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mercial Sales

검색결과 206건 처리시간 0.025초

지하철역과 연계된 시설이 역사 내부 상업공간 임대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acilities Linked to the Subway Stations on the Rent of Commercial Spaces Inside the Stations)

  • 조영혜;이명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61-273
    • /
    • 2022
  • 본 연구는 역사 내·외부 연계시설이 개별 임대 매장들이 집적된 역사 내부 상업공간의 활성화에 영향을 주는지를 분석하였다. 활성화 판단 요인을 매출을 대체할 수 있는 임대료로 하였다. 판매, 문화, 업무/주거, 공공기관, 교통의 연계시설 변수 외 역사의 입지 요인인 일일 승하차 인원과 역사 내부 상업공간의 가장 많은 업종수를 차지하는 상품 판매업을 독립변수로 선정하였다. 회귀분석 결과, 임대료는 상품 판매업, 연계된 판매, 교통시설 그리고 승하차 인원에 영향이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역사 내 상업공간 활성화에 구매력을 높일 수 있는 판매 상품 구성과 역사 내부로 유입인구를 증가시킬 수 있는 시설 연계 방향이 필요함이 도출된 것이다. 정책적인 관리 방안으로 활성화가 위축되어 공실 발생률이 높은 역사는 일상생활과 주민 편익을 위한 생활밀착형 생활 SOC 설치를 제언하였다.

패널모형을 활용한 코로나 발생 전후 전통시장 상권매출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nges in Commercial Sales of Traditional Market before/after the COVID-19 Occurrence using Panel Models)

  • 김단야
    • 지역연구
    • /
    • 제38권4호
    • /
    • pp.59-74
    • /
    • 2022
  • 코로나기간 동안 대면 영업을 위주로 운영하는 소상공인과 자영업자들은 경제적으로 큰 손실을 경험했다. 특히, 전통시장에 입점한 업체들의 경우, 온라인판매시스템으로의 전환이 비교적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아 상대적으로 피해가 더욱 심한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전통시장 상권매출 자료를 활용해 코로나의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코로나의 영향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하기 위해 패널고정효과 모형을 활용하였으며, 전통시장의 규모, 전통시장에 입점한 업체들의 유형에 따라 영향 정도를 세밀하게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예상과는 다르게 코로나 이전과 비교해서 코로나기간 동안 전통시장의 상권매출 변동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하지만, 코로나의 영향력은 전통시장 안에서 업종별로 차이를 보였는데, 코로나로 인해 가장 큰 피해를 입은 업종은 서비스업인 것으로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소매업, 음식점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시장 규모에 따라서도 코로나로 인한 영향이 다르게 나타났다. 전통시장의 경우, 대형마트에 비해 외부변화나 시대흐름에 민감하지 못하기 때문에 사람들의 소비패턴이나 행동패턴이 변하면 큰 피해가 따를 수 있다. 전통시장 활성화 전략을 세울 때, 전통시장이라는 공간에 대해서 동일한 인센티브나 전략적인 방안을 마련하기보다는 전통시장 안에서 업종별, 유형별로 세밀한 방안을 세울 필요가 있다.

주성분분석에 기반한 상권 활성화 요인 진단 연구 (Diagnostic Study of Commercial District Revitalization Factors based on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 정민주;김현우
    • 도시과학
    • /
    • 제12권1호
    • /
    • pp.49-58
    • /
    • 2023
  • 2020년 국내 첫 COVID-19 확진자 발생 이후 감염으로 인한 사회적 불안감이 조성되고 외출을 기피함에 따라 골목상권에도 경제적 피해가 발생하였다. 하지만 같은 골목상권이라도 골목상권의 특성에 따라 경제적 영향은 다르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서울시 지역생활권을 중심으로 COVID-19 이후 골목상권 매출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기존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매출 영향요인이라 도출된 6개의 특성을 가진 총 42개의 변수를 구성하였으며, 주성분분석을 통해 기존 혼재되어 사용되고 있던 변수의 차원을 축소하였다. 최종적으로 매출 영향요인은 12개의 변수로 축소되었으며 7개의 특성으로 재분류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존에 혼재되어 사용되던 상권 매출 영향 요인들을 표준화하였으며 이를 활용하여 추후 매출 차이를 실증적으로 분석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업공간 실내조경이 경영적 효과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Interiorlandscape in Commercial Spaces on the Management Benefits)

  • 김수연;이종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1-9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influence of interior landscape in commercial spaces on the management benefit. In the course of this study, objects of survey were selected from interior landscaping specialist, manager and consumer who had experiences to visit to the hotel, bank, department store and restaurant. The main method of data collection was interview, questions and gathering materials. The cronbach's alphas program was used to measure the reliability of likert scales. The analysis program was applied a statistical meth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factors considered by consumer who visits to the commercial space are design, interior landscape, traffic, parking capacity, cleanness, price, kindness of employee and event. Factors concerned with the product include branch size, traffic, parking capacity, kindness of employee. Factors concerned with facilities include branch size, traffic, parking capacity, kindness of employee. Major factors of those effects to management benefit are accessibility, time of stay, sales, efficiency of space, attractiveness and difference. In conclusion, overlap style gets the highest degree of satisfaction among total factors. Results of the survey show that factors which improve sales are overlap style and planter type. Among four commercial spaces, hotel is most effected by interior landscape. To enhance the sales of hotel, further study of interior landscape about hotel necessary. For bank and restaurant, further study of economic planter type and style is necessary. For department store, optimal use of spaces and case of maintenance are necessary.

  • PDF

The Impacts of Empowerment on the Teamwork Performance: Evidence from Commercial Banks in Vietnam

  • HA, Van Dung
    • The Journal of Asian Finance, Economics and Business
    • /
    • 제7권4호
    • /
    • pp.267-273
    • /
    • 2020
  • The research examines the impacts of empowering leadership on teamwork performance of the employees in sales departments at commercial banks in Vietnam. Based on the data from the sample survey of 406 employees in sales departments of commercial banks in Vietnam, the paper uses various types of statistical methods and assesses the reliability of scales with Cronbach's Alph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s well a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for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the Empowering Leadership factor has a directly positive impact on Knowledge Sharing and Teamwork Performance, which means when the Empowering Leadership is positive, the Knowledge Sharing and Teamwork Performance will increase. In addition, Empowering Leadership also has an indirect impact on Teamwork Performance through Knowledge Sharing factor, which means when the Empowering Leadership is positive, the Teamwork Performance will increase. Moreover, Knowledge Sharing factor has a directly positive impact on Teamwork Performance, which means when the Knowledge Sharing factor is positive, the Teamwork Performance will increase. The findings suggest that Empowering Leadership has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positive influence on Teamwork Performance. Moreover, Empowering leadership has a directly positive impact on Knowledge-sharing while Knowledge-sharing has a directly positive impact on Teamwork Performance of sales departments of commercial banks in Vietnam.

소셜미디어에서의 인플루언서 포스팅 컨텐츠 전략 (An Empirical Analysis of Influencer's Posting Strategies in Social Media)

  • 김수림;이희석;양희동
    • 지식경영연구
    • /
    • 제21권4호
    • /
    • pp.41-57
    • /
    • 2020
  •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컨텐츠 포스팅 전략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소셜 미디어 플랫폼에서 인플루언서의 역할이 홍보에만 국한된 것이 아닌 판매자로서 확대됨에 따라 어떤 종류의 컨텐츠를 어떻게 인플루언서가 제공해야 하는 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인플루언서가 물건을 홍보 및 판매하여 소비자가 공동구매("공구")하게 되는데, 이 공구가 시작되기 전 제품에 대해 홍보할 수 있는 기간을 전략 기간이라고 명명하였다. 이 전략 기간 내에 인플루언서는 상업적인 컨텐츠와 비상업적인 컨텐츠를 업로드 할 수 있다. 따라서, 매출에 영향을 주는 컨텐츠의 종류는 무엇인지, 어떤 전략 기간에 업로드를 해야 효과적인 지를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효과들은 인플루언서의 팔로워 숫자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계량적으로 상업적인 컨텐츠와 비상업적인 컨텐츠가 전략 기간과 인플루언서의 영향력에 따라 매출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짐을 실증하였다. 결론적으로, 인플루언서의 역할이 판매자로 확대됨에 따라 상업적 컨텐츠가 비상업적 컨텐츠보다 매출에 유의한 영향을 주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팔로워 수가 많은 인플루언서는 상업적인 컨텐츠의 업로드 횟수가 중요하였으며, 팔로워 수가 적은 인플루언서에게는 상업적인 컨텐츠의 질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셀슈머(Sell-sumer)로 진화한 인플루언서의 새로운 유형과 소셜미디어에서의 세일즈 전략 (Sell-sumer: The New Typology of Influencers and Sales Strategy in Social Media)

  • 신하진;김수림;홍만의;황봄님;양희동
    • 지식경영연구
    • /
    • 제22권4호
    • /
    • pp.217-235
    • /
    • 2021
  • 전 세계 인구의 49%가 소셜미디어 플랫폼을 사용하면서 소셜미디어 내에서의 소통과 콘텐츠 공유가 그 어느때보다 활발해지고 있다. 이러한 환경 속에서 1인미디어 시장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여론을 형성하면서 셀슈머(Sell-summer)라는 새로운 트렌드가 등장했다. 본 연구는 인플루언서의 상업적/비상업적 키워드의 주제 집중도와 상업적 포스팅의 비율이 매출에 미치는 영향 분석하여 제품 카테고리별 인플루언서의 새로운 유형을 정의하였다. 이는 소셜미디어 내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가 셀슈머로 변모하며 구사하는 새로운 세일즈 전략에 도움이 될 것으로 희망한다. 본 연구의 방법은 파이썬 환경에서 인플루언서의 상업적/비상업적 포스팅으로 분류하고, 이를 KoNLPy를 이용하여 텍스트 마이닝 한 후 FastText 기반 단어 간의 유사도를 계산하였다. 그 결과, 인플루언서의 상업적 포스팅의 키워드 주제 집중도가 높을수록(narrow) 매출이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군집분석을 통해 제품 카테고리별 인플루언서 유형을 4가지로 분류하고 매출에 따른 집단 간의 차이가 유의함을 확인하였다. 즉,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셜미디어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과 이를 마케팅 도구로 활용하고자 하는 마케터들에게 소셜미디어 세일즈 전략의 실증적인 해법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상가부동산 권리금 결정요인 선호도에 관한 연구 (대학로·동숭동 상권 중심으로) (Determinants of Premium commercial real estate Study on the Preference (Daehangno, Dongsung-commercial area centered))

  • 김태범;최종흠;신광식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127-133
    • /
    • 2013
  • 본 연구는 상가부동산의 권리금 결정요인을 입지, 인테리어 및 시설, 통행량, 매출액, 밀집도로 선정하여 대학로 및 동숭로 상가 임차인 대상으로 설문 분석한 결과 입지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다음은 매출액, 통행량, 인테리어 및 시설이고 밀집도는 영향이 미미하였다. 또한 성별, 연령, 학력, 업태, 소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외부적인 요소와 내부적인 요소가 복합적으로 권리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신규 창업자 및 점포이전 임차인들에게 제공하여 사업 성공에 기여하고자 한다.

골목상권 매출액 데이터를 활용한 성장-쇠퇴 유형화와 성장상권 영향요인 분석 - 코로나19 전후를 대상으로 - (Analysis of Growth-Decline Type and Factors Influencing Growth Commercial Area Using Sales Data in Alley Commercial Area - Before and After COVID-19 -)

  • 박지완;전이봄;이승일
    • 지역연구
    • /
    • 제39권1호
    • /
    • pp.53-66
    • /
    • 2023
  • 코로나19로 인해 도시민의 외부활동이 크게 위축되면서 인구감소, 매출액 감소 등 상권에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상권의 침체는 국가경제의 하부구조 붕괴를 의미하며, 지역경제와 개인의 삶에도 심각한 부작용을 초래 할 수 있다. 따라서 국가 지역경제와 밀접한 관계인 골목상권을 살펴보고, 영세한 소상공인이 밀집한 골목상권의 피해와 침체에 주목해야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 전후 기간을 대상으로 상권 매출액 시계열 데이터와 DTW 시계열 군집분석을 활용하여 , 골목상권을 성장상권과 쇠퇴상권으로 구분하고 성장상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도출하는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 전후 기간의 상권 매출액 시계열 데이터를 활용하여 골목상권을 성장상권과 쇠퇴상권으로 구분하였고, 성장상권과 쇠퇴상권의 분포가 지역적으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쇠퇴상권이 다수 분포한 지역의 적극적인 상권 관리 정책이 필요하며, 쇠퇴상권의 공간적 분포를 고려한 지역별 정책 마련이 요구된다. 둘째, 코로나19 시기에는 대면필수업종과 집객시설 밀도, 인구밀도가 상권 지속성에 부정적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기존의 연구와 반대되는 결과이다. 이는 코로나19 시기의 특수성과 집적경제의 부정적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결과이며, 추후 국가재난상황 발생 시 실효성 있는 상권 관리 방안 및 정책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셋째, 상권의 배후지 특성이 상권 지속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배후지의 인구밀집을 유도하는 집객시설의 부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국가재난상황에서 상권 활성화 정책 및 소상공인 지원 정책 수립 시 상권 내부뿐만 아니라 배후지 특성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마르코브 체인을 적용한 유동인구의 매출 및 이동 패턴 분석 (Analyzing Patterns of Sales and Floating Population Using Markov Chain)

  • 김봉균;이원상;이봉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71-78
    • /
    • 2020
  • 최근, 젠트리피케이션 현상으로 인하여 도심 내 지역 경제와 커뮤니티 형성에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지역 상권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해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 상권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이해를 위한 방법론을 소개하고 실증적인 사례를 제시하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는 서울의 대표적인 지역상권인 가로수길과 가구거리의 유동인구를 이동통신 기지국 데이터를 통해 추적하고, 유동인구의 매출 패턴과 이동 흐름의 패턴을 파악하였다. 또한, 이동통신사의 기지국 기반 유동인구 데이터에 마르코브 체인을 적용하여 지역 상권 이해의 중요한 요소인 유동인구 흐름을 보다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유동인구 흐름에 대한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논문에서는 상권 내 매출 정보와 결합되어 지역상권의 진화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젠트리피케이션 등에 의해 침체되는 지역 상권의 활성화를 촉진하고 더 나아가 도심 경제의 균형잡힌 성장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