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oastal Vegetation

검색결과 216건 처리시간 0.023초

강화군 무인도서 해식애의 식생 (Vegetation at Sea Cliffs of Uninhabited Islets off Ganghwa-gun, Korea)

  • 송홍선;조우;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453-460
    • /
    • 2008
  • 본 연구는 상관에 의한 종조성표의 불연속성인 분류법과 연속성인 배열법을 적용하여 강화군 무인도서 해식애의 식물종조성 및 식생을 분석하였다. 해식애에서 출현빈도가 가장 높은 식물은 담쟁이덩굴(58.3%)이었으며 다음으로 소사나무, 분꽃나무, 음나무(각각 37.5%)이었다. 식물의 군락구조는 신갈나무군락, 찰피나무군락, 소사나무군락, 팥배나무군락, 곰솔군락으로 구분되었다. 도서별로는 신갈나무군락이 소송도와 분지도, 찰피나무군락은 대송도, 소송도, 소사나무군락은 우도, 수리봉, 비도, 팥배나무군락은 수시도, 대송도, 소송도, 곰솔군락은 석도, 우도에 나타났다. 도서별 유연관계는 소송도와 대송도의 유사도가 가장 높았다. 전형적인 해안단애초원군락이 결합하지 않은 이유는 해식애 대부분이 표토가 거의 없는 암석바위의 지형적 환경조건 때문으로 판단되어 이에 대한 세밀한 연구가 필요하였다.

한국 서.남해안 염습지 복원을 위한 염생식물의 생육지와 토양환경 분석 (Soil Environment Analysis and Habitat of Halophyte for Restoration in the Salt Marshes of Southern and Western Coasts of Korea)

  • 이점숙;임병선;명현호;박정원;김하송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102-110
    • /
    • 2009
  • 본 연구는 2006년 7월부터 2008년 4월까지 한국 서남해안의 대표적인 18개 해안 염습지에서 생육지와 토양특성을 조사하여 서남해안 염습지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였다. 조사지역은 염습지의 생육지 유형에 따라 1차적으로 해안성 염습지와 하구성 염습지로 구분하고, 2차적으로 해안성 염습지는 점토성 염습지, 사질성 염습지, 사구성 염습지, 하구성 염습지는 염소택지와 기수성 염습지로 구분하였다. 생육지 유형별 주요 식물군락은 점토성 염습지에서는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칠면초군락, 사질성 염습지에서는 갈대군락, 갯잔디군락, 천일사초군락, 퉁퉁마디군락, 큰비쑥군락, 해홍나물군락, 사구성 염습지에서는 갯그령군락, 통보리사초군락, 순비기나무군락, 염소택지에서는 갈대군락, 갯잔디군락, 해홍나물군락, 천일사초군락, 하구 염습지에서는 칠면초군락, 갈대군락, 천일사초군락, 나문재군락으로 나타났다. 염생식물 군락분포지역의 토양 환경은 염생식물의 생육지 특성에 따른 염생식물군락과 토양의 차이가 나타났다. 따라서 해안 염습지를 복원할 경우, 염습지를 대상으로 생육지 토양의 물리적 특성, 이화학적특성을 파악하여 생육지 조건에 맞는 염생식물을 선정하고, 이식한 후 자연식생이 형성된 지역을 중심으로 점차 확장시킴으로써 염생식물이 안정적으로 정착, 발아, 생장하는데 유리할 것이다.

서남해안 도서지역의 난온대 식생유형화 및 훼손등급 (The Types of Warm Temperate Forest and the Degraded Levels in the Island Area of the West and South Coast)

  • 박석곤;성찬용;강현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5권6호
    • /
    • pp.579-593
    • /
    • 2021
  • 전남 서남해(진도·완도·강진·고흥·여수)의 여러 도서지역을 조사하여 식생을 유형화했고, 난온대 상록활엽수림의 우점도·출현종수를 기준으로 난온대림의 훼손등급 평가기준을 제안했다. 이를 통해 훼손등급별 복원유형과 복원기법을 제시하여, 도서지역의 난온대림 복원계획을 수립하는 데 활용하고자 했다. 307개의 식생조사 데이터를 이용해 TWINSPAN기법으로 식생유형화를 시도했는데 8개 식물군락으로 구분됐고, 각 군락별 상록활엽수종의 출현 특성을 파악했다. 군락I은 해발 86.6m의 사면하부에 위치했고 참식나무와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했다. 군락II·III은 해발 10.5~22.5m 이하의 저지대 해안가에 출현하는 군락으로서 후박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구실잣밤나무가 우점했다. 군락 IV·V는 해발 71.9~153.4m 사이의 사면 하부·중부에 분포한 군락으로서 구실잣밤나무가 우점하는 군락이었다. 군락VI는 해발 166.9m의 사면 하부·중부에 위치하며 교목층과 아교목층에 참식나무가 우점했고, 마지막 군락 VII · VII은 해발 187.8~246.2m의 사면중부에 붉가시나무·참가시나무가 출현했다. 정리하면, 후박나무·생달나무·참식나무 등이 우점한 상록활엽수림은 주로 해안가 저지대에 출현했고, 구실잣밤나무군락은 이 군락보다 더 높은 내륙지역에 분포했다. 이 두 군락보다 더 높은 곳의 내륙 고지대에는 붉가시나무·참가시나무 등의 가시나무류 군락이 나타났다. 상록활엽수의 교목층 상대우점치와 교목성 상록활엽수 종수에 따라 훼손등급을 0~V로 구분했다. 그 훼손등급에 따라 복원유형(보존형, 유도형, 갱신형, 조성형)과 복원기법을 제안했다.

갯방풍 자생지의 식생구조 및 군락특성에 관한 연구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Native Preservation Method of Glehnia littoralis Community in Korea Coast)

  • 추병길;지윤의;문병철;김보배;이아영;윤태숙;송호경;김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38-48
    • /
    • 200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vegetation structure of community by the phytosociology method, floristic composition table on coast of South Korea. Form 2007 June until November, $2m{\times}2m$ quadrat was established in native Glehnia littoralis in order to record a dominants and coverage, and it drew the profile. It was found out that the mean temperature in the distributed areas for Glehnia littoralis population was $11^{\circ}C$ or more. The flora of the studied area in Glehnia lottoralis community of coastal dune was listed as 100 species. Glehnia lottoralis community of appearance species of Yeonggwanggun Duwori was many most by 44 species. Carex pumila, Carex Kobomugi,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Ischaemum anthephehoroides and Vitex rotundifolia range all over the studied areas. And the vegetation of Glehnia littoralis community was classified into Vitex rotundifolia subcommunity, Ischaemun anthephephoroides subcommunity and Imperata cylindrica var. koenigii subcommunity. Native Glehnia littoralis was classified into preserve area, natural selection area and artificial destruction area. It must preserve native Glehnia littoralis of Goseong, Yeongdeok, Haenam it was ecological important area.

Study on Plastics Detection Technique using Terra/ASTER Data

  • Syoji, Mizuhiko;Ohkawa, Kazumichi
    • 대한원격탐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원격탐사학회 2003년도 Proceedings of ACRS 2003 ISRS
    • /
    • pp.1460-1463
    • /
    • 2003
  • In this study, plastic detection technique was developed, applying remote sensing technology as a method to extract plastic wastes, which is one of the big causes of concern contributing to environmental destruction. It is possible to extract areas where plastic (including polypropylene and polyethylene) wastes are prominent, using ASTER data by taking advantage of its absorptive characteristics of ASTER/SWIR bands. The algorithm is applicable to define large industrial wastes disposal sites and areas where plastic greenhouses are concentrated. However, the detection technique with ASTER/SWIR data has some research tasks to be tackled, which includes a partial secretion of reference spectral, depending on some conditions of plastic wastes and a detection error in a region mixed with vegetations and waters.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after making comparisons between several detection methods and plastic wastes in different conditions; (a)'spectral extraction method' was suitable for areas where plastic wastes exist separated from other objects, such as coastal areas where plastic wastes drifted ashore. (single plastic spectral was used as a reference for the 'spectral extraction method') (b)On the other hand, the 'spectral extraction method' was not suitable for sites where plastic wastes are mixed with vegetation and soil. After making comparison of the processing results of a mixed area, it was found that applying both 'separation method' using un-mixing and ‘spectral extraction method’ with NDVI masked is the most appropriate method to extract plastic wastes. Also, we have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of reducing the influence of vegetation and water, using ASTER/TIR, and successfully extracted some places with plastics. As a conclusion, we have summarized the relationship between detection techniques and conditions of plastic wastes and propose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remote sensing technology to the extraction of plastic wastes.

  • PDF

태풍 볼라벤에 의한 제주도 방풍림 조풍(潮風) 피해 (Salty Wind Damages in Windbreak Forests of Jeju Island by Typhoon Bolaven)

  • 최광희;최광용;김윤미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8-31
    • /
    • 2014
  •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에서 태풍에 의해 야기되는 조풍(潮風) 발생 및 식생에 나타난 피해의 시 공간적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2년 8월 하순 제주도를 강타한 태풍 볼라벤(BOLAVEN)의 통과시 기상자료를 분석하고 이후 야외답사를 수행하여 제주도 식생에 나타난 조풍해 정도를 조사하였다. 그 결과, 조풍해는 주로 제주도 남부 및 동부 해안지역에서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태풍이 동반한 강한 남동풍과 상대적으로 적은 강수량이 그 원인으로 분석되었다. 조풍에 의해 해안에서 약 8km 범위 내의 삼나무(Cryptomeria japonica)와 해안지역의 곰솔(Pinus thunbergii)을 포함한 대부분의 식생이 피해를 입었으나, 그 피해정도 및 회복력은 수종별로 차이가 있었다. 조풍에 의한 식생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강풍성 마른 태풍이 접근 시 조풍해 발생을 예측하고 방제대책을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

  • PDF

한반도 후빙기의 저지대 식생사 (The Post-glacial Vegetation History of the Lowland in Korean Peninsula)

  • 최기룡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2호
    • /
    • pp.169-174
    • /
    • 1998
  • This is the review of vegetational history of the post-glacial period in Korea. most of studies for vegetational changes are located in the lowland alluvial plain, especially below the hilly zone of western and eastern coastal regions of Korea. A couple of methods, pollen analysis and radiocarbon dating, have been employed in these studies. These results lead us to establish the pollen zonation in Korea as the followings. Yasuda et al.(1980) classified six period in Yongrang lake of sokcho. These are as follow I. 17,000-15,000yr B.P.: Picea, Abies, Pinus(Haploxylon), Larix stage, II.15,000-10,000yr B.P:Herb, Pteridophyta stage, III.10.000-6,700yr BP.:Quercus stage, IV.6,700-4,500yr B.P.:Pinus, Quercus, Carpinus stage, V.4,500-1,400yr B.P.:Quercus. Pinus stage, VI.1,400yr B.P.-present: Pinus, Herbs stage. Jo(1979) also divided the period into two stages from the outcomes of analysis done in Jumoonjin and other sites I.10,000-6,000yr B.P.:Quercus stage, II.6,000-present: Pinus-Quercus stage, and three substages: IIa.6,000-3,400 yr B.P.:lower Pinus stage, IIb.3,400-2,000yr B.P.:Pinus-Quercus stage, IIc.2,000-present: Pinus stage. Choi(1993, 1996) divided the period into three stages: I.6,000-5,000yr B.P.:Alnus, Quercus stage, II.5,000-4,000yr B.P.: Alnus, Quercus, Pinus stage, III.4,500-2,600yr B.P.: Alnus, Pinus stage. In the period around 6,000yr B.P. distinct dominant species clearly occupied the lowland of the eastern and western coasts. Thus, this strongly supports the fact that even if Korea experienced its warm and wet climate after the lateglacial, it underwent a different environmental change, dry climate, compared to the regions of Japan.

  • PDF

메조코즘 실험에 의한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 평가 (Assessment in Habitat Stability of Halophyte by using Mesocosm Experiment)

  • 류성훈;이인철;김경회;윤한삼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619-626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갯벌토 및 준설토를 기질로 이용한 Mesocosm 실험을 통하여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을 평가하였다. Mesocosm 실험구는 기질 및 식생의 식재 여부에 따라 Mesocosm A(갯벌토+퉁퉁마디 식재), Mesocosm B(준설토), Mesocosm C(준설토+퉁퉁마디 식재)로 조성하였다. 그리고 Mesocosm 실험구 내 염생식물의 서식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해 수질(COD, T-N, T-P, 수온, 염분), 저질(COD, T-N, T-P), 식생성장률의 서식환경 인자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여 서식안정성지수(HSI)를 산정하였다. Mesocosm C에서의 HSI는 0.87~0.95로서 Mesocosm A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HSI가 높게 산정되어, 준설토를 이용한 해안염습지의 복원/조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해안지대 순비기나무, 번행초, 갯방풍의 재배한계 및 RAW 264.7 세포와 HL-60세포의 생리활성 (Cultivation Limit of Vitex rotundifolia, Tetragonia tetragonoides and Glehnia littoralis at Coastal Area and Physiological Vitality of RAW 264.7 cell and HL-60 cell)

  • 김지훈;박선순;송창길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44-50
    • /
    • 2008
  • 한약재 및 식용으로 사용되는 순비기나무, 번행초, 갯방풍의 재배 한계지역과 생리활성 성분의 효능은 다음과 같다. 1. 순비기나무, 갯방풍의 서해안 북방한계지역은 태안반도이며, 동해안 북방한계지역은 강원도 지역으로 확인되었고, 번행초의 서해안 북방한계지역은 전라남도이고 동해안 북방한계지역은 경상북도 울릉군 지역이었다. 2. 자생지가 해안 200 m 이내 모래점토와 점토흙이 혼합된 지역에서 직사광선은 받는 우점식생이 없는 것을 볼 때 재배 지역은 해안지역과 인접한 지역은 재배 가능지역으로 판단된다. 3. 생리활성효능을 RAW 264.7 세포와 HL-60 세포를 이용하여 확인한 결과 유효한 항염효능은 확인하지 못하였고, 항암활성을 검정한 결과 순비기나무, 번행초는 억제활성이 없었고, 갯방풍은 $100{\mu}g/m{\ell}$에서 60%, $200{\mu}g/m{\ell}$에서 72%의 증식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Recovery and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of Coastal Japanese Black Pine (Pinus thunbergii) Forests on the Fukiage Sand Dunes of Southern Kyushu, Japan

  • Teramoto, Yukiyoshi;Shimokawa, Etsuro;Ezaki, Tsugio;Chun, Kun-Woo;Kim, Suk-Woo;Lee, Youn-Tae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0권4호
    • /
    • pp.383-392
    • /
    • 2014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Fukiage sand dunes of southern Kyushu, Japan. We surveyed the status of recovery of coastal Japanese black pine forests damaged by pine wilt disease and their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We placed two transects: Transect 1, in an area that was severely damaged (80-90% damage rate) by pine wilt disease, and Transect 2, in an area that was mostly undamaged (<10% damage rate). Then, we installed survey lines, carried out vegetation surveys, and measured the depth and pH of humus soil. The survey lines were placed perpendicular to the coastline from the top of the fore-dune to the inland area, and divided into five 50 m sections. Before the point 100 m inland from the top of the fore-dune, the number of invasive hardwoods and of Japanese black pines were small because of the poor growth environment in both transects. Past the 100 m point, the species and number of Japanese black pines and broad-leaved trees increased further inland because the growth environment improved. In addition, the recovery metrics of tree height, diameter at breast height, age, and number in Transect 1 were much lower than those in Transect 2, and the basal area of broad-leaved trees and the depth of humus soil in Transect 1 were lower than in Transect 2, and the soil pH of humus soil in Transect 1 was higher than that of Transect 2. The shape ratio of the Japanese black pine forests indicated that they were insufficient for disaster prevention. Therefore, in order to fully promote the disaster prevention capability of coastal Japanese black pine forests, we should not only focus on prevention of pine wilt disease but also undertake continuous control efforts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sound growth environment such as appropriate density and soil management and removal of invasive broad-leaved tre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