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observation

검색결과 1,251건 처리시간 0.024초

치과용 세라믹의 파단면분석(fractography)에 대한 문헌고찰 (Literature review on fractography of dental ceramics)

  • 송민규;차민상;고경호;허윤혁;박찬진;조리라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8권3호
    • /
    • pp.138-149
    • /
    • 2022
  • 치과용 세라믹의 파절실험 후 파절이 발생한 원인을 분석하면 세라믹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파절원인을 파악하기 위한 파단면분석은 주사전자현미경 등 영상기술의 발달로 점차 널리 적용되고 있는데 이를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는 실험조건 설정이 중요하다. 파절시편이 오염되지 않도록 보관하고 세척하며, 관찰을 위해 금속 전처리가 필요하다. 파절은 양상에 따라 주로 금속에서 관찰되는 보조개모양 파절, 열개, 분리파손 및 세라믹에서 관찰되는 피로파절과 조가비 모양 파절이 있다. 세라믹의 주된 파절원인인 피로파절을 실험실에서 재현하기 위해 느린 균열성장을 관찰할 수 있는 동적 하중이 필수적이며 하중조건과 하중횟수 등을 적절히 설정해야 한다. 세라믹의 파단면에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특징은 해클이며 다양한 해클의 형태를 잘 관찰하여 세라믹 파절의 원인과 과정을 분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파단면분석은 치과용 세라믹의 파절을 심층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므로 정확한 실험과정을 따르고 결과해석에 유의해야 한다.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다공성 PCL/PLGA 복합 폴리머 지지체를 이용한 흉선상피세포의 3차원 세포배양 (Three-Dimensional Culture of Thymic Epithelial Cells Using Porous PCL/PLGAComposite Polymeric Scaffolds Coated with Polydopamine)

  • 최승미;이도영;임예선;황선영;송원훈;정영훈;윤식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8호
    • /
    • pp.612-622
    • /
    • 2023
  • 생체 면역조직에서는 면역세포의 성장, 분화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면역조직 기질세포가 존재하며, 이들은 서로 연결된 3차원적인 그물구조를 형성하면서 그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 면역세포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다양한 면역반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생체환경을 모사한 면역세포의 배양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면역세포들이 상호작용할 수 있는 3차원적 면역조직 기질세포 뼈대의 구축이 매우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특히 면역반응에서 핵심적인 기능을 수행하는 T세포의 생존, 성장 및 분화에 있어서 필수적인 역할을 하는 흉선상피세포에 대한 3차원적 배양은 T세포의 연구에 필수적으로 요구되지만, 아직 이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 흉선상피세포는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PCL 및 PCL/PLGA 지지체에서 비코팅군에 비해 부착 및 성장이 촉진되었다. 또한 폴리도파민으로 코팅된 지지체에서 흉선상피세포를 배양하였을 때 2차원 배양군에 비해 흉선세포형성촉진인자의 유전자 발현이 더 증가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면역조직 기질세포의 3차원 배양 기술의 개발에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자가 중력 지압에 의한 내반슬 교정 효과: 후향적 관찰 연구 (Effect of Self-gravity Acupressure on Varus Knee Correction: Retrospective Observational Study)

  • 박성권;김성찬;홍금나;최민주
    • 한국자연치유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6
    • /
    • 2023
  • 배경: 자가 중력 지압 프로그램 참여 후 내반슬이 개선되는 사례가 개별적으로 확인되고 있으나 체계적인 관찰이 진행되지 못한 상태이다. 목적: 자가 중력 지압 프로그램을 실시 후 무릎 내측 각도의 변화를 후향적으로 관찰하여 자가 중력 지압 프로그램이 내반슬 교정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방법: 내반슬이 관찰되는 50명을 대상으로, 지압 도구 위에 누워서 75분간 지압 프로그램을 수행한 후 프로그램 실시 전후 무릎 내측 각도의 변화를 비교했다. 결과: 연구대상자들의 무릎 내측의 평균 각도는 지압프로그램 실시 후 좌측 7.29±3.85° (p < .000), 우측 7.08±3.86° (p < .000) 증가하여 연구 대상자의 내반슬이 유의하게 개선되는 것이 확인됐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자가 중력 지압 프로그램이 내반슬 교정에 활용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임상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자가 중력 지압 프로그램이 내반슬을 개선하는 효과에 대한 기전 및 임상적 효과를 최적화하는 추후 연구가 요구된다.

Orthodontic pain control following arch wire placement; a comparison between pre-emptive tenoxicam and chewing gum: a randomized clinical trial

  • Basam, Lakshman Chowdary;Singaraju, Gowri Sankar;Obili, Sobitha;Keerthipati, Thejasree;Basam, Ram Chowdary;Prasad, Mandava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2권2호
    • /
    • pp.107-116
    • /
    • 2022
  • Background: Pain during fixed orthodontic treatment can have a detrimental effect on patient treatment compliance. To overcome this, there is a definite need to establish the best pain-relieving methods suitable for orthodontic patients in terms of efficacy and us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 of chewing gum and pre-emptive tenoxicam on pain after initial archwire placement and to evaluate the pain perceptions of orthodontic patients in the two groups while performing various functions at specific time intervals. Methods: Forty-two patients were selected and randomly divided into two groups: group A (chewing gum) and group B (pre-emptive tenoxicam). Pain perception was documented by patients immediately; at 4 h; at bedtime on the day of archwire placement; the next morning; at 24 h; and at bedtime on the 2nd, 3rd, and 7th day after the initial archwire placement. Pain scores were noted during fitting of the posterior teeth, biting, and chewing using a visual analog scale. The data obtained were subjected to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Group A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ain until the next morning while fitting the posterior teeth, biting, and chewing [36.2, 52.0, 33.4, respectively]], followed by a gradual decrease by the 7th day. Group B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pain at bedtime on biting, with a peak value of 47.5. Pain on chewing, fitting posterior teeth, peaked the morning of the next day (100.0, 45.0). The Freidman tes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a p-value of < 0.01. Higher pain scores were observed while chewing and biting compared with that while fitting the posterior teeth in both groups. The overall comparison of pain control between the two group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P > 0.05]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s: Chewing gum was not inferior to pre-emptive tenoxicam. Thus, chewing gum is a non-pharmacological alternative to analgesics for orthodontic pain control that eliminates the chance of adverse reactions and can be used in the absence of adult observation.

Efficacy and safety of losartan in childhood immunoglobulin A nephropathy: a prospective multicenter study

  • Hyesun Hyun;Yo Han Ahn;Eujin Park;Hyun Jin Choi;Kyoung Hee Han;Jung Won Lee;Su Young Kim;Eun Mi Yang;Jin Soon Suh;Jae Il Shin;Min Hyun Cho;Ja Wook Koo;Kee Hyuck Kim;Hye Won Park;Il Soo Ha;Hae Il Cheong;Hee Gyung Kang;Seong Heon Kim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27권2호
    • /
    • pp.97-104
    • /
    • 2023
  • Purpose: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and angiotensin II receptor blockers (ARBs) are frequently employed to counteract the detrimental effects of proteinuria on glomerular diseases. However, the effects of ARBs remain poorly examined in pediatric patients with immunoglobulin A (IgA) nephropathy. Herein, we evaluated the efficacy and safety of losartan, an ARB, in pediatric IgA nephropathy with proteinuria. Methods: This prospective, single-arm, multicenter study included children with IgA nephropathy exhibiting proteinuria. Changes in proteinuria, blood pressure, and kidney function were prospectively evaluated before and 4 and 24 weeks after losartan administration. The primary endpoint was the difference in proteinuria between baseline and 24 weeks. Results: In total, 29 patients were enrolled and received losartan treatment. The full analysis set included 28 patients who received losartan at least once and had pre- and post-urinary protein to creatinine ratio measurements (n=28). The per-protocol analysis group included 22 patients who completed all scheduled visits without any serious violations during the study period. In both groups, the mean log (urine protein to creatinine ratio)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at 6 months. After 24 weeks, the urinary protein to creatinine ratio decreased by more than 50% in approximately 40% of the patients. The glomerular filtration rate was not significantly altered during the observation period. Conclusions: Losartan decreased proteinuria without decreasing kidney function in patients with IgA nephropathy over 24 weeks. Losartan could be safely employed to reduce proteinuria in this patient population. ClinicalTrials.gov trial registration (NCT0223277)

어린이 제1대구치 근심면 초기 우식의 유병률과 최소 침습적 접근 (THE PREVALENCE OF WHITE SPOT LESIONS ON THE MESIAL SURFACES OF THE 1ST MOLARS IN CHILDREN AND MINIMAL INVASIVE APPROACH - A PILOT STUDY)

  • 안명기;이금랑;정태성;김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102-107
    • /
    • 2009
  • 소아치과 임상에서는 제2유구치의 탈락 직후에 제1대구치 근심면을 직접 관찰하고 여기에 발생한 백반양 초기 우식병소를 목격할 기회가 많다. 유구치와는 달리, 잔존 기대수명이 매우 긴 제1대구치의 경우에는 근심면 초기 우식병소에 대하여 와동형성에 이은 전통적인 수복치료를 하거나 아무런 조치 없이 방관하는 것은 부적절할 것으로 사료되어, 본 연구는 이 시기 어린이들에 있어서 제1대구치 근심면 초기 우식의 유병률을 조사하고 이에 적합한 조치를 모색할 목적으로 시도되었다. 본 연구는 6개월간 부산대학교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한 어린이 중 제2유구치를 발거하여 제1대구치의 근심면을 직접 관찰할 수 있었던 어린이들의 124개 제1대구치를 대상으로, 근심면 백반양 초기 우식병소의 유병률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그 진행을 차단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평활면 초기 우식병소를 가진 치아 시편에 복합레진 접착제만 도포하거나 접착제에 이어 전색제를 도포하고 온도순환과 염색을 시행한 후, 단면을 통하여 미세누출 여부를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124개 관찰대상 치아 중 제1대구치 근심면이 건전한 경우는 34%에 불과하였으며, 백반양 초기 우식병소를 가진 것은 53%, 이미 우식와동이 확인된 것은 13%였다. 2. 접착제나 접착제와 전색제를 도포한 시료의 단면 관찰에서는 두군 모두에서 20% 정도의 미세 누출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어린이 제1대구치 근심면의 초기 우식은 매우 높은 유병률을 보여 이에 대한 보다 적극적인 대처와 효율적인 비침습적 접근방법이 모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근치적 방사선치료에 완전반응을 보인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 양상 및 그 의의 (Significance of the Failure Patterns in Cervical Lymph Nodes Achieving a Complete Response to Radical Radiotherapy)

  • 남지호;김원택;기용간;김동현;최영진;조규섭;이진춘;이병주;김동원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8권1호
    • /
    • pp.9-15
    • /
    • 2010
  • 목 적: 진행된 두경부암 환자들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완전반응을 보인 경부 림프절 병변에서의 재발 빈도와 양상을 확인하고, 이의 임상적 의미를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87년부터 2008년까지 원발성 두경부 상피세포암종 및 경부 림프절 종대 병변에 대해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환자들의 임상자료를 분석하였다. 이들 중 경부 림프절 병변에 충분한 방사선조사를 받은 후 완전 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을 최종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주기적 영상자료를 바탕으로 경부 림프절에서의 재발 빈도와 양상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재발률과 관련된 예후인자들도 분석하였다. 결 과: 방사선치료 후 경부 림프절에서 완전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은 73명이었다. 이들의 추적관찰 기간 동안의 재발률은 19.2%였다. 원발 병변에서도 완전반응을 보인 55명에서의 경부 재발률은 5.5%였다. 경부 재발의 80% 이상이 3년 이내에 확인되었으며, 47%에서 원발 병변의 재발이나 진행과 관련이 있었다. 치료 후 원발 병변의 반응 정도와 방사선 모의치료 방법이 경부 림프절 재발률과 관련 있었다. 결 론: 방사선치료 후 원발 병변 및 경부 림프절 병변에서 완전반응으로 평가된 환자들에서의 경부 림프절 재발률은 약 5%로, 이들에서는 계획된 림프절 절제술 없이 정기적인 추적관찰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요막관 기형의 임상적 고찰 (A Clinical Observation of Children with Urachal Anomalies)

  • 이상배;정창현;김강성;류민혁;이동진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9권2호
    • /
    • pp.213-221
    • /
    • 2005
  • 목 적 요막관 기형은 증상이 없는 경우 발견하기 힘든 드문 질환으로 유형에 따라 다양한 임상 양상을 보이며 적절한 진단과 치료가 지연되는 경우는 농양이나 복막염, 드물게는 결석 형성과 악성 종양으로 이행될 수 있다. 그러나 균일한 지침의 부족으로 진단과 치료에 어려움이 따르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저자들은 울산 동강병원에서 치료한 14례의 환자를 분석하여 이 질환의 진단과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6년 1월부터 2005년 6월까지 울산 동강병원에서 치료한 20세 미만의 환자 14례를 대상으로 이들의 의무 기록을 검토하여 성별 및 연령별 분포, 기형의 유형, 임상 증상, 진단 방법, 동반 기형, 치료 방법, 합병증 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 과 : 14명의 환아 중 남아와 여아는 각각 7명씩이었으며 평균연령은 3.8세였다. 요막관 낭종이 6례로 가장 많았으며 요막관 개존이 4례, 요막관 게실과 요막관동이 각각 2례씩 조사되었다. 동반 질환으로는 수신증이 4례로 가장 많았으며 서혜부 탈장 1례와 방광-요관 역류 1례가 관찰되었다. 진단을 위한 일차 검사로 고해상도 초음파 검사가 13례, 전산화 단층촬영이 1례에서 시행되었고 모든 환아에서 일차 검사로 기형의 유형이 확인되었다. 모두 9례에서 외과적 절제술이 시행되었으나 신생아기에 발견된 6례 중 5례는 추적 관찰을 통해 자연 소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 론 : 저자들은 기형에 대한 일차 검사로 고해상도 초음파 검사를 통해 용이하게 진단할 수 있었으나 정확한 유용성을 알기 위해서는 추후 다른 진단 방법과의 비교 조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치료 전 동반 가능한 비뇨기계 및 위장관계 질환에 대한 정확한 평가가 필요하며 신생아기에 진단된 요막관 기형인 경우는 외과적 절제보다는 면밀한 추적 관찰이 우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간호의 질 평가도구 개발에 관한 일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 유지수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1-21
    • /
    • 1977
  • Many in nursing look back on Nursing Research history and proudly point to the fact that emphasis in nursing research has changed from studying the nurse to studying nursing practice. In recent years, much emphasis has been placed on seeking a method of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spite of these attempts, however, an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that is actually applicable in the clinical area has not been found.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o develop the instrument to be used in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provided in the Neuro - Surgery Constant Care Unit of Severance Hospital 2) To evaluate the quality of nursing care in the clinical area. 3) To provide the necessary information for improvement of quality of nursing care. The instrument for evaluating the quality of nursing care, developed by the investigator, was composed of 7 nursing goals and divided into 65 standards of nursing performance. The 7 nursing goal are as follows : 1) Maintenance of airway 2) Maintenance of fluid at electrolyte balance 3) Maintenance of elimination 4) Personal hygiene 5) Optimum activity 6) Prevention of accidents 7) Emotional care The study population defined was composed of all the case (51) who were admitted in the Neuro- Surgery Constant Care Unit of Severance Hospital from May 7-13, 1976. The observation method was used and the data was subjected to the %, X²-test, T-test, F-test and Correlation. The results of tile study were as follows : 1. Levels of nursing performance regarding nursing goals. Seven different nursing care indices were constructed in terms of nursing goals. The index scores were grouped arbitrarily into ,j categories such as "excellent", "good", "moderate", "incomplete", and "poor"based upon the investigator′s personal judgement. a. The nursing index of maintaining airway showed that 78%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and 22%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good" category. b. The nursing index of maintaining fluid & electrolyte balance showed that 95%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and 5 %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good" category. c. The nursing index of maintaining elimination showed that 100%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category. d. The nursing index of personal hygiene revealed that 49%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and 51%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good" category. e. The nursing index of optimum activity showed that 63%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and 32%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ile "good" and 5% of patients fell within the "moderate" category. f. The nursing index of prevention of accidents showed that 100% of the patients foil within the "excellent" category. g. The nursing index of emotional cart revealed that 27%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excellent", 24 %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ile "good", 29 % of the patients fell within the "incomplete" category. From these findings it is disclosed that the quality of nursing care provided in the Neuro- Surgery Constant Care Unit of Severance Hospital was excellent. h.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nursing index of physical care and emotional care. (t=8.73, D. F. =100. p<0.01) It is revealed that more physical care then emotional care was carried out by nurses. 2. Levels of nursing performance regarding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tients.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statistically with the nursing indices of nursing goals according to the sex (t=0.084, D. F. =12, p>0.05). Age (F=0.1251, D. F. : 3.18. p 〉0.05), absence or presence of operating experiences (t=0.6032, D. F. =12, p〉0.05, levels of consciousness (F=0.31, D. F. :3. 18, p >0.05) 3.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consciousness and the nursing index of each nursing goal.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consciousness and the nursing index of maintaining airway (r=-0. 5449, p<0.01) and personal hygiene (r= -0.4075, p<0.01)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consciousness and the nursing index of optimum activity (r=0.3936, p <0.01) and emotional care (r=0.7819, p〈0.01). There was slight correlation between the levels of consciousness and the nursing index of maintaining fluid & electrolyte balance (r=-0.3418, 0.010.05) and preventing accidents (r=0.1441, p>0.05.

  • PDF

사전검사를 통한 고립성 폐결절 환자에서의 악성 확률 타당성에 대한 연구 (A Study to Validate the Pretest Probability of Malignancy in Solitary Pulmonary Nodule)

  • 장주현;박성훈;최정희;이창률;황용일;신태림;박용범;이재영;장승훈;김철홍;박상면;김동규;이명구;현인규;정기석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7권2호
    • /
    • pp.105-112
    • /
    • 2009
  • Background: Solitary pulmonary nodules (SPN) are encountered incidentally in 0.2% of patients who undergo chest X-ray or chest CT. Although SPN has malignant potential, it cannot be treated surgically by biopsy in all patients. The first stage is to determine if patients with SPN require periodic observation and biopsy or resection. An important early step in the management of patients with SPN is to estimate the clinical pretest probability of a malignancy. In every patient with SPN, it is recommended that clinicians estimate the pretest probability of a malignancy either qualitatively using clinical judgment or quantitatively using a validated model. This study examined whether Bayesian analysis o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s more predictive of the probability of a malignancy in SPN. Methods: From January 2005 to December 2008, this study enrolled 63 participants with SPN at the Kangnam Sacred Hospital. The accuracy of Bayesian analysis and Bayesian analysis with a FDG-PET scan,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mpared retrospectively. The accurate probability of a malignancy in a patient was compared by taking the chest CT and pathology of SPN patients with <30 mm at CXR incidentally. Results: From those participated in study, 27 people (42.9%) were classified as having a malignancy, and 36 people were benign. The result of the malignant estimation by Bayesian analysis was 0.779 (95% confidence interval [CI], 0.657 to 0.874). Using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was 0.684 (95% CI, 0.555 to 0.796). This suggests that Bayesian analysis provides a more accurate examination tha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Conclusion: Bayesian analysis is better than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predicting the probability of a malignancy in solitary pulmonary nodules but the differenc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