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harbor

검색결과 459건 처리시간 0.025초

해역이용협의서 중 퇴적물 환경기준 개선방안 연구 -항만 어항개발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Improvement Plan for Sediment Environmental Guidelines in the Sea Area Utilization Consultation System -Focused on Port and Fishery Harbor Development Case-)

  • 전은주;주현희;탁대호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584-593
    • /
    • 2021
  • 해양의 퇴적물은 해저면을 구성하여 생물 서식지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그러나, 육상으로부터의 오염물 유입, 자가 오염 등의 내외부적 요인에 의한 오염은 점차 심각해지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퇴적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고 있다. 특히, 매립과 준설이 포함된 개발 사업에서의 퇴적물 영향에 대한 검토와 평가는 주변 생태계에 대한 사전적 보호와 관리의 측면에서 큰 의미를 지닌다. 본 연구에서는 공유수면개발 행위에 대한 해역이용협의서 중의 해양 퇴적물 평가의 지표가 되는 퇴적물 관리 기준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외의 해양퇴적물 평가 및 관리기준을 비교검토 하였다. 국내의 경우, 해양환경관리법에 적시된 관련 기준을 대상으로 하였다. 동시에 비교적 다양한 요소로 구성된 평가기준을 보유한 캐나다와 NOAA사례를 분석하였다. 또한 실제 평가기준 적용 및 운영 사례 분석을 위해 해역이용협의서 중 해저 퇴적물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최근 5년간(2016-2020)의 항만 및 어항개발 사업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일반해역이용협의서 중 퇴적물의 평가 단계에서의 기준과 평가 요소 등을 분석하였다. 고찰과 분석을 통해 해역이용협의서 중 현재의 퇴적물 환경기준에 생태 위해성과 잠재적 인체 위해성에 대한 평가 요소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제안하였다.

파력발전장치 설계를 위한후포 연안의 파랑 분석 및 스펙트럼 추정 (Wave Analysis and Spectrum Estimation for the Optimal Design of the Wave Energy Converter in the Hupo Coastal Sea)

  • 권혁민;조홍연;정원무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3호
    • /
    • pp.147-153
    • /
    • 2013
  • 파력변환장치에는 여러 가지 형식이 있으며 지점흡수식이 가장 많이 연구되고 있다. 하지만, 국내외적으로 진동형 전력부이 형식의 설계를 위한 계통적 실측자료 분석 예는 찾기가 어렵다. 본 연구는 권 등(2010)에 의해 제안된 지점흡수식인 공진형 파동에너지 추출시스템에 작용하는 파랑외력을 산정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경북 동해안에 위치한 후 포항 북방파제 전면수역에서 수압식 파고계를 이용하여 약 3년동안 관측한 자료(2002년 5월 1일~2005년 3월 29일)를 대상으로 시계열 스펙트럼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월별주기변동과 파고변동이 뚜렷하게 나타나며 월별 파력이 년 간 불균등하게 분포함을 알았다. 상시파랑의 평균 파형경사는 풍파영역인 0.02-0.04보다 작은 0.01이였다. 년 중 파의 평균주기의 최빈값은 5.31 sec 이며 본 주기에 해당하는 파고 중 최빈 파고는 0.32m이다. 첨두 주기의 발생확률은 이산형(bi-modal)으로 나타나며 4.47 sec와 6.78 sec에서 mode값을 보인다. 설계주기는 이러한 4개의 값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파고는 1m 이하가 약 95%를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파력이 미약한 해역에서는 공진형 파력 시스템이 필요하며 파력의 월별 불균등 분포를 극복하기 위한 최적설계가 전력생산단지(Wave Energy Farm) 형성을 위한 주요한 과제임을 알았다. 본 연구는 상시파랑의 평균스펙트럼에 대하여 표준스펙트럼으로 표현이 불가능하여 3개의 매개변수로 표현이 가능한 새로운 스펙트럼형을 제안하였으며 파력부이에 의한 전력생산 예측과 피로해석을 위한 기본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GIS기반 다방향 흐름 분배 모형의 적용성 검토 (Evaluation for Applicability of GIS Based Multi-Directional Flow Allocation Model)

  • 최승용;이원하;한건연;김극수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2-31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GIS 기반 다방향 흐름 분배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는데 있다. 개발된 모형의 적용성을 평가하기 위해서 평창강, 소양강 유역을 포함한 실제 유역에 대해 적용하고 모의 결과를 실측치와 비교하였다. 모의 결과를 실측치와 비교한 결과 실측치와 비교적 잘 일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방향 흐름분배의 적용을 통해 정확도의 향상과 계산 소요시간의 단축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유역 유출 산정에 있어 본 연구에서 개발된 다방향 흐름 분배 알고리즘을 적용하면 조금 더 정확한 유출량을 계산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새만금 간척전·후 금강 하구의 퇴적 과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edimentation Processes in Estuary of the Geum river before and after Saemangeum reclamation)

  • 신문섭;배기성;김남형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2권3호
    • /
    • pp.5-15
    • /
    • 2001
  • 새만금방조제 축조 전 후 금강하구의 조류 변화와 잔차류특성, 금강의 부유사 유입에 의한 퇴적 과정을 알아보았다. 잔차류는 새만금방조제 축조 전후 금강 하구역의 조석잔차류와 관측된 수온 염분, 바람자료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계산에 의한 퇴적과정은 잔차류와 입자의 침강속도를 고려하여 Euler Lagrange 방법으로 부유사의 분산 퇴적과정을 3차원 수치 실험에 의하여 재현하였다. 토립자(土粒子)의 중앙입경은 $150{\mu}m$, $300{\mu}m$, $400{\mu}m$의 경우에 대하여 적용하였다. 토립자(土粒子)의 분포사항은 금강하구둑에서 토립자(土粒子) 방류후 24시간과 72시간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그 결과 봄에 관측한 수온 염분, 바람, 조석응력을 이용하여 계산한 잔차류의 특성은 상층에서 만경강과 동진강 하구역에서 시계방향의 흐름분포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하구특성의 하나인 밀도류에 의한 흐름은 하구 쪽 방향으로 아주 작은 분포를 하고 있었다. 부유사의 분산 퇴적과정을 수치실험 한 결과 24시간후의 퇴적분포는 대부분 금강하구와 장항해역에서 퇴적분포를 나타내고 있었으나 72시간 후에는 금강하구와 장항해역, 만경강과 동진강하구까지 퇴적분포를 나타내었다.

  • PDF

지구통계학 크리깅 기법을 이용한 연약지반의 불확실성 분석 (Uncertainty Analysis of Soft Ground Using Geostatistical Kriging Method)

  • 윤길림;이강운;채영수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1권3호
    • /
    • pp.5-17
    • /
    • 2005
  • 남해안 부산 해성점토지반을 대상으로 지반조사 및 시험, 분석과정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지반의 공간적 불확실성을 면구한 내용이다. 지반의 불확실성을 정량화하기 위하여 지반의 공간적 불확실성을 수치화하는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사용하여 지반의 공간적 방향성을 분석하였다. 본 논문에서 불확실성 분석에 사용된 지반조사는 원위치 보링은 25개, 실내시험은 73회, 현장베인시험 124회, 그리고 심도별 콘관입시험 25회의 결과가 활용되었다. 지반의 불확실성에 대한 공간적 분석에 사용된 핵심자료는 큰관입 시험결과이고 특히 비배수 전단강도를 산정시 큰 영향을 미치는 콘계수($N_k$ )에 대하여 지구통계학적 방법과 기존의 일반적인 방법으로 상효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결과, 지구통계학적 기법을 통한 시험자료의 해석은 지반 고유특성에 따른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찾을 수 있으며 특정 방향에 대한 시험자료의 상관성이 임의의 지역에 대한 값 추정에 적용되어 보다 신뢰성 있게 분포양상을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지구통계학적 크리깅 분석기법은 대상지역의 압밀과 강도특성 분포를 규명하는 데는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복단면 개수로흐름에서 홍수터 식생의 흐름저항을 반영한 1차원 모형 (One-Dimensional Model for Flow Resistance of Floodplain Vegetation in Compound Open-Channel Flow)

  • 박문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3권6호
    • /
    • pp.517-52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식생이 포설된 홍수터를 포함하는 복단면 개수로 흐름의 수위를 예측하기 위하여 유효 전단응력기법에 근거한 일차원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안된 모형은 주수로와 홍수터 접합부에서 발생하는 운동량 교환효과를 와점성계수 개념을 이용하여 반영할 수 있다. 주수로와 홍수터의 경계에서 발생하는 경계와점성계수는 3차원 레이놀즈 응력 모형을 이용하여 결정하였다. 경계와점성계수의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민감도분석을 수행하였다. 경계와점성계수의 변화에 대하여 배수곡선의 변화는 크지 않았으나, 홍수터에서 부담하는 유량은 경계와점성계수에 비례하여 증가하였다. 마지막으로 식생된 홍수터의 식생밀도 및 침수비에 따른 경계와점성계수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계산된 경계와점성계수는 식생밀도와 침수비에 비례하며, 대략$(2-5){\times}\;10^{-4}$ 정도의 값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A Research of Coastline Deformation with an Aerial Photo

  • Kim, Kam-Lae;Kim, Hak-Joon;Jeon, Ho-Won
    • Korean Journal of Geomatics
    • /
    • 제3권1호
    • /
    • pp.1-6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out a history of the coastline deformation with annual aerial photos of the target area and to suggest an efficient method for interpreting the coastline deformation. First, there were difficulties in obtaining annual aerial photos of an identical area as well as collecting periodical datum because of too much change of the real area during more than 27 years. Besides the past aerial photo is inferior to the latest one in quality. So there is nothing but to exclude an accuracy evaluation of the ortho photo. Taken into account the extent of the coastline change for 27 years is more than 10M and the all errors of the ortho image is included in this extent, both an accuracy and an error are ignored.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 that the coastline in the sea area of Namhangjin maintain advanced forward the ocean and keeps on moving with maintaining fairly wider shape of balance beach. Also The coastline deformation off l㎞ from the estuary is greatly irregular, which means the erosion of the sea in this area is in progress. The latest data being the aerial photo in 1996, it is difficult to find out the current conditions of a coastal erosion. However, considered the construction of a breakwater in Anmok Harbor is going on, the beach erosion becomes more accelerative recently. The aerial photos of the present Namhangjin's situation will make it possible to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coastline change more accurately.

  • PDF

지자기이상을 이용한 동해 독도 및 독도주변의 구조와 성인에 관한 고찰 (A Study on the Structure and Origin of the Dokdo and it's Surroundings in the East Sea (Japan Sea) Using Magnetic Anomalies)

  • 김창환;박찬홍;민경덕;한현철;권문상;심재설;최성호;오순복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4권4호
    • /
    • pp.491-500
    • /
    • 2002
  • Magnetic anomalies in the Dokdo and it's surroundings were investigated with respect to structure and origin of the Dokdo and surrounding seamounts. After normal and diurnal correction of measured magnetic data, crossover correction was applied to reduce errors between sets of magnetic anomalies. The errors from crossover operation result in decrease of about 51%, from 62.2 nT to 30.1 nT in standard deviation. Reduction-to-the-pole, second vertical derivative and analytic signal processing were applied to explore magnetic anomaly signatures in detail. Magnetic anomalies are most complicated in the 1st-Dok seamount, show SWW-NEE linear pattern in the 2nd-Dok seamount and lower to the 3rd-Dok seamount. Different magnetic anomaly patterns in three seamounts imply that three volcanic seamounts were formed at different times and are composed of rocks that were produced in different conditions. It seems that the 3rd-Dok seamount was first to form and followed by the 1st-Dok seamount. The complicated magnetic and second vertical derivative anomaly patterns in the 1st-Dok seamount may be due to subsidiary cones around crater or the presence of intruded magma bodies below sea surface and the Dokdo is probably a marginal subsidiary part of crater.

이어도해양과학기지에서의 에디 공분산 방법을 이용한 플럭스 관측 (Tower-based Flux Measurement Using the Eddy Covariance Method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 이희춘;이방용;김준;심재설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26권2호
    • /
    • pp.145-154
    • /
    • 2004
  • Surface energy and $CO_2$ fluxes have been measured over an ocean at Ieodo Ocean Research Station of KORDI since May 2003. Eddy covariance technique, which is a direct flux measurement, is used to quantitatively understan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ocean surface and the atmospheric boundary layer. Although fluxes were continuously measured during the period from May 2003 to February 2004, the quality control of these data yielded <20% of data retrieval. The atmospheric stability did not show any distinct dirunal patterns and remained near-neutral to stable from May to June but mostly unstable during fall and winter in 2003. Sensible heat flux showed a good correlation with the difference between the sea water temperature and the air temperature. The maximum fluxes of sensible heat and latent heat were $120Wm^{-2}$ and $350Wm^{-2}$ respectively, with an averaged Bowen ratio of 0.2. The ocean around the tower absorbed $CO_2$ from the atmosphere and the uptake rates showed seasonal variations. Based our preliminary results, the daytime $CO_2$ flux was steady with an average of $-0.1 mgCO_2m^{-2}s^{-1}$ in summer and increased in winter. The nighttime $CO_2$ uptake was greater and fluctuating, reaching up to $-0.1 mgCO_2m^{-2}s^{-1}$ but these data require further examination due to weak turbulent mixing at nighttime. The magnitude of $CO_2$ flux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half hourly changes in horizontal mean wind speed. Due to the paucity of quality data, further data collection is needed for more detailed analyses and interpretation.

Occurrence of butyltin compounds in marine environment of Gwangyang Bay, Korea

  • Park, Hee-Gu;Kim, Sang-Soo;Moon, Hyo-Bang;Gu, Bon-Kyu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1권8호
    • /
    • pp.793-800
    • /
    • 2002
  • Butyltin (BT) compounds were measured in seawater, sediment, sediment core, settling solids, and plankton from Gwangyang Bay in 2001, Tributyltin (TBT) was detected in seawater from 1 out of the 7 seawater sampling sites and in sediment from 18 out of the 35 sediment sampling site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TBT was found in the sediment from the site near Yeosu Harbor (53 ng Sn/g dry wt), acting as the point source for TBT The mean concentrations of TBT were in the order of plankton> settling solids> sediment. The degradation indexes ([DBT]+[MBT]/[TBT]) for the plankton were less than 1,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recent inputs of TBT. The indexes for the sediment and settling solids ranged from 1.14 to 8.73. The composition of the BT compounds found in the settling solids was similar to that found in the sediment. The vertical profile of the total BT compounds in the sediment was characterized by an abrupt decline from the surface. However, no butyltin compounds appeared below a depth of 10 cm, corresponding to the 1980s. Accordingly, the curr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levels of all butyltin species in the environment of Gwangyang Bay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in other polluted coastal areas. The vertical profile also suggested a fairly recent history for the down-c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