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ty Cemetery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5초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도시묘지 활용 (Use of Urban Cemetery for Field Trips)

  • 이숙미;오충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98-111
    • /
    • 2012
  • 본 연구는 도시묘지가 갖는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이다. 현장체험학습 프로그램을 활발히 진행하고 있는 미국 사례와 우리나라 사례를 비교하여 차이점과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묘지는 지역 내 현장체험학습장으로 충분한 자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따라서 이를 활용한 교육프로그램이 개발된다면 도시는 더욱 풍부한 교육자원을 가지게 되며, 주민과 학생에게는 현재보다 다양한 교육 기회가 제공될 수 있다. 미국 사례와 우리나라 사례를 비교한 결과 미국의 묘지에서 활발한 교육프로그램이 진행될 수 있는 것은 묘지를 정원이나 공원과 같이 경관적으로 아름답고 쾌적하게 조성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숲으로 보전해 왔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사회 묘지를 현장체험학습 장소로 적극 활용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도 기피시설이나 혐오시설이라는 이미지를 탈피할 수 있도록 묘지를 리모델링하고 장묘문화를 변화시킨다면 묘지가 도시지역에서 부족한 현장체험학습장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새로운 묘지공원을 위한 디자인 (The Design for New Cemetery Park)

  • 박태수;최선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0호
    • /
    • pp.161-170
    • /
    • 2017
  • 한국 정부는 매장지의 부족으로 인해 추모공원의 경우 제한된 시간동안 매장을 하고 기한이 끝나면 유골을 화장하여 처리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새로운 묘지 디자인은 한국의 도시권에서 한정된 매장지에 대한 체계적이고 효과적인 해결방안이 될 수 있다. 목적에 맞는 묘지 디자인 개발을 위해 게로[1] 의 FBS 모델을 이용하였다. 이 모델은 기능, 행위, 구조를 중심으로 동적인 성격의 맥락을 포함하고 있다. 이 연구는 단순한 묘지의 공학적 건설에 관심을 두기보다는 환경친화적 묘지라는 새로운 묘지 개념을 발전시키고자 한다. 즉, 종래의 단순한 묘지 기능에서 자연공원의 기능을 부가하기 위한 디자인 모형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지속 가능한 묘지 건설을 위한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미국동부 카운티 내 지역교회에 관한 건축적 특성에 연구 (A Study on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Community Church in County, VA in U. S. A.)

  • 정건채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79-86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a architectural characteristics of local church in Virginia, U. S. This study focuses on not only analyzing the worship and service program inherent in the site planning of local church but also introducing worship service space and chancel elements of it in the village of garden area. We surveyed five protestant churches where are located in suburban and rural area outside of Midlothian city in the early August, 2010. I surveyed church building site and worship service space of churches focused on platform design, interviewed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program of churches with ministers, and corrected annual calender and newslet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of site plan have a comfortable parking lots and site of churchyard(cemetery) with playground that can take an activities out of chapel. The axis of church building follows to front street. Second, worship services keep two types of traditional and comtemporary worship in order to consider of both adult and youth members. The worship hall has a balance of bilateral symmetry. Third, the form of platform is built that is able to perform a music drama and movement of sermon without only one church, GraceLand Church that church building has over fifty years, and they stick to simple traditional type of Chancel that is established by pulpit, table(altar), baptistery(only baptist church), music instruments, and so on.

홀로코스트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적 경관 (A Study on Commemorative Landscape in Holocaust Concentration Camp Memorials of Germany and Poland)

  • 이상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98-11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홀로코스트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하여 역사적 경관의 특성, 장소 및 유적의 특성, 그리고 기념적 모뉴멘트의 특성을 분석하고, 이를 통해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의 기념적 경관에 나타난 의미를 규명하였다. 연구대상은 폴란드에 있는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마이다네크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벨젝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소비보르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트레블링카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헤움노 절멸수용소 메모리얼 6개소와 독일에 있는 다하우 강제수용소 메모리얼 및 베르겐-벨젠 강제수용소 메모리얼 2개소를 포함하여 전체 8개소를 연구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2015년 9월 1일부터 9월 15일까지 독일에 있는 홀로코스트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1차 현지조사와 2016년 4월 19일부터 4월 28일까지 폴란드에 있는 절멸수용소 메모리얼에 대한 2차 현지조사를 시행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하우, 아우슈비츠, 마이다네크 수용소 메모리얼에서는 미국이나 러시아 등 연합군에 의해 수용소 시설 및 공간 구조가 유지된 상태로 해방되었기 때문에 수용소 경관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정치사회적 담론을 유발했던 모뉴멘트와 메모리얼이 제한적으로 설치되었다. 그러나 벨젝, 소비보르, 트레블링카, 헤움노 수용소 등 절멸수용소에서는 시설이 완전히 파괴된 후 인공적으로 조림이 되었기 때문에 자연경관이 지배적이었으며, 발굴된 유해와 유적을 보호하고, 기억의 장소에 모뉴멘트를 세웠다. 둘째, 가스실 및 화장장, 유해 및 공동묘지, 경비초소 및 전기울타리, 철로 및 램프, 수용소 막사, 배수로는 수용소 구조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시설로 나타났다. 특히, 가스실 및 화장장과 수용소에 버려진 유해 및 대규모 공동묘지는 수용소의 참혹한 역사를 잘 나타내고 있고, 수감자들이 이송되어 도착한 철로 및 램프도 강한 장소적 의미를 갖고 있었다. 이러한 수용소 유적은 폐허 속에서 사건과 장소의 기억을 강하게 불러일으키는 상징적 요소가 되었다. 셋째, 기념의 내용에 있어서는 희생자를 추모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홀로코스트의 기억을 되살리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징적으로 다하우 수용소 메모리얼에서는 종교적 화해와 평화를 나타내었으며, 트레블링카 및 벨젝 수용소 메모리얼에서는 유대인 공동체와 유대교에 근거하여 집단적 정체성을 강하게 나타내었다. 넷째, 모뉴멘트는 반추상 및 추상적 조각이나 상징적이고 은유적으로 홀로코스트를 표현하였으며, 아우슈비츠-비르케나우 수용소 메모리얼과 베르겐-벨젠 수용소 메모리얼에서는 지나친 추상성이나 기억의 경관을 훼손한다는 문제로 심각한 갈등을 빚기도 하였다. 다섯째, 사건 및 장소적 기억을 만들어내는 수용소 유적과 홀로코스트에 대한 공공의 기억을 위한 상징적 모뉴멘트가 병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관계에서 홀로코스트 사건 및 장소를 기억하며 수용소 부지의 진정성을 살리는 것과 사건을 의도적으로 기념하기 위한 시도가 대립되었다. 본 연구는 독일과 폴란드에 있는 대표적인 홀로코스트 강제수용소 메모리얼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함으로서 메모리얼을 구성하는 다양한 기념물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못하였다는 한계를 갖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기념공간에 나타난 기념적 경관에 대한 비교 분석이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