제조 시의 용매 효과에 주목하여 혼합 용매의 부피 비는 $0{\sim}100%$로 변화시키고 공중합체의 술폰화도는 50%로 고정하였다. 이온 전도도 및 메탄올 투과도 측정을 통하여 최종 전해질 막의 기본 특성을 파악하고, 주사전자현미경 및 원자간력현미경분석을 통한 표면 분석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이들의 상관관계를 고찰하였다. 막 제조 시의 용매 혼합 비율을 적절히 조절함에 따라 최종 전해질 막의 이온 전도도를 크게 향상시킬 수 있음이 확인되었는데, $25^{\circ}C$의 100% 가습 환경에서 측정된 수소 이온 전도도는 NMP : DMAc 50:50 부피/부피-%에서 최대 $1.38{\times}10^{-1}\;S/cm$이었다.

갈가자미, Tanakius kitaharae와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 (가자미과) 자어의 형태 비교 (Comparative Morphology of Tanakius kitaharae and Glyptocephalus stelleri (Pleuronectidae) Larvae)

  • 장서하;정경미;박정호;김진구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164-174
    • /
    • 2016
  • 가자미과 (Pleuronectidae)에 속하는 갈가자미 (Tanakius Kitaharae)와 기름가자미 (Glyptocephalus stelleri)는 성어기 뿐만 아니라 초기생활기에도 외형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오동정의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두 종의 자어 시기의 형태발달과정을 상세히 비교하여 종 동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2014~2016년 동안 동해, 남해 및 제주 근해에서 채집된 갈가자미 자어 58개체 및 기름가자미 자어 5개체를 대상으로 분자동정 및 형태 비교를 수행하였다. 갈가자미의 중기자어 (10.23~16.77 mm total length, TL)와 기름가자미의 중기자어 (14.33 mm TL)는 계측값에서 중복되나 지느러미 가장자리 흑색소포의 유무 (갈가자미는 있음 vs. 기름가자미는 없음)와 견대 뒤쪽 흑색소포열의 유무 (갈가자미는 없음 vs. 기름가자미는 있음)에서 구분되었다. 갈가자미의 후기자어 (17.12~24.92 mm TL)와 기름가자미의 후기자어 (27.71~42.67 mm TL)는 계측값에서 잘 구분되었으며, 나아가 꼬리 측면 중앙부 흑색소포군의 개수 (갈가자미는 2개 vs. 기름가자미는 5개), 등지느러미와 뒷지느러미 담기골의 흑색 소포 형태 (갈가자미는 5~6개의 흑색소포군이 등간격으로 분포 vs. 기름가자미는 담기골 기부를 따라 점모양 흑색소포가 불규칙하게 분포)에서 차이를 보였다. 갈가자미 자어는 전장 23.13~24.92 mm에서 왼쪽 눈이 머리의 등쪽 정중선에 도달하는 반면 기름가자미 자어는 전장 38.66~42.67 mm에서 왼쪽 눈이 머리의 등쪽 정중선에 도달하지 못하여 변태시기에서 차이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