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prognostic factors

검색결과 600건 처리시간 0.023초

Three-dimensional conformal radiotherapy for portal vein tumor thrombosis alone in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 Lee, Ju Hye;Kim, Dong Hyun;Ki, Yong Kan;Nam, Ji Ho;Heo, Jeong;Woo, Hyun Young;Kim, Dong Won;Kim, Won Taek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2권3호
    • /
    • pp.170-178
    • /
    • 2014
  • Purpose: We sought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3-dimensional conformal radiation therapy (3D-CRT) for portal vein tumor thrombosis (PVTT) alone in patients with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data on 46 patients who received 3D-CRT for PVTT alone between June 2002 and December 2011. Response was evaluated following the Response Evaluation Criteria in Solid Tumors. Prognostic factors and 1-year survival rates were compared between responders and non-responders. Results: Thirty-seven patients (80.4%) had category B Child-Pugh scores. The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performance status score was 2 in 20 patients. Thirty patients (65.2%) had main or bilateral PVTT. The median irradiation dose was 50 Gy (range, 35 to 60 Gy) and the daily median dose was 2 Gy (range, 2.0 to 2.5 Gy). PVTT response was classified as complete response in 3 patients (6.5%), partial response in 12 (26.1%), stable disease in 19 (41.3%), and progressive disease in 12 (26.1%). There were 2 cases of grade 3 toxicities during or 3 months after radiotherapy. Twelve patients in the responder group (15 patients) received at least 50 Gy irradiation, but about 84% of patients in the non-responder group received less than 50 Gy. The 1-year survival rate was 66.8% in responders and 27.4% in non-responders constitut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 = 0.008). Conclusion: Conformal radiotherapy for PVTT alone could be chosen as a palliative treatment modality in patients with unfavorable conditions (liver, patient, or tumor factors). However, more than 50 Gy of radiation may be required.

다낭성난소증후군 환자들에서 Clomiphene Citrate에 대한 난소 반응의 예측 인자들에 관한 연구 (Prognostic Factors of Ovarian Response to Clomiphene Citrate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 김대진;채희동;손철;김정훈;강병문;장윤석;목정은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25권2호
    • /
    • pp.141-151
    • /
    • 1998
  • Objectives: To determine whether the body weight, body mass index (BMI), and basal serum level of LH, FSH, testosterone (T),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 (DHEA-S) are related to the ovarian response to clomiphene citrate (CC) in patients with polycystic ovarian syndrome (PCOS). Materials and Method: From January 1996 to June 1997, total 57 patients with PCOS were enrolled in the present study. Women who had other infertility factors were excluded from our study. The ovulation induction using CC was used in all patients. The patients were grouped into 50 mg group, 100 mg group, and 150 mg group according to their daily CC dose. The patients were also grouped to ovulatory and non-ovulatory group. The body weight, BMI, and basal serum level of LH, FSH, T, DHEA-S were measured in all patients on the 2nd or 3rd day of the menstrual cycle. Results were analysed with Student's t-test and Fisher's exact test. Results: The body weight and BMI of the nonovulating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vulating group in all groups (50, 100, 150 mg of CC).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level of LH and FSH between ovulating and nonovulating groups in all CC groups (50, 100, 150 mg). The level of T of nonovulating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in 50 and 100 mg of CC groups, but not in 150 mg group. The level of DHEA-S of the non-ovulating group is significantly higher in 50 mg group, but not in 100 and 150 mg groups. Conclusion: The body weight and BMI could be useful predictors of ovarian response to CC in patients with PCOS, and basal T and DHEA-S also might be useful in cases of low-dose CC treatment.

  • PDF

Balloon Bronchoplasty for the Treatment of Bronchial Stenosis After Lung Transplantation: A Single-Center 10-Year Experience

  • Dong Kyu Kim;Joon Ho Kwon;Kichang Han;Man-Deuk Kim;Gyoung Min Kim;Sungmo Moon;Juil Park;Jong Yun Won;Hyung Cheol Kim;Sei Hyun Chun;Seung Myeon Choi
    • Korean Journal of Radiology
    • /
    • 제24권5호
    • /
    • pp.424-433
    • /
    • 2023
  • Objective: To assess the safety and efficacy of balloon dilatation under dual guidance using fluoroscopy and bronchoscopy for treating bronchial stenosis following lung transplantation (LT), and to elucidat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atency after the procedure. Materials and Methods: From September, 2012, to April, 2021, 50 patients (mean age ± standard deviation, 54.4 ± 12.2 years) with bronchial stenosis among 361 recipients of LT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safety of balloon dilatation was assessed by evaluating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Efficacy was assessed by evaluating the technical success, primary patency, and secondary patency. Primary and secondary cumulative patency rates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patency after the procedure were evaluated using multivariable Cox hazard proportion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In total, 65 bronchi were treated with balloon dilatation in 50 patients. The total number of treatment sessions was 277 and the technical success rate was 99.3% (275/277 sessions). No major procedure-related complications were noted. During the mean follow-up period of 34.6 ± 30.8 months, primary patency was achieved in 12 of 65 bronchi (18.5%). However, the patency rate improved to 76.9% (50 of 65 bronchi) after repeated balloon dilatation (secondary patency). The 6-month, 1-year, 3-year, and 5-year secondary patency rates were 95.4%, 90.8%, 83.1%, and 78.5%, respectively. The presence of clinical symptoms was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associated with reduced primary patency (adjusted hazard ratio [HR], 0.465; 95% confidence interval [CI], 0.220-0.987). Early-stage treatment ≤ 6 months (adjusted HR, 3.588; 95% CI, 1.093-11.780) and prolonged balloon dilatation > 5 min (adjusted HR, 3.285; 95% CI, 1.018-10.598)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ly higher secondary patency. Conclusion: Repeated balloon dilatation was determined to be safe and effective for treating bronchial stenosis following LT. Early-stage treatment and prolonged balloon dilatation could significantly promote long-term patency.

Predictors of renal relapse in Koreans with lupus nephritis after achieving complete response: a 35-years of experience at a single center

  • Howook Jeon;Jennifer Lee;Su-Jin Moon;Seung-Ki Kwok;Ji Hyeon Ju;Wan-Uk Kim;Sung-Hwan Park
    • The Korean journal of internal medicine
    • /
    • 제39권2호
    • /
    • pp.347-359
    • /
    • 2024
  • Background/Aims: Renal relapse has known to be a poor prognostic factor in patients with lupus nephritis (LN), but there were few studies that identified the risk factors of renal relapse in real world. We conducted this study based on 35-years of experience at a single center to find out predictors of renal relapse in Korean patients with LN after achieving complete response (CR).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clinical, laboratory, pathologic and therapeutic parameters in 296 patients of LN who reached CR. The cumulative risk and the independent risk factors for renal relapse were examined by Kaplan-Meier methods and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es, respectively. Results: The median follow-up period from CR was 123 months. Renal relapse had occurred in 157 patients. Renal relapse occurred in 38.2%, 57.6% and 67.9% of patients within 5-, 10-, and 20-year, respectively. The age at diagnosis of SLE and LN were significantly younger, and the proportions of severe proteinuria and serum hypoalbuminemia were higher in patients with renal relapse. Interestingly, the proportion of receiving cytotoxic maintenance treatment was higher in patients with renal relapse. In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es, only young-age onset of LN (by 10 years, HR = 0.779, p = 0.007) was identified to independent predictor of renal relapse. Conclusions: Young-age onset of LN was only independent predictor and the patients with severe proteinuria and serum hypoalbuminemia also tended to relapse more, despite of sufficient maintenance treatment. Studies on more effective maintenance treatment regimens and duration are needed to reduce renal relapse.

Two-Day Fraction Gamma Knife Radiosurgery for Large Brain Metastasis

  • Joo-Hwan Lee;In-Young Kim;Shin Jung;Tae-Young Jung;Kyung-Sub Moon;Yeong-Jin Kim;Sue-Jee Park;Sa-Hoe Li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5호
    • /
    • pp.560-567
    • /
    • 2024
  • Objective : We investigated how treating large brain metastasis (LBM) using 2-day fraction Gamma Knife radiosurgery (GKRS) affects tumor control and patient survival. A prescription dose of 10.3 Gy was applied for 2 consecutive days, with a biologically effective dose equivalent to a tumor single-fraction dose of 16.05 Gy and a brain single-fraction dose of 15.12 Gy. Methods : Between November 2017 and December 2021, 42 patients (mean age, 68.3 years; range, 50-84 years; male, 29 [69.1%]; female, 13 [30.9%]) with 44 tumors underwent 2-day fraction GKRS to treat large volume brain metastasis. The main cancer types were non-small cell lung cancer (n=16), small cell lung cancer (n=7), colorectal cancer (n=7), breast cancer (n=3), gastric cancer (n=2), and other cancers (n=7). Twenty-one patients (50.0%) had a single LBM, 19 (46.3%) had a single LBM and other metastases, and two had two (4.7%) large brain metastases. At the time of the 2-day fraction GKRS, the tumors had a mean volume of 23.1 mL (range, 12.5-67.4). On each day, radiation was administered at a dose of 10.3 Gy, mainly using a 50% isodose-line. Results : We obtained clinical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llow-up data for 34 patients (81%) with 35 tumors, who had undergone 2-day fraction GKRS. These patients did not experience acute or late radiation-induced complications during follow-up. The median and mean progression-free survival (PFS) periods were 188 and 194 days, respectively. The local control rates at 6, 9, and 12 months were 77%, 40%, and 34%, respectively. The prognostic factors related to PFS were prior radiotherapy (p=0.019) and lung cancer origin (p=0.041). Other factors such as tumor volumes, each isodose volumes, and peri-GKRS systemic treatment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PFS. The overall survival period of the 44 patients following repeat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ranged from 15-878 days (median, 263±38 days; mean, 174±43 days) after the 2-day fraction GKRS. Eight patients (18.2%) were still alive. Conclusion : Considering the unsatisfactory tumor control, a higher prescription dose should be needed in this procedure as a salvage management. Moreover, in the treatment for LBM with fractionated SRS, using different isodoses and prescription doses at the treatment planning for LBMs should be important. However, this report might be a basic reference with the same fraction number and prescription dose in the treatment for LBMs with frame-based SRS.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성적과 예후인자 분석 (The Results of Definitive Radiation Therapy and The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for Non-Small Cell Lung Cancer)

  • 장승희;이경자;이순남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6권4호
    • /
    • pp.409-423
    • /
    • 1998
  • 목적 :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근치적 방사선 치료 단독 또는 항암화학요법과 병용으로 치료했을 때, 환자의 임상적 양상, 실패 양상, 생존율, 생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및 방사선치료와 연관된 부작용에 대하여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2년 3월부터 1996년 4월까지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이화대학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근치적 목적의 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70명의 환자에 대한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환자의 병기는 1기 2례, 2기 6례, 3-A기 30례, 3-B기 29례, 4기가 3례였다. 방사선치료는 6MV X-선을 이용하여 일일선량 1.8y-2.0Gy씩 주 5회 조사하였고, 총방사선량은 50.4-72.0Gy(중앙값 59.4Gy)였다. 전체 환자 중 34례(47$\%$)에서 유도 또는 동시 화학요법이 시행되었고 대부분 etoposide와 cisplatin이 포함된 복합화학요법이었다. 관찰조사가 사망 또는 연구시점까지 가능했던 경우가 43례(61$\%$)였고 생존율은 Kapian-Meier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생존율은 1년 63$\%$, 2년 29$\%$, 3년 26$\%$였고, 중앙생존기간은 17개월이였으며, 무병생존율은 1년 23$\%$, 2년 16$\%$였다. 각 병기별 전체 1년 생존율은 1기 100$\%$, 2기 80$\%$, 3기 61$\%$, 4기 50$\%$였고, 3기 환자만의 생존율은 1년 61$\%$, 2년 23$\%$, 3년 20$\%$였고, 중앙생존기간은 15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 후 완전관해가 11례(16$\%$), 부분관해가 35례(50$\%$)인 반면, 국소제어된 경우는 30례(43$\%$)로서, 이 중 24례(80$\%$)에서 치료실패에 대한 추적관찰이 가능하였으며, 추적된 24례에서 치료실패를 보인 14례(58$\%$)중 6례(43$\%$)는 국소재발, 6례(43$\%$)는 원격전이, 2례(14$\%$)는 국소재발과 원격전이가 동반된 경우로서 전체 환자 중 16례(23$\%$)에서 국소치유를 관찰할 수 있었다. 원격전이에 대한 추적관찰이 가능한 50례 중 23례(46$\%$)에서 원격전이를 보였다. 근치적 방사선 치료만 시행한 군의 1년 생존율은 59$\%$, 유도 또는 동시 화학요법이 복합된 군은 68$\%$로서 두 군간의 생존율 차이는 다변량분석에서 통계학적 의의가 있었고(p=0.0049), 3기 환자만의 경우 방사선치료 단독군의 1년 생존율은 51$\%$, 유도 또는 동시 화학요법 병행군은 68$\%$로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생존율 차이가 있었다(p=0.0015). 단변수 변량분석에서 전체환자는 병기(p=0.015) 및 국소제어유무(p=0.0001)가, 3기 환자군은 유도 또는 동시 화학요법 병행 유무(p=0.0488), 시기에 무관한 화학요법 시행 유무(P=0.001) 및 국소제어 유무(p=0.0001)가 통계적 유의성이 있었으며, 다변수 변량분석에서 전체 환자 또는 3기 환자만을 대상으로 할 때 병기(p=0.0001), 치료전 전신수행능력(p=0.001), 유도 또는 동시 화학요법 병행유무(p=0.0015), 총방사선량(p=0.0049), 국소제어 유무(P=0.0001)가 통계적 의의가 있었다. 방사선치료와 관련된 합병증은 식도염, 방사선폐렴, 혈액학적 부작용, 피부염이었으며, 2례의 치명적인 방사선폐렴이 관찰되었다. 결론 :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고식적인 방사선 치료만으로는 만족할만한 생존율을 얻기 어려우므로 원격전이 제어에 필요한 적절한 복합화학요법의 추가가 필요하고, 국소제어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수술을 병용하는 다원적 치료나 충분한 방사선량을 조사하기 위한 다분할조사방법의 활용 등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다.

  • PDF

급성 약물 중독환자에서 발생된 폐렴의 임상양상 및 위험인자에 대한 고찰 (A Clinical Analysis of Pneumonia in Acute Drug Intoxication)

  • 윤현주;손지웅;최유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9권4호
    • /
    • pp.380-388
    • /
    • 2005
  • 배 경 : 증가하는 사회적, 가정 문제들로 인하여 약물 중독은 해마다 늘고 있는 추세이나 최근 이에 대한 보고들이 적었고 특히 약물중독의 합병증 중 흔히 경험하게 되는 폐렴과 연관되어서는 잘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급성약물 중독 환자에서 발생한 폐렴의 임상양상과 그에 연관된 위험인자 및 예후인 자에 대해 조사하였다. 방 법 : 2000년 5월부터 2004년 5월까지 건양대학교 병원 응급실로 내원한 급성 약물 중독환자 237명을 대상으로 환자군의 연령, 성별, 약물 복용목적과 종류, 경과 및 중환자실 치료 여부, 특히 폐렴과 관련된 인자들을 의무기록을 통하여 후향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결 과 : 급성 약물중독환자에서 발생한 폐렴은 18.6%였으며 고령에서 많이 발생하였고 (45%) 유기인제에 의한 중독이 가장 많았으며 (28.3%) 성별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자살 목적의 음독이 68.8% 에 해당하였으며 폐렴 발생의 독립적인 위험인자는 65세 이상의 고령 (${\beta}=0.128$,p<0.05)과 초기 저하된 의식상태 (${\beta}=-0.209$, p=0.006) 그리고 긴 재원기간 (${\beta}=0.361$, p<0.001) 이었다. 폐렴의 예후와 관련하여서는 기도 삽관 (${\beta}=-0.628$, p<0.05)과 중환자실 입원기간 (${\beta}=0.710$, p<0.01) 및 전체 재원 일수가 많을수록 (${\beta}=-0.541$ p=0.010) 불량한 예후를 보였다. 균 배양 검사 결과 MRSA (37%) 가 가장 흔한 균으로 동정되었다. 결 론 : 급성 약물 중독 환자에서 폐렴 발생과 연관된 독립적인 위험인자로는 65세 이상의 고령과 초기 저하된 의식상태 및 긴 재원일수 이며 예후인자로는 기도 삽관 여부와 중환자실 및 총 재원 일수이다.

고형암의 뇌전이시 방사선치료 효과 (The Role of Radiotherapy in Patients with Brain Metastasis)

  • 이순남;주미순;이경자;남은미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7권4호
    • /
    • pp.281-286
    • /
    • 1999
  • 배경 및 목적 : 고형암의 뇌전이는 20$\~$40$\%$의 암환자에서 발생하고, 뇌전이 후 1년 생존율은 15$\%$정도로 예후가 불량하며 고식적 방사선치료 등에 의하여 70$\~$90$\%$의 환자에서 증상이 호전되나 대부분의 환자가 결국은 뇌전이로 인하여 사망하게 된다. 이에 고형암의 뇌전이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임상양상과 생존기간을 분석하고 예후인자를 파악하였다. 방 법 : 대상환자는 1987년 1월부터 1998년 1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부속병원에서 고형암의 뇌전이로 고식적 전뇌 방사선치료를 받은 71예이었다 대상 환자의 중앙연령은 63세(24$\~$89세)였고 남자 50예, 여자 21예이었다. 고식적 치료 후 신경증상의 호전정도를 평가하고, 연령, 종양의 원발병소, 진단당시 뇌전이 동반 유무, 타장기 전이 유무, 뇌전이 병변 수, 치료방법에 따라 생존기간을 비교하였다. 결 과 : 뇌전이시 동반된 증상은 두통이 34예로 가장 많았으며 근력 약화 29예, 오심 구토 및 의식 변화 각 14예, 시력장애 8예, 구음장애 7예 순이었고 치료 후 신경증상의 호전은 64.9$\%$에서 관찰되었다. 뇌전이의 치료로 전체환자 중 7예에서는 뇌전이의 수술적 제거 후 전뇌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나머지 64예는 전뇌 방사선치료만을 받았다. 전체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16주였고 1년 생존율은 IS.0%, 2년 생존율은 5.1$\%$였다. 타장기 전이가 없이 뇌전이 단독인 군(n=27)의 중앙생존기간은 33주로 타장기 전이가 있는 군의 10주에 비해 길었다(p=0.0018). 뇌전이 수가 단일 병소인 37예의 환자에서는 수술적 제거 후 방사선치료를 한 군(n=7)의 중앙생존기간이 40주로 방사선치료만 시행한 군의 16주에 비해 길었다(p=0.0438). 이 외에 연령, 원발암의 종류, 전신수행 상태, 진단당시 뇌전이 동반 유무, 뇌전이 병변 수에 따른 생존기간의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고형암에서 뇌전이는 나쁜 예후인자이나 뇌로의 단독전이는 타장기 전이 동반에 비해 예후가 양호하므로 수술적 절제, 방사선치료 등의 다양한 방법을 이용한 보다 적극적인 치료로 생존율 및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PDF

영아 연축 환아의 장기적 예후에 관한 고찰 (Long-term outcomes of infantile spasms)

  • 오석희;이은혜;정민희;염미선;고태성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호
    • /
    • pp.80-84
    • /
    • 2010
  • 목 적 : 이 연구의 목적은 영아 연축 환아들의 장기적 예후를 분석하며 그들의 신경학적 발달지연에 영향을 주는 예후인자들을 찾고자 한다. 방 법 : 저자들은 1994년에서 2007년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영아 연축으로 진단받은 72명의 소아들에 대하여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들 중 43명에 대한 전화 상 질문서 및 의무기록을 통하여 현재의 신경학적 발달에 대한 평가를 시행하였다. 불량한 장기적 예후와 관련된 인자들의 확인을 위해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결 과 : 13명(30.2%)이 특발성이며 30명(69.8%)이 증후성이었다. 11명(25.6%)이 ACTH 치료에 반응하였으며, 치료지연은 $1.3{\pm}1.9$개월이었다. 18명(41.8%)이 초기치료에 호전된 반응을 보였으며, 평균 추적기간은 $7.2{\pm}1.5$년이었다. 장기 예후 분석에서는 22명(51.2%)이 중등도 이상의 신경학적 발달지연을 보였으며, 그 중 2명(4.8%)이 사망하였다. 단변량 분석에서는 증후성 영아 연축과 초기 치료에 불량한 반응이 중등도 이상의 신경학적 발달지연과 관련된 유의한 위험인자였으나, 다변량 분석에서는 초기 치료에 불량한 반응만이 위험인자로 확인되었다. 결 론 : 영아 연축 환아의 전반적인 예후는 불량하였고 초기치료에 불량한 반응을 보인 환자군에서 장기적 예후가 더욱 불량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경련의 초기 조절이 영아 연축 환아에서 신경학적 발달지연과 관련된 장기적 예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비소세포성 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Therapeutic Results of Radiotherapy in Nonsmall Cell Lung Cancers)

  • 신세원;김성규;김명세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1권1호
    • /
    • pp.72-81
    • /
    • 1994
  • 1986년 5월 1일부터 1993년 4월 30일까지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확진된 후 수술이 불가능하거나 거부하여 4500cGy에서 6500cGy의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55명을 대상으로 임상적 특징, 치료실패양상, 추적조사기간, 예후인자에 따른 생존율의 비교, 치료후 1년 및 2년의 생존율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남자가 여자에 비해 17.3배 많았으며 50대와 60대가 가장 많았다. 2. T3가 30명(54.6%)으로 가장 많았으며 T2가 17명(30.9%)이었다. 3. 임파선전이가 없는 경우가 21명(38.2%)이었고 임파선 전이는 N2가 20명(36.4%)으로 가장 많았다. 4. 임상적 병기는 IIIA가 34명(61.8%)으로 가장 많았으며 IIIB는 13명(23.6%)이었다. 5. 병리조직학적 분포에서 편평세포암이 45명(81.8%)으로 가장 많았으며 선암은 5명(9.1%)이었다. 6. 발생부위는 좌상엽이 18명(32.7%)으로 가장 많았으며 우상엽은 13명(23.8%)이었다. 7. 편평세포암 45명중 중등도의 분화를 보인 것은 15명이었으며 분화가 불량한 경우도 10명이었다. 8. 선암 5명중 2명이 여자였으며 3명은 분화가 불량하였다. 9. 원발병소의 크기는 국소관해율에 영향을 주었으며 T4인 경우에는 원격전이에도 다소 영향을 주었다. 10. 지역 임파선의 침범정도는 국소 및 지역임파선재발에 영향을 주었으며 특히 N3인 경우에는 치료후 50%에서 원래병소부위에 재발을 보였다. 11. 국소및 지역임파선재발은 폐종양의 재성장이 가장 많았으며 상대정맥증후군 및 암성 늑막 삼출액, 쇄골상와 임파선 재발의 순이었다. 12. 원격전이는 골전이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이 간, 뇌의 순이었다. 13. 편평세포암에서 선암에 비교하여 평균생존기간이 약 3~4개월 길었으며 분화도에 따라 약 3개월정도 생존기간의 차이를 보였다. 14. 발생부위에 따른 생존기간은 중앙부의 기관지에 발생한 경우가 말초부위에 발생한 경우에 비해 2개월정도 길었다. 15. 원발종양의 크기에 따른 생존율은 1년에서 T1, T2가 높았으나 큰 차이가 없었으며 2년에서는 T1, T2가 T3, T4보다 2배이상 높았다. 16. 임파선 전이에 따른 생존율은 1년과 2년에서 NO, N1이 N2, N3에 비해 약 1.5배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원발병소의 크기가 큰 경우, 임파선전이가 있는 경우, 분화도가 낮은 경우, 선암인 경우에는 고선량의 방사선치료와 전신적인 항암제의 투여 및 수술의 병합을 적극적으로 검토할 필요성이 있으며 다분할 조사와 총조사선량의 증대 및 다분야 병합치료를 시도하므로 국소관해율의 증가와 생존율의 향상을 위한 더욱 개선된 폐암치료의 개발에 임상 각 분야 전문가들의 집약된 노력이 요구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