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loid Formation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Gold Nanoparticle and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Based Colorimetric Assay for the Identification of Campylobacter spp. in Chicken Carcass

  • Seung-Hwan Hong;Kun-Ho Seo;Sung Ho Yoon;Soo-Ki Kim;Jungwhan Ch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73-84
    • /
    • 2023
  • Campylobacteriosis is a common cause of gastrointestinal disease. In this study, we suggest a general strategy of applying gold nanoparticles (AuNPs) in colorimetric biosensors to detect Campylobacter in chicken carcass. Polymerase chain reaction (PCR) was utilized for the amplification of the target genes, and the thiolated PCR products were collected. Following the blending of colloid AuNPs with PCR products, the thiol bound to the surface of AuNPs, forming AuNP-PCR products. The PCR products had a sufficient negative charge, which enabled AuNPs to maintain a dispersed formation under electrostatic repulsion. This platform presented a color change as AuNPs aggregate. It did not need additional time and optimization of pH for PCR amplicons to adhere to the AuNPs. The specificity of AuNPs of modified primer pairs for mapA from Campylobacter jejuni and ceuE from Campylobacter coli was activated perfectly (C. jejuni, p-value: 0.0085; C. coli, p-value: 0.0239) when compared to Salmonella Enteritidis and Escherichia coli as non-Campylobacter species. Likewise, C. jejuni was successfully detected from artificially contaminated chicken carcass samples. According to the sensitivity test, at least 15 ng/μL of Campylobacter PCR products or 1×103 CFU/mL of cells in the broth was needed for the detection using the optical method.

N,N-Dimethylaniline과 Iodine간의 반응에 있어서 Charge Transfer Complex의 영향 (The Effects of Charge Transfer Complex on the Reaction of N,N-dimethylaniline and Iodine)

  • 권오윤;백우현;김응렬
    • 대한화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191-196
    • /
    • 1992
  • $CHCl_3,\;CHCl_3 : CH_2Cl_2$(1:1) 및 $CH_2Cl_2$ 용매 중에서 N,N-dimethylaniline(N,N-DMA)과 iodine간의 반응을 전도도법을 이용하여 속도론적으로 조사하였다. 유사 1차반응 속도상수($k_{obs}$) 및 2차반응 속도상수($k_{obs}$/[N,N-DMA])가 N,N-DMA 농도 의존성을 보였다. 실험적으로 구한 2차반응 속도상수는 N,N-DMA 농도 증가와 더불어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반응 중간 생성물로서 charge tranfer complex의 생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고, 반응 scheme의 설정과 속도상수식의 유도로부터 complex 생성에 따른 평형상수와 변환에 따른 활성화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평형상수는 용매의 유전상수의 증가와 더불어 감소하였으며, 1.9${\sim}$4.2$M^{-1}$의 값을 보였다. 또한 변환의 빠르기는 용매의 극성에 크게 의존하였으며, ${\Delta}H^{\neq}$값은 6.3-12.6kJ/mol, ${\Delta}S^{\neq}$값은 약 -234J/mol K의 큰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Dione Bisoxime 계통의 화합물에 대한 테크네슘표지 원리에 관한 연구 (Tc-99m Labeling of Dione Bisoxime Compounds)

  • 정재민;조정혁;오승준;이명철;정수욱;정준기;이동수;곽철은;이경한;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110-117
    • /
    • 1995
  • Tc-99m Labeled hexamethylenepropyleneamineoxime ([$^{99m}Tc$]-HMPAO) is a famous amino-oxime compound and is widely used to construct SPECT images of cerebral blood flow.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emical structure and radiolabeling in these kind of diamine-oxime compounds, we synthesized seven compounds by Schiff's base formation and successive reduction with sodium borohydride. They were (RR/SS )-4,8-diaza-3,6,6,9-tetramethylundecane-2,10-dione bisoxime (2), (RR/SS/meso)-4,8-diaza-3,9-dimethy-lundecane-2,10-dione bisoxime (4), (RR/SS/meso)-4,8-diaza-3,10-dimethyldodecane-2,11-dione bisoxime (5), (RR/SS/meso)-4,7-diaza-3,6,6,8-tetramethyldecane-2,9-dione bisoxime (8), (RR/SS/meso)-4,7-diaza-5,6-cyclohexyl-3,8-dimethyldecane-2,9-dione bisoxime (10), (RR/SS/meso)-3,4-bis(1-aza-2-methyl-3-oxime-1-butyl)-benzoic acid (12), and (RR/SS/ meso)-2,3-bis(1-aza-2-methyl-3-oxime-1-butyl) benzophenone (14). Chemical structures of all the synthesized compounds were identified by taking $^1H$ spectrum. Among them, 2 and 4 are propyleneamine oxime (PnAO), 6 is butyleneamine oxime (BnAO) and 8, 10, 12 and 14 are ethyleneamine oxime (EnAO). Each compound (0.5 mg) was incubated with stannous chloride (0.5 g - 8 g), carbonate-bicarbonate buffer (final concentration = 0.1 M, pH 7 - pH 10) and Tc-99m-pertechenate (1 ml). Tc-99m labeling of these compounds were checked by ITLC (acetone), ITLC (normal saline), reverse phase TLC (50 % acetonitrile) and ITLC (ethyl acetate). According to the results, EnAO's were not labeled by Tc-99m in any of above condition. About 11 % of maximum labeling efficiency was obtained with BnAO. However, 4 (PnAO) was labeled with Tc-99m to 85 % which is similar to the labeling efficiency of 2 (HMPAO). Hydrophilic impurity (9 % ) was the most significant problem with the labeling of 4, however, pertechnetate (3 % ) and colloid (3 %) were minor problem. In conclusion, we synthesized seven diamine blsoxlme compounds. Among them, four EnAO compounds were not labeled by Tc-99m. A BnAO was labeled poorly and two PnAO's were labeled well. These labeling can be explained by tertiary structure of their Tc-99m chelate.

  • PDF

Outer Charge Transfer Complex가 Inner Complex로의 변환에 따른 속도론적 연구 (Kinetics for the Transformation of Outer Charge Transfer Complex to Inner Complex)

  • 권오윤;백우현;김응렬
    • 대한화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3-349
    • /
    • 1991
  • CHCl$_3$, CHCl$_3$ : CH$_2$Cl$_2$(1:1) 및 CH$_2$Cl$_2$ 용매 중에서 치환 aniline[aniline, N,N-dimethylaniline(N,N-DMA), 2,6-dimethylaniline(2,6-DMA) 및 2,4,6-trimethylaniline(2,4,6-TMA)]과 iodine간의 charge transfer complex 형성에 대하여 전도도법을 이용하여 속도론적으로 조사하였다. 초기에 일시적으로 생성된 outer charge transfer complex가 inner complex로 변환되는 과정에 있어서 치환 aniline의 electron donor 및 polar medium으로서의 작용에 대하여 고찰해 보았다. 또한 변환의 빠르기는 medium의 dielectric environment와 치환 aniline의 pK$_a$값에 의존하였으며 2,4,6-TMA, 2,6-DMA, aniline, N,N-DMA의 순서로 증가하였다. Chloroform 용매 중에서 2.5M 농도의 치환 aniline에 대해서 얻은 ${\Delta}H^{\neq}$값은 N,N-DMA, 3.47kcal/mol:aniline, 4.25kcal/mol:2,6-DMA, 7.79kcal/mol:2,4,6-TMA, 7.96kcal/mol:${\Delta}S^{\neq}$값은 모든 aniline에 있어서 -41~-55cal/mol${\cdot}$K의 큰 음의 값을 나타내었다.

  • PDF

방사면역치료용 $^{188}Re$ 표지 항체의 안정성과 안정제의 효과 (Stability of $^{188}Re$ Labeled Antibody for Radioimmunotherapy and the Effect of Stabilizing Agents)

  • 장영수;김보광;정재민;정준기;이승진;이동수;이명철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6권3호
    • /
    • pp.195-202
    • /
    • 2002
  • 목적: 베타입자 방출 핵종을 표지한 항체를 임상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는 높은 비방사능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188}W/^{188}Re$ 발생기를 사용하여 쉽게 얻을 수 있는 무담체 $^{188}Re$은 이런 목적에 이상적인 방사성 핵종이다. 하지만 높은 비방사능의 $^{188}Re$이 표지된 항체는 높은 베타 에너지(2.1 MeV)로 인한 불안정성이 문제가 된다. 우리는 $^{188}Re$이 표지된 항체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몇 가지 안정제가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조사하였다. 대상 및 방법: 환원시킨 단일클론항체(CEA79.4)에 stannous tartrate와 발생기에서 용출한 $^{188}Re-perrhenate$를 넣어 실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각각의 방사화학적순도는 크로마토그라피를 써서 확인하였다. 표지된 항체에 사람 혈청 알부민(HSA)을 첨가(최종농도 2%)하고 ascorbic acid, ethanol, Tween 80 존재 하에서의 안정성을 각각 조사하였다. 결과: 표지된 항체의 비방사능은 $1.25{\sim}4.77MBq/{\mu}g$, 표지 효율은 $88{\pm}4%\;(n=12)$였다. 안정제로 ascorbic acid, ethanol, Tween 80을 첨가하였을 때 $N_2$ 존재 하에서 모든 경우에 10시간까지 안정하였으나, 공기와 접촉 시 10시간 후에 방사화학적순도는 각각 처음의 100, 45, 36%가 되었다. 과산화레늄(perrhenate)과 $^{188}Re-tartrate$의 증가가 주된 요인이었으며 콜로이드 형성은 모든 경우에 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Ascorbic acid 첨가는 공기 중에서 perrhenate의 형성을 줄임으로서 항체의 안정성에 가장 많이 기여하였다. 결론: 높은 비방사능의 $^{188}Re$이 표지된 항체는 공기 중에 노출되었을 때 불안정하였으며, ascorbic acid 첨가시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한국 심부 지하수 환경에서의 방사성 핵종(우라늄, 플루토늄, 팔라듐)의 지화학적 거동 모델링 (Geochemical Modeling on Behaviors of Radionuclides (U, Pu, Pd) in Deep Groundwater Environments of South Korea)

  • 최재훈;박선주;서현수;안현태;이정환;박정훈;윤성택
    • 자원환경지질
    • /
    • 제56권6호
    • /
    • pp.847-870
    • /
    • 2023
  •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심지층에 안전하게 처분하기 위해서는 방사성 핵종의 장기적 지구화학 거동에 대한 정확한 예측이 요구된다. 이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국내 심부 지하수를 대표하는 다섯가지 지화학 환경 조건에서 지화학 모델링을 수행하여 일부 방사성 핵종의 지화학 거동을 예측하였다. 다섯가지 국내 심부 지하수의 지화학 환경은 다음과 같다: 고 TDS 염지하수(G1), 산성 pH의 CO2가 풍부한 지하수(G2), 고 pH 알칼리성 지하수(G3), 황산염이 풍부한 지하수(G4), 묽은(담수) 지하수(G5). 3~12의 pH 범위와 ±0.2V의 산화-환원전위(Eh) 조건에서 일부 방사성 핵종(우라늄, 플루토늄, 팔라듐)의 국내 심부 지하수 내에서의 용해도와 화학종(존재형태)을 예측하였다. 모델링 결과, 용존 상태의 우라늄은 주로 U(IV)로서 중성~알칼리성의 넓은 pH 환경에서 높은 용해도를 보였으며, Eh가 -0.2V인 환원 환경에서도 알칼리 pH 조건에서 높은 용해도를 보였다. 이러한 높은 용해도는 주로 Ca-U-CO3 착물의 형성에 의한 것으로 예측되는데, 이 착물의 활동도(activity)는 국내 심부 지하수 중 주요 단층대를 따라 산출되는 G2와 화강암반에 위치하는 G3에서 높다. 한편, 플루토늄(Pu)의 용해도는 pH에 따라 달라지며, 특히 중성~알칼리성 조건에서 가장 낮은 용해도가 나타난다. 주요 화학종은 Pu(IV)와 Pu(III)이며, 이들은 주로 흡착을 통해 제거될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콜로이드에 의한 이동을 고려하면, 이온강도가 낮은 심부 지하수인 G3와 G5 유형에서 콜로이드 형성 및 이동 촉진에 따라 이동성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팔라듐(Pd)은 환원 환경에서는 황화물 침전 반응으로 인해 낮은 용해도를 나타내며, 산화 환경에서는 주로 금속(수)산화물에의 흡착을 통해 Pd(OH)3-, PdCl3(OH)2-, PdCl42- 및 Pd(CO3)22-와 같은 음이온 착물이 제거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심부 지하수 환경에서 방사성 핵종의 운명과 이동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고준위 방사성 폐기물의 안전한 처분을 위한 전략 개발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