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mbustible insulation

검색결과 27건 처리시간 0.021초

산화마그네슘 및 재유화형 분말수지를 사용한 시멘트계 불연단열재의 단열특성 (Insulation Property of Cement-based Non-combustible Inorganic Insulation Using MgO and Redispersible Polymer Powder)

  • 손배근;송훈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1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120-121
    • /
    • 2021
  • The organic insulation material has excellent thermal insulation property, but it is difficult to expect fire stability, and semi inorganic insulation only delays combustible hour but it is difficult to expect fire stability. In this study, thermal insulation property of cement-based non-combustible inorganic insulation using cement and non combustible materials and redispersible polymer powder was studie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thermal insulation property decreased as the use of redispersible polymer powder increased, but the heat insulation property improved when using the appropriate amount.

  • PDF

준불연 외단열시스템의 역학적 특성에 관한 연구 (Mechanical Properties of External Thermal Insulation Composite System with Quasi-Non-Combustible Performance)

  • 최기선;하수경;오근영;박금성;류화성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507-518
    • /
    • 2021
  • 외단열시스템에서 준불연 성능을 확보한 부착식 탄산칼슘계 복합단열판은 효과적인 단열성능과 화재안전성을 강화한 것으로, 본 연구에서는 준불연 복합단열판을 대상으로 부착식 준불연 외단열시스템의 구조설계 기초데이터를 확보하기 위하여 복합단열판 및 구성재의 역학적 시험을 수행하였다. 국내외 시험규격을 참조하여 시험체를 제작하였으며, 인장강도, 압축강도, 굴곡강도, 전단강도를 시험 평가하였다. 시험결과로부터 준불연 복합단열판의 강도특성치를 도출하였고, 현행 KS M ISO 4898에서 제시하는 최소 요구물성을 확보하고 있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준불연 외단열시스템은 지속적 중량 하중을 받지 않는 벽체의 외단열시스템으로 사용이 가능한 것을 확인하였다.

THE PARTICLE SIZE EFFECT ON COMBUSTION BEHAVIOR OF CELLULOSE INSULATION

  • Choi, Jeong-Hwa;Kim, Hong;Ryu, Kyong-Ok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7년도 International Symposium on Fire Science and Technology
    • /
    • pp.185-192
    • /
    • 1997
  • The combustion of cellulose insulation treated with Borax, Boric acid and Aluminum Sulfate as combustion retardants is examined by candle type combustion tester. The cellulose fibers in cellulose insulation are classified by diameter as less than 0.2mm, 0.2mm-0.5mm, 0.5mm-2mm and more than 2mm. The burning behavior of cellulose insulation are studied by LOI (Limit Oxygen Index: Beginning point of smoldering), L- point (Lower point of combustion transition from smoldering- flaming to flaming combustion), LOI, L-point and H-point rise with the increasing particle size of cellulose fibers because thermal decomposition rate of cellulose fiber decreases. The phenomena of combustion transition from smoldering to flaming combustion are determined by the generating rate of combustible gas and the formation rate of combustible gas mixture within the zone of cellulose fiber heated.

  • PDF

동물성 기포제의 희석농도에 따른 기포콘크리트의 특성 (Properties of Foamed Concrete according to Dilution Concentrations of Animality Protein Foaming Agent)

  • 임정준;이상수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19년도 추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77-78
    • /
    • 2019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can cause fatal toxic gases when burned, which can lead to human injury. As a combustible material, the risk of fire spreading is great.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study on the lightweight cured body for the non-combustible inorganic insulation to replace the flammable organic insulation.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properties of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ccording to the dilution concentration of animal foaming agent which forms a closed void when foaming as a part of the experiment to examine the utility of the lightweight foamed concrete as an insulating material. Bubbles occupy a large volume of lightweight foam concrete and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properties. Therefore, the stability of the bubble is very important, and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it is determined that 3% of the smallest vesicles are prepared at the proper dilution concentration.

  • PDF

부착 유형에 따른 준불연 복합단열판 전단성능평가 (Shear Performance Evaluation of Composite Thermal Insulation with Quasi-Non-Combustible according to Adhesive Type)

  • 최기선;오근영;박금성;하수경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507-518
    • /
    • 2022
  • 본 연구의 목적은 부착 유형에 따른 준불연 복합단열판의 전단성능을 평가하여 외단열시스템의 구조설계법을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보하고자 한다. 준불연 복합단열판을 콘크리트와 동시 타설한 방법, 접착 모르타르를 활용하여 전면도포방식와 점·테두리 접착방법 등을 적용하여 전단성능을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전단성능평가 결과, 동시 타설방법과 전면도포방식의 전단내력은 거의 유사하였고 점·테두리 접착방식은 약 80% 정도 수준이었다. 또한, 동시 타설방법은 접착 모르타르를 사용하는 방법에 비하여 외단열 시스템으로 적용할 경우 구조적·시공적으로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불연성 무기 단열재를 화재확산 방지구조로 적용한 외단열 마감시스템의 화재성능 (Effect of External Thermal Insulation Composite System with a Non-combustible Calcium Silicate Based Mineral on The Mitigation for Reducing Fast Spread of Flame)

  • 이종찬;박종철;송훈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397-403
    • /
    • 2016
  •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기준이 강화됨에 따라 단열성능이 우수한 외단열 공법의 적용이 증가 추세에 있으나, 빈번한 화재사고로 외단열 화재확산 방지를 위한 규정이 강화되었다. 따라서, 기존 EPS 외단열 시스템의 단열성능을 확보하면서 화재안전성을 향상하기 위하여 불연성 단열재를 화재확산 방지구조로 적용한 EPS 외단열 시스템의 대형 화재시험을 ISO 13785-2에 의하여 수행하였고, 그 결과, 시간에 따른 시험체의 외형분석에서 EPS 단열재만 사용한 외단열 공법보다 우수한 화재확산 방지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고, 온도 및 열류량 측정결과에서도 하단부보다 상단부의 온도 및 열류량이 낮게 측정되어 차열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재활용 석고 부산물을 이용한 준불연 유무기 융합 단열재 개발 연구 (Development of Organic-Inorganic Hybrid Insulating Materials with Semi-Non-Combustible Using by Recycling Gypsum)

  • 하주연;신현규;송태협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431-437
    • /
    • 2019
  • 본 연구는 유기계 기재에 무기계 바인더 소재를 함침시킴으로써 유기계 수준의 경제성을 가지며 우수한 단열성능 및 화재 안전성을 보유한 유무기 융합형 단열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유기계 기재는 폴리우레탄 소재의 상용 스펀지를 사용하였고, 함침용 무기 바인더 용액은 재활용 석고 부산물에 물과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개발 소재의 성능평가 결과 열전도율 0.051W/mK 이하의 우수한 단열성능 뿐만 아니라 국토교통부 고시 제 2015-744호 기준에 명시된 준불연 재료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개발 소재는 제조 공정 과정에서 밀도 제어에 따른 열전도율 및 난연성 조절이 가능하여 다양한 용도의 단열재에 적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100㎛급 글라스 버블 혼입 시멘트계 초경량 무기 단열재의 단열 및 난연특성 (Thermal Insulation and Flame Retardant Properties of Cement Based Super Light-weight Inorganic Thermal Insulation using 100㎛ Grade Glass Bubble)

  • 손배근;송훈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642-649
    • /
    • 2021
  • 건축물의 에너지 절약기준이 강화되면서 외단열 공법의 적용과 단열재 두께가 증가하고 있다. 유기계 단열재는 시공성, 경제성 등 시공비용 절감 효과와 뛰어난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유기계 단열재 특성상 열에 매우 취약하므로 화재 발생 시 급격한 화재확산과 유독가스 발생으로 심각한 피해가 발생한다. 무기계 단열재는 기본적으로 불연성능을 가지나 무겁고 유기계 단열재에 비해 단열성능이 떨어진다. 글라스 버블은 소다 라임 보로실리케이트 유리로 밀도가 매우 낮고, 내부가 비어 있는 구형의 입자로 볼베어링 효과로 유동성이 개선된다. 또한, 무기계 단열재에 혼입하여 사용할 경우 밀도와 단열성능이 개선된다. 본 연구는 시멘트계 재료와 글라스 버블을 혼합하여 무기 단열재를 제조하였고 단열, 난연 및 불연성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글라스 버블의 혼입률이 증가할수록 열린 기공을 형성하고 있으나, 기공 및 셀 벽에 분포됨에 따라 충분한 단열성능을 보인다. 또한, 글라스 버블의 혼입률은 10% 이하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원코드의 접촉 불량에 의해 형성된 파형 및 플러그의 특성 (The Properties of Waveform and Plug Formed by Poor Contact of Power Cord Sets)

  • 최충석;김향곤;김동욱;김영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87-93
    • /
    • 2005
  • In this paper, we analyzed ignition characteristics of combustible material and the waveform of power dissipation, voltage and current by poor contact. And the surface structure of plug by poor contact was analyzed. In the results of experiment, the heat generated by poor contact and ignited the combustible material on power cord sets. The insulation material was molten and carbonized by the heat conduction though plug pit and voids were formed inside of insulation material. The waveform of voltage and power dissipation distorted because of a growth of oxidation by poor contact. In particular, in case that load was big load, the waveform of voltage and power dissipation severely distorted as with the passage of time. The surface of plug pin was changed from erosion mark to welding mark according to big load. The results will be applied to the cause analysis of electrical disaster.

입도에 따른 셀룰로오스 단열재의 연소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bustion Property of Cellulose Insulation according to Particle Size)

  • 최정화;김홍;류경옥
    • 한국화재소방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화재소방학회 1996년도 학술발표회
    • /
    • pp.62-67
    • /
    • 1996
  • The smouldering combustion of cellulose Insulation treated with boric acid - borax - aluminium sulfate as combustion retardants are examined by candle type combustibility tester. The flammability behavior of combustion process is LOI, Smouldering region, Smouldering, Flamming spread region and Flame spread region. In this experiment, Particle size of four examined LOI, L.Point, H.Point, at the biggest size show high LOI. The surface area is connected with thermal conduction. The phenomena of combustion transition are governed by quantity of combustible gas generation in heating zone of cellulose insula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