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iform group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2초

미국 Alabama주 West Fowl River 하구 패류서식장에 대한 위생학적 조사 (SANITARY SURVEY OF SHELLFISH GROWING AREA ON WEST FOWL RIVER ESTUARY, MOBILE, ALABAMA)

  • 김성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145-162
    • /
    • 1974
  • 시판되는 굴, 담치, 백합 등 패류는 깨끗한 수역에서 생산되어야 한다는 것은 공중보건상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이들 서식해역에 대한 위생상태를 평가하는 것은 패류위생관리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일이다. 본 조사는 미국 Alabama주 West Fowl River 지역에 있어 패류위생관리상 양식장의 등급분류와 관련한 굴(Crassostrea virginica) 및 그 서식수의 위생학적 성상을 알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이 연구는 미국 국제개발처(AID) 연수계획에 의하여 이루워 졌음을 밝혀 둔다. 조사지역에 있어서의 감염원은 가옥, 소업체, 가축, 물새, 야생동물 등에 의한 일반적인 발기물과 배설물로 되어 있고 특별한 하수나 공업배출물은 없었다. 이 조사는 이 지방에 있어 건조기인 10월에 실시되었으며 조사기간중의 총 강우양은 0.08mm, 평균 기온은 $21.3^{\circ}C$, 바람은 동풍이 우세하였다. 저질은 뻘로 되어 있고 저호시 평균수침은 약 1m이며 조사기관중 평균 수온은 $26.0^{\circ}C$였다. 염분은 조사지점에 따라 상이하였으며 바다로 향한 강의 흐름에 따라 증가하고 평균 염분은 $18.0\~28.7\%$의 범위에 있었다. 해수 및 굴 양자의 Coliform 함양은 Fecal coliform 보다 시종 높았으며 Coliform 및 Fecal coliform의 수는 바다로 향한 강의 흐름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이것은 해수의 오염은 주로 지표수의 유입에 의한다는 것을 말하고 있다. 굴의 Coliform 및 Fecal coliform MPN은 해수의 그것보다 $11\~12$배 높았다. 조사수역에 설정한 7개소 Sampling station 중 오직 Station 7만이 패류양식장 허가해역의 세균학적 수질기준에 합당하였으며 굴의 Fecal coliform MPN은 시판용 패류의 세균학적 기준을 초과하고 있었다. EC test 양성시험관에서 분리된 세균의 $97.6\%$가 E. coli group로 나타나 EC test는 Echerichie Coli 시험에 매우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 PDF

통영연근해역의 해양세균학적 수질 및 동태에 관한 연구 (Marine Bacteriological Quality and Dynamics in Tongyeong Coastal Area, Gyung-nam, Korea)

  • 최종덕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372-379
    • /
    • 1999
  • 통영연근해역 해수의 물리 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특성과 자란만에서 양식되고 있는 굴에 대한 세균학적 품질을 조사하여 수출용 패류생산지정 해역수질에 합당한가를 파악함과 동시에 위생지표세균의 조성, 병원성 세균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기간중 통영연근해역 해수의 수온은 6.9$^{\circ}C$~23.6$^{\circ}C$, 투명도는 2.6~6.2 m, COD 1.35~l.82 mg/ι, DO 5.0~9.9 mg/ι, 용존질소 1.60~8.17 $\mu\textrm{g}$-at/ι, 인산염 0.14~1.21 f$\mu\textrm{g}$-at/ι, Chlorophyll-a는 2.03-69.9 mg/㎥ 범위였으며 염분농도는 27.76~33.56 였다. 통영연근해역 해수의 세균학적 수질은 수출용 패류의 생산해역의 수질기준에 합당하였다 대장균군 최확수의 범위와 중앙치는 해수 100m1당 각각 <3.0~1,600, <3.0이였으며 230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7.2%였고, 분변계대장균의 경우는 <3.0~540, <3.0이였으며 43을 초과하는 시료의 비율은 3.8%로 한계치 10%이내에 있었다. 해수중의 생균수는 해수 ml당 상층에서 5.0$\times$$10^2$~6.3$\times$$10^4$/ml, 평균 3.6이었고, 하층에서 6.3$\times$$10^2$~6.3$\times$$10^4$/ml)범위에 평균 4.0으로 하층이 다소 많았다. 월별로는 6월부터 8월이 많았고 2월이 적었다. 분리된 대장균군의 분류결과 Excherichia coli type I이 약 38.02%나 되어 오염원의 주류가 분변오염임을 알 수 있었다. 그외에 살모넬라, 시겔라, 콜레라균 등 수인성 병원세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병원성 비브리오균은 여름철인 7~9월 사이에는 시료의 9-2l%에서 양성으로 나타났다. 굴에 대한 세균조사 결과 굴 Ig당 생균수는 1.4$\times$$10^2$~7.5$\times$$10^3$범위였고 대장균군의 최확수는 굴 100 g당 <18~16,000, 중앙치는 47, 분변계 대장균은 <18~l,400, 중앙치는 <18로 각각 조사되었다.

  • PDF

방사선조사에 의한 인삼분말의 저장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rage of Ginseng Powder by r-Irradiation)

  • 민옥녀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45-53
    • /
    • 1982
  • To determine the effect of r-irradiation on the microorganisms destruction and the changes of general constituents of Ginseng Powder, three samples were analyzed at 1st and 3rd month after r-irradiatio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otal bacterial counts were decreased during storage as the irradiation dose increased. It seems that about 300 Krad was satisfactory to the regulation of ginseng powder. ($5.0 \times 10^4 /g$) 2. Coliform group was also decreased during storage as the irradiation dose increased. Coliform group was not detected at the irradiation dose higher than 500 Krad. 3. Total bacterial counts and coilform group were in proportion to the content of moisture in ginseng powder. 4. The contents of moisture, ash, crude protein, crude lipid and total sugar in ginseng powder during storage had nearly no changes. 5. The content of reducing sugar in ginseng powder during storage had the increasing tendencies as the irradiation dose increased. 6. The content of amino-nitrogen in ginseng powder during storage had the decreasing tendencies as the irradiation does increased.

  • PDF

전기분해 해수의 활어패류 살균 효과 (Germicidal Effect of Electrolyzed Seawater on Live Fish and Shellfish)

  • 이희정;유홍식;오은경;신순범;박큰바위;김지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534-539
    • /
    • 2013
  • To secure the biological safety of live fish and shellfish for raw consumption, the germicidal effects of electrolyzed seawater were evaluated. Upon direct exposure to electrolyzed seawater, coliform group bacteria were killed and decreased to undetectable levels after 1 day.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e seawater were stable during the test period. A byproduct of chlorine disinfection, trihalomethane, was not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of seawater. Vibrio parahaemolyticus infection in a live fish was effectively resolved by electrolyzed seawater and became undetectable after 12-36 h of treatment. Bioaccumulation of coliform group and fecal coliform bacteria in live oysters Crassostrea gigas was removed within 18 h of treatment.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electrolyzed seawater is an effective and safe germicidal agent for the traditional retail market and can help to prevent outbreaks of foodborne disease associated with the consumption of raw fish and shellfish.

일부 농촌지역의 정호에 대한 환경위생학적 조사연구 (A study on the sanitary condition of wells in a rural area, Korea.)

  • 이성호;이선덕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8-52
    • /
    • 1976
  • A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sanitary condition of 107 wells in Jungil Ri, Kyunggi province and Daeso Ri, Choongbuck province, from July 1, to August 30, 1975. In this study, coliform groups were examined by the membrane filter method as well as general sanitary condition, pH value, ammonia nitrogen, hardness and water temperature.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Average value of general sanitary condition in the wells were 15$\circ$C in temperature, pH 6.4, hardness 124ppm and Cl ion 34ppm. 2. Coliform group was positive at all out of 30 open wells and 33 out of 45 pumped wells, while only 7 out of 32 tap water in the simple typed water supply system showed the evidence of coliform groups. 3. The positive rate of ammonia nitrogen revealed 13% out of 107 wells and that of nitrite nitrogen was 36.4% and 6 wells rate of 5.6% were ammonia nitrogen and nitrite nitrogen positive at same time. 4. Colflorin group positive of 32 tap water in the simple typed water supply system 3(27%) out of 11 samples with no residual chlorine, 3(17%) out of 17 with 0.1 to 0.5ppm, 1 out of 3 with 0.6 to 1.0 ppm and none out of 1 with 1.1 to 1.5 ppm.

  • PDF

Coliform 유방염(乳房炎)에 관한 연구(硏究) 1. Escherichia coli에 의(依)한 유방염(乳房炎)의 실험병리학적(實驗病理學的) 관찰(觀察) (Studies on the Coliform Mastitis I.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 on Experimentally Induced Escherichia coli Mastitis in Rabbits)

  • 한두석;이차수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33-40
    • /
    • 1981
  • In order to clarify the morphological changes in the mammary glands of cows affected with coliform (Escherichia coli) mastitis, histopathological observations were undertaken on the mastitis of the lactating rabbits which was experimentally induced with E. coli or its endotoxin isolated from cases of acute and chronic matitis in dairy cattle. In the bacterial suspension-infused groups the affected quarters of udder showed cloudy swelling, hyperemia and hemorrhage to local necrosis and firmness. The microscopic findings of early stage of the mastitis were appearance of large numbers of heterophils in the glandular lumina and ducts accompanied by degeneration, necrosis and desquamation of epithelial cells, and also infiltration of heterophils, hemorrhage and edema in the interstitial tissue, and destruction of alveoli. Later, proliferation of firoblasts, plasma cells, lymphocytes, eosinophils and histiocytes appeared in the glandular tissue and necrotic foci of glandular tissue were surrounded by highly proliferated connective tissue. Granuloma-like inflammatory changes could be observed in the glandular tissue on the 7th days after infusion. The inflammatory response in the group infused with E. coli strain isolated from the natural case of acute mastitis was rapid and severe as compared with that of chronic mastitis. In the endotoxin-infused group the morphological changes were similiar to those of the bacterial suspension-infused groups.

  • PDF

통영항 해수의 세균학적 및 이화학적 수질 (Bacteriological and Physiochemical Water Quality of Seawater in Tongyeong Harbor, Korea)

  • 최종덕;정우건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611-616
    • /
    • 2001
  • 통영항 내의 해수 및 저질의 물리 화학적 해양환경 특성과 해수의 위생지표세균을 비롯한 병원성 세균의 시험결과가 횟집의 수족관의 세균학적 수질에 적합한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조사기간중 통영 항 해수는 수온 $6.8\sim25.2^{\circ}C$, 투명도 $1.0\sim2.5\;m$, 화학적산소요구량 $1.79\~2.41\;mg/L$, 용존산소 $5.7\~10.1\;mg/L$, 용존질소 $6.59\sim10.53{\mu}g-at/L$, 인산염 $0.56\sim1.01{\mu}g-at/L$, chlorophyll-a는 $1.21\sim9.54 mg/m^3$ 범위였으며 염분농도는 $30.11\sim31.41\%$였다. 통영항 해수의 생균수는 조사기간 중 mL당 log수가 $4.2\~6.8$($3.0\times10^4CFU/mL \sim6.9\times10^6CFU/mL$) 범위에 평균 5.3이었다. 월별로는 $1\~3$월이 적었고, $7\~9$월이 많았다. 통영항 내 조사해수의 $84.3\%$$93.1\%$가 패류수출해역 수질기준 중 total coliform group과 fecal coliform group의 기준치를 각각 초과하였다. 대장균군형은 Escherichia coli group이 $66.1\%$를 차지하였고, 그중 Type I 이 $56.5\%$, Citrobacter freundii group이 $11.0\%$, Enterobacter aerogenes group이 $9.69\%$, 기타 29균주로 $13.3\%$에 해당하였다. 그런데 전형적인 온혈동물의 장관유래균인 E. coli type I 이 전체의 $56.5\%$를 차지하였다. 통영항내 해수에서 Salmonella sp.나 Shigella sp. 및 Vibrio cholerae O1은 검출되지 않았으나 V. parahaemolyticus, V. vulnificus 및 V. cholerae non-O1 등의 검출율은 $10.4\sim35.4\%$에 달하였다.

  • PDF

진해만 남서부 해역의 해수와 저질의 세균학적 및 이화학적 특징 (Bacteriological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 of Sea Water and Sediments in South Western Part of Jinhae Bay, Korea)

  • 최종덕;김정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621-626
    • /
    • 2002
  • 진해만 남서부해역 해수 및 저질의 물리 화학적 해양환경 특성과 위생지표세균을 조사하여 어장의 환경개선과 회복에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조사기간중 안정 및 고현만 해수의 수온은 $5.5\~23.7^{\circ}C$, 평균 $14.9^{\circ}C$, 화학적산소요구량은 1.20-1.55, 평균 1.40mg/L $\cdot$ dry, 용존산소는 3.7$\~$9.1, 평균 6.8mg/L, 용존무기질소 2.79$\~$7.09, 평균 4.65$\mu$g-at/L, 인산인은 0.39$\~$0.57, 평균 0.47$\mu$g-at/L, chlorophyll-$\alpha$는 4.28$\~$9.66, 평균 $6.74mg/m^{3}$ 범위였으며 염분농도는 30.08$\~$31.75, 평균 30.87이 었다. 진해만 남서부 해역 저질 중의 0$\~$15cm에서 화학적산소요구량은 15.95$\~$35.52 mg/g $\cdot$ dry, 평균값은 29.16 mg/g $\cdot$ dry이었고, 황화수소는 0.01$\~$0.51 mg/g $\cdot$ dry, 평균값 0.15mg/g dry, 강열감량은 9.14$\~$13.48, 평균값은 $10.77\%$로 조사되었다. 진해만 남서부 해역 해수의 $6.5\%$$3.8\%$가 패류 수출해역 수질기준 중 total coliform group과 fecal coliform group의 기준치를 각각 초과하였다. 대장균군형 은 Escherichia coli group이 $61.9\%$를 차지하였고, 그 중 type I 이 50.2%, Citrobacter rreundii group이 $12.1\%$, Entero-bacter aerogenes group이 $14.1\%$, 기타 $11.9\%$에 해당하였다. 대장균군 중에서 전형적인 온혈동물의 장관유래균인 Escherichis colitype 1이 전체의 $50.2\%$를 차지하였다.

방사선에 의한 건어물의 살균 및 저장에 관한 연구 (Sterilization and storage of dried fishes by irradiation)

  • 임국이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7-43
    • /
    • 1985
  • The effect of irradiation at dose of 3~10 kGy on the extension of the shelf-life of sliced dried squid and dried file and on its quality were investigated during nine months of storage at room temperature. The number of microorganisms, TBA value and TMA-N content were used as objective indices concerned to the sensory evaluation. In the number of initial microbial loading, total bacterial count of sliced dried squid and dried file fish were $2.7{\times}10^{8}\;and\;2.0{\times}10^{5}$, yeast and mold were $5.7{\times}10^{5}\;and\;6.2{\times}10^{5}$ and coliform group were $2.1{\times}10^{5}$ and above 10 per gram of the samples, respectively. The number of total bacteria was sterilized by 99% with irradiation of 3~10 kGy and irradiation of above 7 kGy was shown to be effective for the radurization of yeast, mold and coliform group. TBA value of irradiated groups were higher than storage time. The TMA-N content of nonirradiated group was markedly increased by microbial spoilage during storage, however above 8 kGy irradiated group were indicated about 10 mg% after nine months storage. In the sensory evaluation, the nonirradiated group was off favor after three months storage and was changed in color of dried fishes but 7~10 kGy irradiated group were maintained good qualit compared with those of fresh samples after nine months storage at room temperature.

  • PDF

고등소채류에 대한 세균학적 연구 (BACTERIOLOGICAL STUDY ON CULTURED VEGETABLES)

  • 장동석;김영만;김용관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261-266
    • /
    • 1979
  • 부산 근교에서 생산되는 고등 소채류에 대한 세균오염상태를 파악하고 세척, blanching등 처리방법에 따른 세균 제거율과 IMViC system에 의한 대장균군 동정시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엽채류는 과채류에 비하여 분편소대장균의 오염도가 높았다. 2. 수도수로 세척했을 때 생균수 제거율에 있어서는 약 $70\%$, 엽채류에 있어서는 약 $20\%$ 있다. 3. 엽채류를 시판 서첵제로 세척했을 때 생균수 제거율을 약 $80\%$ 수도수로 세척했을때보다 $3\~4$배의 세척 효과가 없었다. 4. 2배의 끊는물에서 1분간 blanching했을 때 생균수 잔재율은 $0.1\%$ 이하있다. 5. 대장균군의 조성은 Eschrichia colr group $18\%$ Citrobacter freundii group $22\%$, Klebsiella aerogenes group $60\%$였으며 이중 Escherichia coli type I 이 $16\%$를 차지하였다. 6. 대장균군 확정시험 배지인 BGLB의 신선성은 약 $80\%$ 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