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gnitive and sociocultural analysis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9초

여고생의 신체발달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자기존중감 의복태도 형성모델 (Formation Models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Clothing Attitudes as Related to Pubertal Physical Growth)

  • 고애란;이수경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2권11호
    • /
    • pp.189-203
    • /
    • 2004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dentify 1) the effect of physical growth on body criticism from others and body image,2) the effect of body criticism from others on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body image, and self-esteem, 3)the effect of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on body image, 4)the effect of body image on self=esteem and clothing attitude, and 5) the effect of self-esteem on clothing altitude on Korean female teenager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36 high school girls living in Seoul, Korea, vi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LISREL models.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three measurement variables of physical growth, the height had a negative effect on body criticism from others. Sexual maturation positively influenced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 2) Body criticism from oth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appearance and a negative effect on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 3) The sociocultural altitude toward appear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 and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behavioral aspect of body image.4)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behavioral aspect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clothing attitude. However, the cognitive/behavioral aspect of body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clothing attitude.5) Self-estee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lothing attitude.

여자 중학생의 신체성장에 따른 신체이미지 및 자기존중감, 의복태도 형성모델 (Formation Models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Clothing Attitudes as Related to Pubertal Physical Growth)

  • 이수경;고애란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9권3_4호
    • /
    • pp.438-44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s among physical growth, body criticism from others,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body image, self-esteem, and clothing attitudes.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39 junior high school girls living in Seoul, Korea, vi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and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d LISREL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Among three sub-variables of physical growth, the heigh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 2) The body criticism from others had the effect neither on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nor on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 3) The sociocultural attitude toward physical appearance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 and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behavioral aspect of body image. 4) The affective aspect of body imag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gnitive/behavioral aspect of body image, self-esteem, and clothing attitude. However, the cognitive/behavioral aspect of body image had the effect on clothing attitude. 5) The self-esteem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clothing attitudes.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Measuring Affective Factors Regarding Conceptual Understanding in High School Physics

  • Kim, Min-Kee;Ogawa, Masakata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497-509
    • /
    • 2007
  • Among many remedial approaches against the increasing unfavorableness toward school science, one of the prevalent findings studied by affective experts is that students' achievement in science and their attitude toward it has a relatively weak relationship. In contrast, cognitive experts assert that the conceptual change involves more than cognitive aspects, and may be influenced by affective factors such as beliefs, motivation, learning attitudes, and sociocultural contexts. The latter regards continuous conceptual change as leading to better student understanding of science with variables of students' attitude toward science. As an initial step toward illuminating the affective-cognitive learning aspects of scie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nstrument for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affective factors. Cognitive questionnaires from the database of distribution in students' misconceptions of physics (DMP project), and affective questionnaires from the Relevance of Science Education (ROSE project) are integrated into our instrument. The respondents are high school students in Okayama prefecture, Japan. Through the pilot test, the authors integrated attitude toward science (AS) and interest inventory (II) from ROSE into cognitive understanding (CD) from DMP. Statistical methodologies such as factor analysis and item total correlation theoretically discerned the effective sixty-three items from the two original item pools. Having discussed two validity issues, the authors suggest ongoing research associated with our affective-cognitive research perspective.

부모 이혼이 청소년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f adolescent peer relationship associated with parents divorce)

  • 김은주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33-38
    • /
    • 2018
  • 부모의 이혼이 청소년의 또래 관계 발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목적을 두었으며, 이혼한 부모를 가진 청소년들의 사회적 상호 작용을 분석한 기존문헌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들의 가족 구조에 기초한 또래 관계의 다양성을 뒷받침하는 연구가 되었으며 핵가족의 청소년들과 비교해 보면, 이혼한 부모를 가진 의붓 가족의 청소년들이 경험하는 특정한 형태의 상호 작용을 가지고 있었다. 즉 부모들의 이혼은 그들의 아이들이 사춘기 때 겪는 어려움과 관련이 있는데, 예를 들어 또래들 사이에서 고립형태의 모습을 보이거나 낮은 자존감, 소통기술의 부재 등을 나타내었다. 이혼가정의 청소년 또래집단의 일반적인 심리적, 인지적 발달은 종종 연구되나 향후 미래 연구는 그들의 학교에서의 또래 상호 작용과 사회적인 상호 작용을 연구해야 할 것이다.

'사회문화적 가치'에 대한 창조적 기호계(semiosphere)와 의사소통을 위한 의미 표현 교육 - 광고스토리를 중심으로 - (Signification Education for Communication of Creative Semiotic System on Social and Cultural Value - Focused on Advertising Story -)

  • 임지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145-153
    • /
    • 2019
  • 본 연구는 창의적인 광고스토리에 내재된 '사회문화적 가치'의 흐름을 바르트의 기호론과 창조적 기호계에 기대어 고찰한 후 수용자의 인지적 사고를 통해 재현화 작업의 가능성을 제안한 논의라 할 수 있다. 올바른 사회문화적 의사소통의 상호작용성은 단지 설득과 효과를 위한 전략으로만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문제제기를 시작으로 가장 창조적이고 미적이며 함축적인 광고스토리의 '기호 생산'과 '인지 해석'의 장을 경험하는 것이 구체적인 문화적 가치 실현이라 생각했다. 필자가 본고의 대상도구로써 광고에 주목하는 이유는 누구나 짧은 시간 내에 가장 함축적인 기호에 주목함으로써 의미의 생산성, 의미의 공유성 그리고 사회적 소통화 작업이 바탕이 되는 사회문화적 가치에 접근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기 때문이다. 또한 시대의 흐름과 함께 사회문화적인 구성원의 화합과 미래문제해결을 위한 긍정적인 소통의 도구로서 충분히 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인지적 사고 단계의 의미 분석과 더불어 실시된 사회문화적인 광고스토리의 실제는 대학생을 위한 창의적 수업에서 적용하기에 매우 적절하다. 본고는 복잡한 다매체 시대에서 창조성을 기반으로 한 '기호 복합체'인 광고스토리의 인지적 의미 실현 작업이 대학생의 미래문제해결 전략에 동참할 수 있는 시대적인 소통도구가 될 것으로 제안한 논의이다

한국 대학생이 생각하는 한국과 미국의 암묵적 창의성에 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Study on Implicit Creativity of Korea and America Recognized by Korean University Students)

  • 성은현;류형선;하주현;이정규;한순미;한윤영
    • 영재교육연구
    • /
    • 제17권2호
    • /
    • pp.365-391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과 미국의 창의성에 대한 인식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선행연구로서 한국 대학생의 한국과 미국에 대한 암묵적 창의성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은 한국의 4년재 대학생을 대상으로 개방형 질문으로 다중 응답하게 하였고, 빈도 분석하여 해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한국의 대학생들은 한국의 창의성 특성에 대하여 인지적 특성, 인성적 특성, 문화적 특성, 연구개발분야, 예술분야 등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기존의 창의성 이론과 비슷한 방식으로 창의성을 인식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한국의 경우, 사회문화적 배경과 같은 환경적 특성은 창의적 특성, 비창의적 특성 모두에 비중 있게 차지하였다. 셋째, 미국의 창의성을 개인주의적인 성향에 초점을 두어 인식하고 있으며, 이에 비해 한국적 창의성에서는 공동체의식이 창의적 특성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국f보다는 미국의 문화가 창의성을 발휘하는데 더 유리한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다섯째, 한국의 전통문화는 문화의 고유성과 우수성 그리고 현대적 활용 가능성 측면에서 창의적 특성으로 인식되었다. 여섯째, 창의적 인물은 대학생들이 잘 알고 있는 예술가, 경영자, 통치자, 과학자 순으로 인식되었다. 일곱째, 창의적 인물의 특성에 나타난 양 국가의 창의적 특성 비교에서 한국보다는 미국의 특성이 더 많이 반영되었으며, 이는 미국문화에 보다 익숙한 대학생들이 선호하는 인물들이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비교문화적 창의성 연구에서 동양적 창의성에 대한 새로운 가능성을 찾았으며, 특히 전통문화와 전통재창조, 동양적 가치관 등이 서양에는 없는 우수한 문화자원이며 창의성을 지원할 수 있는 역할을 할 것으로 제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