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unication Uncertainty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4초

문화적 다양성이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Cultural Diversity and Communication Barrier)

  • 양춘희
    • 유통과학연구
    • /
    • 제3권2호
    • /
    • pp.121-142
    • /
    • 2005
  • We're living in a world of one global village. The globalization of business is acceleration as more companies cross national borders to find customers, materials and money. Many foreign companies and organizations are doing their business aggressively in Korea and many Korean companies and rushing into foreign market. When people communicate for business with someone from another culture, there could be difficult communication barriers to overcome resulting from differences in their values, beliefs, norms for behavior, expectations, attitudes and so on. To do successfully business, we need to understand culture background and communication style that is different from nation, race, language. Communication barriers stemming from cultural differences may vary. Largely, they can be divided into value system, non-verbal communication, and perception process. Value system can be divided into individualism versus group orientation, avoidance of uncertainty degree, power distance, and high- context culture versus low-context culture. Also non-verbal communication method and perception process may play decisive roles in communication effectiveness. Especially nonverbal communication barriers which sometimes play more important roles than the verbal parts are composed of eye contact, gesture, kinesics, proxemics, chronemics, paralanguage and language of color Cross-cultural communication affect business situation. I expect that if we understand cultural background, and then we overcome cross-cultural communication barriers. To overcome and to adapt inter-cultural business, we need to develope curriculum on the cross-cultural education which I will study in the next paper.

  • PDF

조향벡터 에러에 강인한 효과적인 Capon 빔 형성기법 (Effective Capon Beamforming Robust to Steering Vector Errors)

  • 최양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8권5호
    • /
    • pp.115-122
    • /
    • 2011
  • 조향벡터(steering vector)에 에러가 있으면 적응 어레이(adaptive array)는 심한 성능저하를 겪게 된다. 이러한 에러로 인한 성능저하를 개선하기위해 DCRCB(doubly constrained robust Capon beamformer)에서는 벡터 norm 제한아래 구체 불확실 집합(spherical uncertainty set) 내의 벡터 중 출력전력을 최대로 하는 벡터를 조향벡터(steering vector)로 사용한다. 좋은 성능 개선을 위해서 불확실 집합의 반경, 즉 불확실 한계를 적절히 설정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반복탐색을 통해 조향벡터를 구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기존의 알려진 반복탐색 방식에서는 반복 종료를 위해 어떤 기준값을 결정해야 하는데, 이에 따른 어려움이 있다. 제안방식에서는 추정된 벡터와 신호부공간 거리가 더 이상 작아 지지 않으면 반복을 종료하며, 값 설정과 관련된 어떤 어려움도 없다. 시뮬레이션 결과에 따르면, 제안방식은 기존반복방식 그리고 최적의 불확실 한계로 설정된 표준 DCRCB 보다도 우수한 성능을 보여준다.

표적 특성에 따른 모노펄스 레이더 불확도 연구 (A monopulse radar uncertainty study classified on target property)

  • 장용식;류충호;김환우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229-236
    • /
    • 2017
  • 일반적으로 모노펄스 레이더의 오차 수준은 다중경로 간섭, 글린트, 동적 지연오차 등의 환경적 오차 요인이 제거된 이상적인 경우를 가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금까지는 외부 환경적 오차 요인이 포함된 모노펄스 레이더의 계측 불확도를 추정하여 왔다. 본 연구에서는 각기 다른 특성의 표적에 대해서 어떤 종류의 오차 요인이 모노펄스 레이더 계측 불확도 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았다. 이를 실험적으로 증명하기 위해서 먼저 환경적 오차 요인이 완벽히 제거된 이상적인 환경에서의 모의 실험 결과를 기술하였다. 이 결과와 함께 지상에 고정된 교정장치, 저속으로 기동하는 교정구, 고속으로 기동하는 비행표적에 대한 불확도를 추정함으로써 오차 요인이 포함된 각기 다른 특성의 표적에 대한 모노펄스 레이더 계측 불확도를 정량적으로 비교 고찰하였다.

함정 내 소음 평가를 위한 불확도 추정 기법 연구 (Study on the estimation of uncertainty for the air-borne noise measurements in a naval ship)

  • 김성용
    • Journal of Advanced Marine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38권4호
    • /
    • pp.396-402
    • /
    • 2014
  • 함정의 높은 함내소음은 승조원들 간의 의사전달을 방해하여 전투력 저하를 야기하고, 근무환경의 질을 떨어뜨리므로 함내소음 측정은 매우 중요한 관리 항목 중 하나이다. 그러므로 대부분의 신조함정은 인수 시운전 단계에서 함내소음을 측정하고 제시된 기준을 만족하도록 건조되고 있다. 함내소음 측정 결과로부터 기준 만족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측정 불확도를 고려하는 것이 반드시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함정 인수 시운전시의 함내소음 평가 방법을 소개하고, 함내소음을 평가하기 위한 불확도 추정 방법을 적용하였다. 신조 함정 7척에 적용한 결과, 함내 소음 불확도는 1dB 이하로 오차가 시운전 평가서 허용 오차(2dB) 내에 있음을 확인하였다. 현재 실험방법은 허용기준을 만족하고는 있지만 보다 신뢰성 있는 측정 결과를 위해 실험 방법 등의 개선으로 허용오차를 줄일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COVID-19 팬데믹 시대 성인의 불안과 우울의 예측 요인 (Predictors of anxiety and depression in Korean adults during COVID-19 pandemic)

  • 손정남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28-339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ental health status of Korean adult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to verify the predictors and mediating effects of avoidance coping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nxiety and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depression. Methods: An online survey was completed by 191 Korean adults from 19 to 64 years old. Using the IBM SPSS Win 19.0 program,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frequency, mean, t-test or analysis of variance,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Results: Of the survey respondents 21.5%, and 33.5% respectively were classified into anxiety and depression risk groups. The predictors of anxiety were intolerance of uncertainty (β=.52), avoidance coping (β=.21), and response efficacy (β=-.15). Those variables explained 47.7% of the respondents' anxiety. The predictors of depression were intolerance of uncertainty (β=.40), avoidance coping (β=.20), and response-efficacy (β=-.12). These variables explained 34.9% of the participants' depression. Among the predictors of anxiety and depression, avoidance coping was the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Conclusion: The predictors of anxiety and depression during the COVID-19 pandemic were revealed to be intolerance of uncertainty, avoidance coping, and response-efficacy. These results indicate the necessity of providing the cognitive interventions and reducing the use of avoidance coping strategies on a personal level. Community-level efforts, including early detection and health communication strategies, should prioritize risk groups for example young adults. The study suggests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information, psychological support and economic policy alternatives related to the COVID-19 pandemic on the national level.

이동체 데이타베이스에서 도로 네트워크를 이용한 불확실 위치데이타의 질의처리 (Query Processing of Uncertainty Position Using Road Networks for Moving Object Databases)

  • 안성우;안경환;배태욱;홍봉희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33권3호
    • /
    • pp.283-298
    • /
    • 2006
  • TPR-tree는 시간 함수 기반의 색인으로 위치 좌표와 속도 벡터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위치를 표현함으로써 현재 및 미래 위치 예측을 위한 질의에 사용된다. 그러나 이동체의 이동방향 및 속도가 특정 임계값을 벗어날 경우 매번 서버에 새로운 위치를 보고하기 때문에 차량과 같이 이동방향과 속도가 빈번하게 변하는 환경에 적용할 경우 서버로의 잦은 보고를 필요로 하게 되어 통신비용을 크게 증가시키는 문제가 있다. 통신비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서 이동체의 위치 보고를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수행하게 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보고되는 이동체의 위치를 저장하는 경우 보고 간격 사이에 속도와 방향이 변하게 되면 시간에 대한 선형적인 위치 예측 시에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이동체의 위치보고가 이루어질 때 속도와 방향의 불확실성을 반영하여 이동체의 위치 예측을 하기 위해 도로네트워크 정보를 적용한 질의 처리 기법 및 데이타 저장 구조를 제시한다. 제시된 기법은 도로 네트워크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체의 이동 방향을 도로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방향으로 제한함으로써 불확실 영역을 감소시키고 있으며 도로 네트워크 세그먼트의 종류별로 최대 속도를 설정하여 이동 속도와 변화에 대한 불확실성을 제거한다. 실험결과를 통하여 제안된 질의 처리 기법이 미래 위치에 대한 영역 질의 시에 False miss를 발생시키지 않으면서 False hit를 최소화 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TPR-tree를 이용한 기존의 질의 처리 기법보다 질의 영역의 크기에 따라 최대 60% 이상 위치 예측 정확도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Incorporation of Fuzzy Theory with Heavyweight Ontology and Its Application on Vague Information Retrieval for Decision Making

  • Bukhari, Ahmad C.;Kim, Yong-Gi
    • International Journal of Fuzzy Logic and Intelligent Systems
    • /
    • 제11권3호
    • /
    • pp.171-177
    • /
    • 2011
  • The decision making process is based on accurate and timely available information. To obtain precise information from the internet is becoming more difficult due to the continuous increase in vagueness and uncertainty from online information resources. This also poses a problem for blind people who desire the full use from online resources available to other users for decision making in their daily life. Ontology is considered as one of the emerging technology of knowledge representation and information sharing today. Fuzzy logic is a very popular technique of artificial intelligence which deals with imprecision and uncertainty. The classical ontology can deal ideally with crisp data but cannot give sufficient support to handle the imprecise data or information. In this paper, we incorporate fuzzy logic with heavyweight ontology to solve the imprecise information extraction problem from heterogeneous misty sources. Fuzzy ontology consists of fuzzy rules, fuzzy classes and their properties with axioms. We use Fuzzy OWL plug-in of Protege to model the fuzzy ontology. A prototype is developed which is based on OWL-2 (Web Ontology Language-2), PAL (Protege Axiom Language), and fuzzy logic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system.

불확도 요인 분석을 통한 교정 시스템 적합성 평가 및 시험기준 결정 방안 (Calibration System Suitability Evaluation and Test Limits Determination Method through Factor Analysis of Uncertainty)

  • 김홍탁;김부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6호
    • /
    • pp.1139-1144
    • /
    • 2019
  • 정밀측정장비의 성능을 진단 및 확인하는 교정 시스템은 교정결과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국제규격의 요구조건을 준수함으로 교정결과의 오판정 위험을 최소화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교정기관에서 고성능의 장비를 획득 및 운영하기에 불가능한 경우 불확도 요인 분석을 통한 교정 시스템 적합성 평가 방안과 가드밴드 기법을 이용하여 성능기준을 대체하는 최적화된 시험기준 산출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방법은 교정 시스템의 정량적인 평가기준과 국제규격에서 요구되는 허위수락위험 확률 기준을 충족을 위한 최적화된 시험기준을 제공한다.

조건부 정보엔트로피에 의한 불완전 정보시스템의 불확실성 측정 (Uncertainty Measurement of Incomplete Information System based on Conditional Information Entropy)

  • 박인규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107-113
    • /
    • 2014
  • 러프집합에서 식별불능의 관계와 근사공간의 개념을 이용해서 의사결정표로부터 최적화된 정보를 유도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결정표에서 데이터의 중복이나 비일관성은 피할 수 없기 때문에 속성의 중요성은 지식의 감축에서 매우 중요한 개념이다. 속성의 중요성에 대한 대수학적인 정의는 도메인중의 완전한 부분집합에 대한 해당 속성이 주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고, 정보이론적인 정의는 도메인 중의 불완전한 부분집합에 대한 해당 속성이 주는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다. 따라서 속성 중요성은 정보이론적인 관점의 정의와 대수학인 관점의 정의가 분명하게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정보시스템의 조건속성과 결정속성에 포함될 수 있는 정보를 최적화하기 위한 정보이론적인 척도로써 러프집합을 이용한 조건부 정보엔트로피를 제안하고 그 효용성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