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ld Climate

검색결과 453건 처리시간 0.032초

폭염 취약지역과 건강 피해 발생의 공간적 일치성에 따른 지역 유형 분석 (Analysis of regional type according to spatial correspondence between heat wave vulnerable areas and health damage occurrence)

  • 황희수;최지윤;강정은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89-113
    • /
    • 2023
  • 본 연구는 폭염 취약지역을 도출하고, 폭염 피해와의 공간적 일치성 분석을 통해 공간 유형화 및 정책적 방향성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은 IPCC의 기후변화 취약성 평가와 공간통계 비교분석을 활용하였으며, 폭염이 가장 극심했던 2018년을 포함하는 5개년(2015~2019)의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하였다. 폭염 취약성은 다양한 요소 중 폭염 영향을 나타내는 폭염일수(노출)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폭염에 대한 민감도와 적응 능력은 지역의 특성에 따라 경향성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폭염 취약성과 피해의 관계는 공간적 일치성을 통해 4개 유형으로 구분하였으며, 취약성과 피해가 정의 관계를 가지는 Hot to Hot, Cold to Cold 유형과 역의 관계를 가지는 Hot to Cold, Cold to Hot 유형을 도출하였다. 이는 유형별로 지역의 특성과 현황이 상이하므로 유형에 따라 개선을 위한 정책과 연구의 방향성을 달리 설정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남긴다. 해당 연구는 폭염 취약성과 피해를 함께 고려하여 지역을 유형화하고, 유형별 대응 방향성에 대해 살펴본 점에서 추후 폭염 관련 정책 수립에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하계 동중국해 북부 해역에서 저층 냉수괴의 거동 (Movement of Cold Water Mass in the Northern East China Sea in Summer)

  • 장성태;이재학;김철호;장찬주;장영석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6권1호
    • /
    • pp.1-13
    • /
    • 2011
  • 황해저층냉수는 지난 동계의 차고 건조한 바람에 의해 생성되어, 하계에 황해 중앙골을 따라 남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황해저층냉수의 특성과 거동을 파악하기 위해 2003년부터 2009년까지 하계에 관측한 자료를 분석하였다. 수괴분석을 통해 본 연구해역에 영향을 미치는 황해저층냉수를 새롭게 정의하여 북서저층냉수라고 명명하였고, 수온 $13.2^{\circ}C$ 이하, 염분 32.6~33.7 psu와 밀도 $24.7{\sim}25.5\;{\sigma}_t$로 특성지었다. 지형류 계산에 의해 연구해역에서 북서저층냉수는 약 2 cm/s 이하의 속도로 남하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정의한 북서저층냉수는 수온의 범위와 자지하고 있는 영역에서 연간 변동을 보이며, 이러한 변동은 이전 해 동계 황동중국해의 표층수온의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동계 표층수온의 변화는 동계 기온에 의한 영향이 지배적임을 확인하였다. 동계 동중국해 표층수온은 북극진동 지수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며, 동계의 북극진동이 음일 때 동중국해 표층수온이 하강하였고, 이러한 영향으로 북서저층냉수 세력이 동중국해 북부 해역까지 저수온을 보이면서 확장하였다. 동 연구는 동계의 북극진동지수, 황동중국해 겨울철 표층수온, 동중국해 북부의 북서저층냉수가 역학적으로 관련이 있음을 보였고, 이를 바탕으로 하계 동중국해 북부해역에서 저층냉수의 거동을 유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극한 기후변수가 농업에 미친 경제적 효과 추정 -강원도의 사례- (Estimating the Economic Impacts of Extreme Climate Events on Agriculture: the Case of Gangwon-do)

  • 정준호;이승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459-470
    • /
    • 2012
  • 본 연구는 강원도 농업을 사례로 1993-2010년 기간 동안 11개 시군별 기후, 지리 및 토양, 사회 경제적 변수들에 대한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리카디언 방법을 사용하여 극한기후 변수들이 논과 밭 경작유형별로 토지가치에 미친 경제적 효과를 추정하고자 시도한다. 추정결과에 따르면, 호우 관련 극한기후 변수는 논과 밭의 토지가치와 부정적인 관계가 있다. 여름철 관련 극한기온 변수들은 토지가치에 음(-)의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한파를 제외한 겨울철 관련 극한기온 변수들은 토지가치와 정(+)의 관계를 보여주고 있다.

  • PDF

수도작의 미기상과 생산성 (Microclimate and Rice Production)

  • Uchijima, Zenbei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4-339
    • /
    • 1982
  • Fluctuating climate is still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constrain, although improved modem agricultural technology has succeeded to increase crop production in the world. To stabilize the food production under fluctuating weather conditions, it is very needed to obain the quantitative information of interactions between crops and climate.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hree hold. Using the JIBP-data, the dry matter accumulation of rice crops is studied in relation to weather indexes (\SigmaTa and \SigmaSt).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yield index of rice is analyzed as to air temperature and water temperature. \SigmaT$_{10}$ -fluctuations are studied using meteorological data at various stations. The possible shift of \SigmaT$_{10}$ -isopleths due to climate fluctuation is evaluated. The second interest is in the plant climate of rice crops. Using results of canopy photosynthesis, it is pointed that the canopy structure has most important implication in plant climate. Leaf-air, stomatal, and mesophyll resistances of rice crops are described in relation to weather conditions. The change in light condition and aerodynamical property of rice crops with the growth is illustrated. The energy partition is also studied at different growing stages. Third point is to show in more detail effective countermeasures against cold irrigation water and cool summer. Heat balance of warming pond and polyethylene tube as a heat exchanger is studied to make nomo-grams for evaluating the necessary area and necessary length. Effects of windbreak net on rice crops are illustrated by using experimental and simulation results.lts.

  • PDF

High Frequency Variation of Low Water Temperature due to Arctic Oscillation Around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 of Korea During Winter 2017/2018

  • Han, In-Seong;Lee, Joon-Soo;Kim, Ju-Yeon;Hong, Ji-Yeon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28-333
    • /
    • 2019
  • During the winter of 2017/2018, significantly low water temperatures were detected around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of Korea (WSCK). In this period, sea surface temperature (SST) in the Korea Waters was about $2^{\circ}C$ lower than mean temperature. Using the real-time observation system, we analyzed the temporal variation of SST during this period around the western and southern coasts. Low water temperature usually manifested over a period of about 10 ~ 20 days. The daily Arctic oscillation index was also similarly detectable with the variation of SST. From the cross-correlation function, we compared two periodic variations, which were SST around the WSCK and the Arctic oscillation index. The cross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both variations were approximately 0.3 ~ 0.4. The time lag of the two time series was about 6 to 7 days. Therefore, significantly low water temperatures during winter in the Korean coastal areas usually became detectable 6 to 7 days after the negative peak of Arctic oscillation.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the Occurrence of Two Fly Families (Phoridae and Lauxaniidae) in Korean Forests

  • Kwon, Tae-Sung;Lee, Cheol Min;Jie, Okyoung;Kim, Sung-Soo;Jung, Sungcheol;Park, Young-Seuk
    • 생태와환경
    • /
    • 제54권1호
    • /
    • pp.71-77
    • /
    • 2021
  • Using data from flies collected with pitfall traps in 365 forests on a nationwide scale in Korea, the abundance and distribution changes of two families (Phoridae and Lauxaniidae) in Korean forests were predicted at the genus level according to two climate change scenarios: RCP 4.5 and RCP 8.5. The most suitable temperature for the 17 major genera was estimated using a weighted average regression model. Stichillus and Anevrina displayed the lowest optimum temperature with 7.6℃ and 8.5℃ in annual mean temperature, respectively, whereas Chonocephalus had the highest optimum temperature with 12.1℃. Among thirty genera, seven genera (four from Phoridae and three from Lauxaniidae), which showed their abundance in a bell-type or linear pattern along the temperature gradient, were used for predicting the distribution changes according to the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All the taxa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decrease in abundance and distribution as a function of temperature increase. Moreover, cold-adapted taxa were found to be more affected than warm-adapted taxa.

ENSO가 우리나라 강우의 확률빈도와 공간분포에 미치는 영향 (Assessment of the ENSO Impact on Frequency and Spatial Distribution of Rainfall in South Korea)

  • 김수전;김병식;김형수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43-153
    • /
    • 2008
  • 본 논문의 목적은 ENSO의 영향에 의한 우리나라 강우의 확률빈도와 공간분포 특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기상관측소의 강우량 자료를 Warm(El Nino), Cold(La Nina), Normal 에피소드에 따라 기간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이렇게 분류한 자료는 Markov Chain 모형을 이용하여 100년의 자료로 모의 발생하였고 에피소드별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빈도분석 결과 에피소드에 따라 각 기상관측소별로 강우의 크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군집분석을 실시하여 각 에피소드의 공간적인 영향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결과적으로 Warm(El Nino), Cold(La Nina) and Normal 에피소드로 대표되는 ENSO는 우리나라 강우의 확률빈도과 공간분포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 PDF

청소년들의 겨울철 교실 내·외 환경에서의 자각적 내한성과 착의행동 분석 (Analysis of Teenagers' Self-identified Cold Tolerance and Wearing Behavior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During Winter)

  • 홍민현;손수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4권1호
    • /
    • pp.126-140
    • /
    • 2020
  • This study analyzed the self-identified cold tolerance and wearing behavior of teenagers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during winter, considering recent climate changes. A questionnaire was divided into four parts-general information, thermal and comfort sensation inside and outside classroom, self-identified cold tolerance, and wearing behavior to collect data from 322 students. Over several years, changes were noted in respondents' wearing behavior during winter outings, with the biggest being the purchase of a "long padded jacket" for warmth while outside. Most respondents showed similar wearing behavior, such as no difference between the number of clothes worn in a classroom maintained at 20℃ (girls: 8.0±3.1 layer, boys: 6.5±2.1 layer) and outside (girls: 8.8±3.4 layer, boys: 7.1±3.0 layer), despite feeling differently about the thermal sensation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This difference may due to a teenager's lack of knowledge about temperature and their tendency to follow clothing trends. Female students were more sensitive to the cold and wore more garments inside and outside the classroom. Gender-related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when educating teenagers about safe and healthy clothing.

2018년~2021년 여름철 우리나라 연안 고수온 현상 (Characteristics of High Water Temperature Occurrence in Coastal and Inland Bays of Korea during the Summers of 2018-2021)

  • 이준수;권미옥;안지숙;박명희;송지영;한인성;정래홍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753-763
    • /
    • 2022
  • 우리나라의 수산 양식의 대부분이 이루어지는 연안과 내만에 최근 빈번한 고수온 현상으로 매년 막대한 양식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2018년~2021년의 최근 4년간의 7월은 이례적인 고수온, 장마, 태풍 등에 의해 1990년 이후 수온의 연별 변동성이 1994년~1997년에 이어 두 번째로 크게 나타났다. 동·서·남해의 대표적인 고수온 양식피해 우심해역(천수만, 가막만, 구룡포)에 대한 열속과 열수지 분석을 통해 여름철 천수만과 가막만의 고수온 발생은 주로 대기로부터 해수면을 통한 열유입에 의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벌크식으로 계산한 순열속과 수온변화로부터 계산한 해양 열 저장률로부터 4년간(2018년~2021년)의 7월 평균 해양 열 수송률을 추산한 결과, 서산 창리는 순열속의 13.5 %, 여수 신월은 순열속의 62.3 %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으로 계산되었다, 구룡포 하정은 순열속의 22.2 %가 평균적으로 외부로 유출되는 것으로 평가되었으나, 냉수대 발생 유무에 따라 연도별로 해양 열 수송률이 순열속의 -174.5 %에서 132.5 %까지 큰 차이를 보였다.

Analysis Model Evaluation based on IoT Data and Machine Learning Algorithm for Prediction of Acer Mono Sap Liquid Water

  • Lee, Han Sung;Jung, Se Hoon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23권10호
    • /
    • pp.1286-1295
    • /
    • 2020
  • It has been increasingly difficult to predict the amounts of Acer mono sap to be collected due to droughts and cold waves caused by recent climate changes with few studies conducted on the prediction of its collection volume. This study thus set out to propose a Big Data prediction system based on meteorological information for the collection of Acer mono sap. The proposed system would analyze collected data and provide managers with a statistical chart of prediction values regarding climate factors to affect the amounts of Acer mono sap to be collected, thus enabling efficient work. It was designed based on Hadoop for data collection, treatment and analysis. The study also analyzed and proposed an optimal prediction model for climate conditions to influence the volume of Acer mono sap to be collected by applying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odel based on Hadoop and Mahou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