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resource

검색결과 840건 처리시간 0.025초

지역사회 네트워킹(community networking) 형성·유지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Study of successful community networking experiences of social workers)

  • 정정호
    • 사회복지연구
    • /
    • 제45권2호
    • /
    • pp.289-325
    • /
    • 2014
  •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필요성과 효과에 대한 많은 기대와 논의에도 불구하고 실제 현장에서의 많은 네트워킹 노력은 성과를 보지 못하거나 쉽게 와해되곤 한다.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출발한 이 연구는 질적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해 나가려는 사회복지 네트워커의 관점에서 지역사회 네트워크 조직경험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개 지역, 6명 현장 실천가들을 심층면접 하였고 이들의 지역사회 네트워크 형성 유지 경험을 분석하여 네트워크 조직가가 되길 원하는 사회복지사들에게 필요한 실천 지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는 총 12개 범주와 4개 주제(리더/리더십 구축, 파트너십/팀웍 형성, 환경의 특성과 영향력 이해, 네트워크 유지 방안 마련)로 구분되었다.

알코올 중독자 회복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치료공동체를 중심으로) (Phenomenological Research on Rehabilitation Experience of Alcoholics, Focusing on Therapeutic Community)

  • 정현숙;나동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6호
    • /
    • pp.424-440
    • /
    • 2019
  • 본 연구는 치료공동체에 거주하고 있는 회복자들의 회복경험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에는 치료공동체에 거주하고 있는 회복자 9명이 참여하였다. 자료는 심층 면담을 통해 구성했고 Giorgi가 제안한 기술적 현상학적 분석 단계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연구참여자들은 직면의 용기, 책임감의 부활, 일상생활속의 사회기술 훈련, 치료동맹자 가족, 노동생산성 향상, 가족으로 돌아가는 황금의 다리, 자기실존과의 조우라는 경험을 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자들은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치료공동체 내에 직업훈련 프로그램의 도입, 치료공동체와 지역사회 자원과의 연계, 치료공동체 프로그램에 가족 참여를 제안하였다.

사회복지조직의 자원개발 실태연구 -장애인 거주시설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urrent Statue of Resources Development in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Focusing on the Residential Facilitie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 정현경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40-652
    • /
    • 2020
  • 본 연구는 사회복지 조직의 자원개발이 중요하게 부각되는 현 시점에서 장애인 거주시설의 자원개발 현황을 파악하여 자원개발 활성화에 필요한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전국에 소재한 장애인 거주시설 255개소를 대상으로 자원개발 현황과 욕구에 관한 서베이 조사를 실시하였고, 자원개발의 필요성과 지원 방안에 대한 심층적인 의견을 듣고자 초점집단면접을 진행하였다. 조사 결과, 장애인 거주시설은 자원개발의 50% 이상을 개인 기부에 의존하고 있었으며, 전담인력 유무에 따라 자원개발 계획과 이행 성과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인 추천 등 직접적인 요청 중심의 자원개발 방식이 제한되어 있었으며, 전담인력 부재, 자원개발 관련 지식 및 기술 부족, 지역사회 내 시설에 대한 관심 부재 등의 어려움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본 연구는 전담인력 배치, 다양한 자원개발 방식 도입, 투명성과 신뢰성을 기반으로 한 자원개발, 자원개발에 대한 단계적 전문교육 체계 마련 등의 발전방안을 제안하였다.

Three New Records of Mortierella Species Isolated from Crop Field Soil in Korea

  • Yadav, Dil Raj;Kim, Sang Woo;Adhikari, Mahesh;Um, Yong Hyun;Kim, Hyun Seung;Kim, Changmu;Lee, Hyang Burm;Lee, Youn Su
    • Mycobiology
    • /
    • 제43권3호
    • /
    • pp.203-209
    • /
    • 2015
  • Three new fungal species of the genus Mortierella, Mortierella zychae, Mortierella ambigua, and Mortierella indohii, have been reported in Korea. The fungi were encountered during a study on the fungal community of soil samples collected from different locations in Korea. The species were identified based on molecular and morphological analyses. This study presents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morphological observations and molecular phylogenetic analysis of these three fungi. All three species were found to be sensitive to triphenyltetrazolium chloride staining. M. zychae demonstrated the highest intensity of mycelial staining, indicating that this species has the highest potential to produce arachidonic acid of the three species. The stain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newly recorded species could potentially be useful for arachidonic acid production.

학교보건에서 환경의 영역 (The Scope of Environment in School Health)

  • 이주열
    • 한국학교ㆍ지역보건교육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131-136
    • /
    • 2000
  • This study redefined school health environment in Korea, especially inter-school environment, according to the comprehensive meaning of health. The scope of inter-school health 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physical environment, biological chemical environment, social environment, and mental. emotional environment. While the environment management was classified into safety management, hygiene management, and living management according to management method, These analytical tools will contribute to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cope of school health and will be an available resource in school health practice.

  • PDF

자원적정지각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the Perceived Adequacy of Resorces Scale)

  • 조영희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9권2호
    • /
    • pp.241-251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e development of scale to measure the Perceived Adequacy of Resources(PAR). A 38-item instrument was analysed with responses form 300 wives dwelling in Seoul. PAR was categorized housing, health, time money, interpersonal, knowledge/skills, community resources, Data were analysed by the method of Pearson's Correlation,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Items were loaded eight resource categories such as time housing, money , health, knowledge, social support, community, psychological relationship. Internal consistency of the scale was high(Cronbach's α=.85) The result proposed PAR constructed 28 items.

  • PDF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의 군락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Pinus densiflora and Quercus mongolica forest in Jochimryeong to Shinbaeryeong of the Baekdudaegan)

  • 이하영;김혜진;신학섭;한상학;고승연;송주현;이중효;장경환;윤충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3권3호
    • /
    • pp.339-352
    • /
    • 2014
  • 백두대간 조침령-신배령 구간 소나무림과 신갈나무림을 대상으로 2012년 4월부터 2013년 8월까지 영구조사구($100m{\times}100m$)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총 50개소의 산림식생조사 자료를 토대로 Z-M식물사회학적 방법에 의해 식생유형 분류를 수행하였던바, 최상위 수준에서 신갈나무군락군이 분류되었으며, 군락단위에서는 물푸레나무군락과 까치박달군락으로 세분되었다. 물푸레나무군락은 군단위에서 소나무군과 가래나무군으로 나누어지며, 소나무군은 다시 회나무소군과 머루소군으로 분류되었고, 까치박달군락은 시닥나무군과 사스래나무군으로 각각 세분되어, 총 5개의 식생단위로 분류되었다. 식생단위별 중요치를 분석한 결과 소나무림에서 소나무와 신갈나무의 중요치가 20%이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소나무가 신갈나무보다 상대피도가 50%이상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종간연관 분석결과 크게 4개의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이는 식생단위의 식별종 및 표징종과 일치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소나무림의 흉고직경급별 개체 분포에서 중간직경급에서 개체수가 가장 많은 정규분포를 나타낸 소나무와 이를 제외한 다른 수종은 직경이 커질수록 개체수가 감소하는 역 J자형의 분포유형을 나타내어 소나무림에서 신갈나무림으로 교체될 가능성이 크다 판단된다. 반면 신갈나무림에서는 신갈나무를 포함한 다른 수종 모두 역 J자형의 분포유형을 나타내어 신갈나무림은 당분간 안정된 상태로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었다.

요양보호 대상노인의 서비스 요구도 평가 (Needs Assessment of Elderly for Community-based Long-Term Care)

  • 이재창;김은경
    • 간호행정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7-77
    • /
    • 2005
  • Purpose: Needs of health-welfare-medical service for the elderly is rapidly increasing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needs of health-welfare-medical service for the long-term care elderly in the community and to compare differences by their characteristics. Method: Needs assessment was completed in the homes of 598 persons over 65 years by using the tool of needs assessment, between November and December, 2003. We examined all the health-welfare-medical service of elderly in the community. Data were analyzed using SAS program. Result: The needs of the long-term care elderly in community was largest 'home visiting service of visiting nurse(87.5%)', and then 'religious,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73.9%)', 'home visiting therapy of physician(58.5%)', 'social support service(55.7%)', 'health improvement program of public health center and social welfare center(51.8%)', 'health examination(48.8%)' followed. The difference of health-welfare-medical service needs among characteristics(age, medical security, caregiver existence, and region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by service contents(p<0.05 or p<0.01). Conclusion: We can apply it in the distribution of community resource and the development of service providing programs by figure out the needs assessment for the long-term care elderly in the community, and consequently, through this, realizing the health maintenance and promotion of the long-term care elderly.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