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laboratory science

검색결과 2,462건 처리시간 0.025초

생물학적 정보를 활용한 병원에서 존재하는 공기중 부유 세균에 대한 이산화염소의 유용성 (Usefulness of Chlorine Dioxide to Airborne Bacteria at a Hospital Using Biological Information)

  • 정석률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6권2호
    • /
    • pp.19-24
    • /
    • 2020
  • 본 연구에서, 세균의 생물학적 정보와 이산화염소 가스의 생화학적 정보들을 활용하여, 그람 양성 세균인 Alloiococcus otitis, Erysipelothrix rhusiopathiae, Staphylococcus caprae, Staphylococcus lentus 및 그람 음성 세균인 Acinetobacter baumannii complex, Aeromonas salmonicida, Brucella melitensis, Oligella ureolytica에 대한 이산화염소가스의 성장 억제 효과를 분석하였다. 전체적으로, 이산화염소 가스는 10 CFU 미만으로 세균의 성장을 약 99 % 억제하였다. 하지만, 그람 양성인 Alloiococcus otitis 및 그람 음성인 Aeromonas salmonicida는 약 50 CFU 이상인 것으로 밝혀졌다. 여러 세균과의 실험 결과를 비교할 때, 이산화염소 가스의 농도는 세균 억제에 대해 10 ppm 내지 400 ppm 일 것이라고 제안한다. 이 연구의 결과는 이산화염소 가스의 임상적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기본 데이터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임상에 있는 근무자가 병원에서 감염을 일으키는 미생물의 존재를 인식하고 예방하는 사전 지식에 도움이 되는 경우, 융합분야 중, 임상에서처럼 환자 치료와 같은 활동에 도움이 될 것이다. 향후에, 이산화염소 가스에 대해 억제되는 미생물들의 정보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환자에게 감염된 미생물들을 신속히 억제하는데 기초가되는 연구결과가 될 것으로 사료된다.

병원성 세균에 대한 마늘추출물의 항균효과 (Antimicrobial Effect of Garlic Extract against Pathogenic Bacteria)

  • 문원희;육근돌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10호
    • /
    • pp.477-484
    • /
    • 2014
  • 본 연구는 마늘추출물의 병원성 세균에 대한 항균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된 실험연구이다. 항균효과의 대조 항생제로서 Ampicillin $10{\mu}g$(BBL)을 사용하였다. 실험은 2013년 11월과 2014년 1월로 두 차례에 걸쳐 진행하였다. Kirby-Bauer의 disc diffusion method에 따라 감수성을 측정하였고 CLSI에서 제시한 판독기준에 따라 감수성 여부를 판독하였다. 연구결과, 생마늘은 추출법과 관계없이 Ampicillin $10{\mu}g$에 비해 항균효과가 높게 나타났다. 반면 흑마늘은 제조법과 추출방법과 관계없이 4종의 균주에서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CLSI의 감수성 판독기준에 따르면 S. aureus와 E. coli에 Ampicillin $10{\mu}g$은 강력한 항균효과를 발현한 반면, 모든 균주들이 흑마늘 추출물에는 저항성을 발현하였다. 다만, 15일의 자연숙성발효한 흑마늘의 에탄올 추출물은 S. aureus와 E. coli에서 성장저지환이 각각 8 mm와 7 mm로 나타나 항균효과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하겠다. 향후 마늘의 천연식품보존제 개발 가능성을 검증하기 위해서 흑마늘의 다양한 추출법을 활용한 항균효과에 대한 반복 연구를 제언한다.

The role of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C677T polymorphism on the peripheral blood natural killer cell proportion in women with unexplained recurrent miscarriages

  • Park, Chan-Woo;Han, Ae-Ra;Kim, Joanne-Kwak;Park, So-Yeon;Han, Jung-Yeol;Koong, Mi-Kyoung;Song, In-Ok;Yang, Kwang-Mo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8권3호
    • /
    • pp.168-173
    • /
    • 2011
  • Objective: To examine the association between methylenetetrahydrofolate reductase (MTHFR) C677T polymorphism and hyperhomocysteinemia in women with unexplained recurrent miscarriages (RM) an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MTHFR genotype variants and alloimmune activation, proportion of peripheral blood natural killer (pbNK) cells. Methods: A total of 39 patients with a history of two or more unexplained miscarriages were recruited to this study. The controls were women who had a live birth without a history of RM (n=50). The proportion of pbNK cells was measured by flow cytometry. Plasma homocysteine levels and the incidence of the MTHFR variant of the RM and control groups were compared. The proportion of pbNK cells was compared to the MTHFR variants in the RM group. Results: No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mean plasma homocysteine levels ($7.6{\pm}1.5{\mu}mol$/L vs. $7.1{\pm}2.1{\mu}mol$/L) or incidence of the MTHFR genotype variant (CC, 35% vs. 33%; CT, 40% vs. 53%; and TT, 25% vs. 14%). In the RM group, individuals with the TT variant ($7.7{\pm}1.1{\mu}mol$/L) had higher homocysteine levels than those with the CC and CT variants ($7.4{\pm}1.9{\mu}mol$/L and $7.4{\pm}1.2{\mu}mol$/L) and those with the CT variant ($19.2{\pm}8.1%$) had a higher proportion of CD3-/CD56+ pbNK cells than those with the CC and TT variants ($17.7{\pm}6.6%$ and $17.9{\pm}7.0%$), but the results of both comparisons were statistically insignificant. Conclusion: These preliminary results show no difference in plasma homocysteine levels between the RM and control groups or among MTHFR genotype variants in the RM group, which may suggest that the plasma homocysteine level is difficult to use as a predictive marker of RM in the Korean population. A study of a larger number of patients is needed.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ffeine on Nerve Conduction Velocity)

  • 강윤정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195-199
    • /
    • 2020
  •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카페인의 종류는 커피를 사용하였다. 커피는 가장 쉽게 접할 수 있고, 많은 현대인들이 좋아하는 기호 식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커피안에 있는 특수한 성분인 카페인은 카페인은 알칼로이드계 메틸화 화합물의 하나로서 이뇨 촉진, 혈관 확장, 중추신경흥분, 골격근 강화, 기관지 확장 등의 작용이 있다. 카페인 섭취가 신경속도를 향상시켜 반응시간의 감소를 실험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신경계를 자극하는 카페인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조군 및 실험군 개별 집단 내에서의 사전, 사후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 수치를 비교한 결과, 대조군의 경우 두 곳의 측정 구간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군은 팔꿈치 위 액와 구간에서의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가 카페인 섭취 후 유의미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카페인을 섭취함으로 인해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가 증가하였고, 이것은 일시적으로 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를 증가시킴으로써 운동능력향상, 근력향상, 신경기능향상 등에 대해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적정량의 카페인섭취는 신경전도속도신경전도속도(nerve conduction velocity. NCV)향상에 대해 도움을 줌으로써 카페인이 말초신경계에 영향력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근기능장애, 신경기능장애 환자의 치료와 진단법 개발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하는 바이다.

일부지역 성인 환자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구강건강관리행태가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lf-Rated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Behavior on Dental Fear in Some Areas Adult Patients)

  • 박충무;윤현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12호
    • /
    • pp.401-409
    • /
    • 2018
  •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5월까지 일부지역치과에 내원하는 성인들을 대상으로 구강건강관리행태와 주관적 건강 인식수준을 파악하고 치과공포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치과공포감을 낮추기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치과공포에서 회피요인은 여자, 40대, 고졸이하, 주부, 300-399만원, 생리적 반응요인은 여자, 40대, 주부, 200-299점, 자극유발유인 여자, 30대, 주부, 전체공포수준은 30대, 주부, 400-499만원에서 높았다. 구강건강관리행태에 따른 공포감에서 치료회피요인은 구강검진을 하지 않고, 칫솔질방법이 틀린 경우, 생리적 반응요인과 자극반응요인은 검진을 하지 않고, 스케일링 경험이 없는 경우, 전체공포감은 검진을 하지 않고, 칫솔교환시기가 4개월 이상인 경우에서 치과공포감이 높았다. 치과공포에 영향을 미치는 주관적 건강인식수준, 주관적 구강건강인식수준, 성별, 나이, 정기검진유무, 구강보건교육 경험유무가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치과공포감을 줄이기 위해서는 주관적 인식을 개선하고 정기검진과 구강보건교육을 위한 시스템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알코올성 간질환에 대한 한의학 연구 경향 분석 : 국내논문을 중심으로 (A Review of Domestic Research on Traditional Korean Medicine for Alcoholic Liver Disease)

  • 조나경;이유리;김경순;최홍식;김승모;백영두;문병권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458-477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rend in the research on alcoholic liver disease (ALD) using Korean traditional medicine. Methods: This review was conducted using six electronic databases (NDSL, KMBASE, Koreantk, KISS, KISTI, and KoreaMed) with no restrictions in year. The search terms were "alcoholic liver disease", "alcoholic fatty liver", "alcoholic hepatitis", "alcoholic cirrhosis",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traditional medicine". The searched studi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type of research. Results: After screening, 37 studies were selected among 552. The types of studies were as follows: 8 in vivo studies, 17 case reports, 7 case series, 1 assessment scale study, 1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3 research reviews. The in vivo studies reported the efficacy and its mechanism in the animal phase of single or complex herbal medicine. In the clinical research, interventions such as herbal medicine and acupuncture were most commonly used for ALD treatment. Conclusions: We analyzed the trends in ALD treatment using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hrough this review. The results showed that Korean traditional medicine could be an effective method for ALD treatment. Conducting related in-depth studies, such as well-designed randomized controlled trial based on the results of experimental research, is necessary.

유방암 방사선 치료 환자의 심리의 체계적 분석 (Psychological Systematic Consideration of Breast Cancer Radiotherapy)

  • 양은주;김영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629-635
    • /
    • 2019
  • 유방암 환자의 사회 심리적 적응 영향 요인을 수술, 방사선, 항암치료 후의 삶의 질 변화를 체계적 메타분석한 결과 방사선 치료시 삶의 질은 치료직후에 가장 낮았고 종료 후에는 점점 상승하고 있지만 종료 6개월 후에도 치료 전의 삶의 질 만큼 회복 되지 않았다. 우울증과 부작용은 치료 직후 가장 높았으며 치료 종료 후에는 다소 감소하였다. 수술요법의 경우 학력이 높을수록 심리 사회적 적응이 높았으며 검진과 보험가입이 있을 경우 심리 사회적 적응이 좋았다. 항암 화학요법의 경우 인지기능에 영향을 받아 기억력, 학습, 사고 등의 단계에서 장해를 받고 있으며 주관적 인지장애와 우울은 연관성이 있어서, 항암요법환자의 우울증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다. 본 체계적 메타연구 결과 유방암환자의 3가지 치료법(수술요법, 방사선요법, 항암요법)을 시행 할 때 간호분야와 방사선 치료분야는 이러한 환자의 사회심리적 적응, 우울, 불안, 삶의 질의 경향을 인지하여 전인적 접근을 할 수 있도록 중재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Jurkat T 림프구와 U937 단핵구에서 중성지방 처리 시 iNOS를 통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mRNA 발현 증가 (Triglycerides increase mRNA Expression of Pro-inflammatory Cytokines Via the iNOS in Jurkat T lymphocyte and U937 Monocyte Cell Lines)

  • 장정현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3권1호
    • /
    • pp.133-140
    • /
    • 2019
  • 중성지방(Triglyceride, TG)는 죽상동맥경화증과 같은 혈관의 만성 염증성 병변을 유발하는 인자 중 하나이다. 종양괴사인자-알파 ($TNF-{\alpha}$), 인터루킨-1 베터 ($IL-1{\beta}$)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은 염증 질환의 주요 요인으로 염증 부위에 T 림프구, 단핵구등의 면역 세포의 침윤을 유도하거나 세포 및 조직 괴사를 일으킴으로써 질병을 더욱 악화시킨다. 본 연구에서는 혈관 염증에 관여하는 Jurkat T 림프구와 U937 단핵구에 TG를 처리하였을 때 $TNF-{\alpha}$$IL-1{\beta}$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했다. Jurkat T 세포에서 TG에 의해 $TNF-{\alpha}$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고, U937 단핵구에서는 TG에 의해 $TNF-{\alpha}$$IL-1{\beta}$ 모두 mRNA 발현이 증가하였다. 또한 유도성 산화질소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가 TG에 의한 $TNF-{\alpha}$$IL-1{\beta}$의 발현 증가에 관여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iNOS 억제제인 W1400을 세포에 전처리하여 iNOS의 활성을 차단하였다. 그 결과, W1400을 전처리한 세포에서는 TG에 의한 $TNF-{\alpha}$$IL-1{\beta}$ mRNA 양이 대조군과 유사하게 낮은 수준으로 관찰되었다. 이는 혈관 내 TG의 증가가 T 림프구와 단핵구를 자극하여 iNOS 신호를 거쳐 염증성 사이토카인을 분비시키고 혈관염증질환을 발생하는데 관여하는 것을 확인시켜주었다. 결론적으로, 중성지방이 염증성 병변을 악화시키는데 있어 iNOS의 활성이 사이토카인 분비 등에 작용하며 병변을 더욱 악화시키는데 기여할 수 있다. 반면, iNOS 발현을 조절하여 고지혈증 환자의 치료에 유효한 표적 물질로 이용될 가능성이 있다고 사료된다.

방사선촬영실 감염 방지를 위한 에니오설프의 소독효율 연구 (Research on ANIOS Disinfection Efficiency to Prevent Infection in Radiography Room)

  • 정우찬;안기송;양은주;김영재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5-61
    • /
    • 2021
  • 방사선 촬영실은 감염원을 지닌 환자와 간접적인 접촉이 빈번하게 일어나 2차 감염에 노출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본 연구는 흉부 X선 촬영을 대상으로 방사선사와 환자가 빈번하게 접촉하는 부위를 4급 암모늄세정제 중 하나인 에니오설프(ANIOS, ANIOSURF Premium NPC)를 이용하여 소독 전, 후의 미생물을 채z취한 후 비교하였다. 2020년 9월 1일부터 9월 7일까지 대구광역시 P병원을 대상으로 X-ray tube handle, Chin rsgion, Chest region, Palm region을 수송배지(TransystemTM, Copan Diagnostics Inc., Murrieta, CA, USA) 내의 멸균면봉을 사용하여 10×10㎠ 크기로 채취한 후 비색법을 통해 소독 전, 후 동정결과를 획득하였다. 그 결과 X-ray tube handle의 경우 Proteus mirabilis, Staphylococcus epidermidis, Bacillus spp., Candida spp이 검출되었고, Chin region의 경우 Proteus mirabilis, Enterococcu faecium, Pseudomonas aeruginosa, NTM이 검출되었고, Chest region의 경우 Proteus mirabilis, Enterococcu faecium, Pseudomonas aeruginosa이 검출되었고, Palm region의 경우 NTM, Candida spp.이 검출되었으며 공통적으로 103 CFU(Colony Forming Unit) 이상이 측정되었다. 소독 후 Chest region, Palm region에서는 미생물이 검출되지 않았고 X-ray tube handle에서만 Bacillus spp.이 검출되었으며 102 CFU 이상이 측정되었다. 소독 전 검출된 미생물은 대부분 기회감염균의 일종으로 소독 후 이러한 미생물의 수가 줄어들거나 제거되는 것을 통해 에니오설프(0.25%)는 에탄올(ethanol, 70~90%)와 이소프로필 알코올(Isopropyl alcohol, 70~90%)과 비교하였을 때 우수한 경제성과 유사한 소독효율을 보였다. 하지만 소독 후 Bacillus spp.가 검출됨에 따라 아포균에 대한 심화된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는 방사선 검사실 내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재고하였으며 병원 내 2차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자료로 사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Volumetric analysis of mucous retention cysts in the maxillary sinu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 Hung, Kuofeng;Hui, Liuling;Yeung, Andy Wai Kan;Wu, Yiqun;Hsung, Richard Tai-Chiu;Bornstein, Michael M.
    • Imaging Science in Dentistry
    • /
    • 제51권2호
    • /
    • pp.117-127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volumetric characteristics of mucous retention cysts(MRCs) in the maxillary sinus and to analyze potential associations of MRCs with dentoalveolar pathologies. Materials and Methods: Cone-beam computed tomography (CBCT) scans exhibiting bilateral maxillary sinuses that were acquired from January 2016 to February 2019 were initially screened. A total of 227 scans(454 sinuses) that fulfilled the inclusion criteria were included. The presence, location, and volu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diagnosed MRCs were evaluated on CBCT images using the 3D-Slicer software platform. The presence of MRCs was correlated with potential influencing factors including age, sex, and dentoalveolar pathology. For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factors with a potential impact on the volume, surface, and diameter were analyzed. Results: An MRC was present in 130 (28.6%) of the 454 sinuses. Most MRCs were located on the sinus walls and floor. The mean MRC volume, surface, and diameter were 551.21±1368.04 mm3, 228.09±437.56 mm2, and 9.63±5.40 mm, respectively. Significantly more sinuses with associated endodontically treated teeth/periapical lesions were diagnosed with an MRC located on the sinus floor. For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endodontic status exhibited a significant association with increased volume, surface, and diameter. Conclusion: Periapical lesions might be a contributing factor associated with the presence and volume of MRCs located on the sinus floor. The 3D-Slicer software platform was found to be a useful tool for clinicians to analyze the size of MRCs before surgical interventions such as sinus floor elevation procedur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