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dental hygienist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18초

치과위생사의 치과 물리치료 업무 현황 및 교육 요구도 (Status of dental physical therapy work and hygienists' educational needs)

  • Kim, Myoung-Hee;Jeong, Hyun-Woong;Hwang, Young-Sun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315-321
    • /
    • 2022
  • 연구목적: TMJ 물리 치료를 제공하는 치과병의원의 수가 증가하고 있지만 치위생학 교육과정에서 구강내과학에 수반되는 치과 물리치료의 교육내용은 매우 제한적인 상황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치과위생사의 치과 물리치료 업무 현황을 살펴보고 치위생학에서의 관련 교육의 중요도 및 수요도를 조사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 온라인 플랫폼을 통한 임상에 종사하고 있는 총 140명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 치과 물리치료 업무 경험 및 중요성, 관련 업무에 관한 치위생학 교육 수요도 등에 대한 질문으로 구성되었다. 연구결과: 연구 참여자의 절반에 가까운 49.3%가 치과 물리 치료 업무수행 경험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들의 근무 영역은 주로 TMJ 자극치료 인증 클리닉이었다. 응답자 140명 중 88.6%가 '물리치료 작업이 중요하거나 중요해질 것'이라고 인식하였고, 84.3%가 '치위생사에게 물리치료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치과 물리치료의 경험이 없는(50.7%) 임상 치과위생사들에서도 치과에서 물리치료 업무의 중요성의 인지 및 관련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결론: 치과위생사가 보다 실질적인 임상업무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치위생 교육과정에서의 치과물리치료 교육이 필요함을 제안한다.

일부 기혼 치과위생사의 직장-가정갈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the conflict between work and family in some married dental hygienists)

  • 황윤숙;김수화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95-310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job satisfaction, job stress, turnover intention, work-family and family-work relationship of married dental hygienists with young children. Methods: 242 copie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Statistical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of Stata 13.0 (StataCorp., College Station, TX, USA). Results: Turnover intention was higher when the child age was lower and the child support and parenting stress were higher. But when working hours were adjustable, the turnover intention was low. Job stress was higher as the position, monthly income and night working hours were higher. Job satisfaction was higher as night work was fewer, work time was adjustable and family life satisfaction was higher. When parenting stress was high, job satisfaction was low and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were high. Work-family relationships were more affected by lower monthly income and parents-first child caregivers. Workplace factors affecting the family life were monthly income, caregiver and number of night work. The higher the parenting stress, the greater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family and work life. Age, family life, parenting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were identified to affect family-work relationship. Parenting stress and job stress were identified to be influential on work-family relationship. Conclusions: Married dental hygienists are leaving the clinical setting due to their marriage and childbirth, or showing the effects on family-work and work-family relationships due to parenting. Efforts should be made to efficiently utilize professional manpower and to improve the psychological and physical working environment surrounding the married dental hygienists.

일부 치위생과 학생들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수행능력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PR) in dental hygiene students)

  • 이승훈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601-607
    • /
    • 2016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CPR) knowledge and performance in the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ju.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106 dental hygiene students in Gyeongju.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CPR knowledge and performance, and was collected from April 4 to 12.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version 18.0 by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The average age of the subjects was 20.6 years and 97.2% were female students. The students did not experience the emergency situation(96.2%). Approximately half of the students received CPR education(51.9%), but they did not have the CPR certificate(94.3%). There was a significantly statistical correlation between the CPR knowledge and performance(p<0.01). The CPR knowledge was proportional to the CPR performance skill. The CPR knowledge (p<0.05) and performance (p<0.01)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 by the grade of the students. The CPR knowledge of the senior student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freshmen and sophomore. The CPR knowledge (p<0.01) and performance (p<0.01) showed a statistical difference by the education experience. The CPR education provided the students with CPR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clusions: In order to promote and maintain CPR knowledge and performance on dental hygiene student, it should be reinforced the more systematic training program which can be repeatedly evaluated and retrained than the present. In addition, a follow-up study will also be needed for the student and clinical dental hygienist.

국내 치위생(학)과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운영현황 분석 (Study on Current Curriculum Analysis of Clinical Dental Hygiene for Dental Hygiene Students in Korea)

  • 최용금;한양금;배수명;김진;김혜진;안세연;임근옥;임희정;장선옥;장윤정;정진아;전현선;박지은;이효진;신보미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523-532
    • /
    • 2017
  • 국내 치위생(학)과를 대상으로 하여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 운영 현황을 조사하고, 심층 분석한 결과 첫째, 임상치위생학 영역의 교과목 명칭은 전체 96개 과목으로 확인되었으며, 학교별로 매우 다양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전체 교과목 중 60.5%가 임상치위생학 또는 임상치위생학 및 실습이라는 명칭으로 사용하고 있었다. 둘째, 임상치위생학 교과목 운영은 졸업시점까지 평균 21.1학점을 이수하고, 15주차 수업으로 평균 471.3시간 수업을 운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수 1인당 학생 수는 21.4명을 담당하였으며, 3년제에 비해 4년제에서 더 많은 학점과 시간을 배정하여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임상치위생학의 교육주제와 내용에서는 감염관리, 치위생관리를 위한 기초 개념의 이해, 치위생사정, 중재 및 평가, 증례연구, 치주기구조작법 등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치위생관리과정의 개념, 치위생사정, 치아우식증, 치주질환 위험도 평가, 특별환자 관리, 전신질환자의 구강건강관리 등에 대한 수업운영내용은 3, 4년제 학제 간 차이가 컸으며, 사정과 수행 중심의 교육내용으로 운영되며, 학제 내에서도 교육운영내용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대상자 실습은 대상자 1인당 평균 2시간 소요되었고, 평균 1.9회 내원하도록 하여 실습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졸업시점까지 필수적으로 진행하는 대상자 실습은 3년제의 경우 평균 총 19개의 케이스를, 4년제의 경우 평균 26.6개 케이스를 실습하고 있었고, 가장 적게는 15개의, 많게는 35개 케이스를 실습하였고, 학생 1인당 대상자 실습에 참여하는 시간은 3년제의 경우 평균 38.0시간, 4년제에서는 평균 53.1시간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를 대상으로 조사한 연구라 한계점은 있지만 임상치위생학 교육과정의 전체적인 흐름과 운영방식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학제를 떠나 임상치위생학의 교육과정 표준화를 위해서는 교과목 명칭, 졸업생 수준에서 치과위생사로서 달성해야 할 역량에 기반한 최소한의 수업운영내용, 이론과 실습시간, 학생수 대비 지도 교수자의 수 등에 대한 치위생계 내 합의 또는 가이드라인이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과정은 공적인 기관을 통해서 제도적 마련에 근거하여 변화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함을 확인하였다.

치과위생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턱관절 장애 자각증상의 상관성 연구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temporomandibular joint disorder in dental hygienists)

  • 정은영;김명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381-390
    • /
    • 2014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job-stress and temporomandibular joint(TMJ) disorder in dental hygienists. This study will provide the basic data to improve the working condition and the quality of life. Methods : The subjects were 229 dental hygienists at general hospitals in Seoul, Korea.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from May 20 to June 20, 2013.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4 questions of demographic features, 11 questions for TMJ symptoms and 5 questions for job stress.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Mann-Whitney U test and multiple job-stres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using SPSS version 21.0. Results : During the last six months, 53.3%(122 persons) of the dental hygienists had TMJ disorder symptoms including joint noise(40.6%, 93 persons), TMJ pain(31.4%, 71 persons) and limitation of TMJ(21.8%, 50 persons). Job-stress is divided into two ranges including high stress group(4.3-5.0 points) and low stress group(0.0-3.6 points) in TMJ pain and joint noise(p<0.05). TMJ pain was closely related to low back pain, pelvis pain and tension headache arising from the uncomfortable working posture. Conclusions : It is necessary to prevent the job stress in the dental hygienists by the improvement of working condition, emotional stability, and frequent postural change.

임상실습 시 병원형태별 치과위생사와 실습학생이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ressors of Dental Hygienists and Student Hygienists during the Clinical Practice by Medical Center Type)

  • 장성연;권순복;양승경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2권6호
    • /
    • pp.682-688
    • /
    • 2012
  • 본 연구는 임상실습 시 병원형태별로 치과위생사와 실습학생이 경험하게 되는 스트레스 요인을 분석하여, 치과위생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고 효율적인 임상실습을 계획하고 운영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 또한 실습학생이 전문적인 치과위생사로서 성장 발전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실시하였다.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치과대학병원, 종합병원치과, 치과병원, 치과의원의 치과위생사를 대상으로 2012년 3월 5일부터 6월 29일까지 설문조사 하였고, 경기도 경복대학 치위생과에 재학 중이고 치과대학병원, 종합병원치과, 치과병원, 치과의원에서 임상실습을 마친 학생으로 2011년 6월 13일부터 6월 17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집된 자료는 SPSS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치과위생사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는 치과대학병원을 제외한 병원에서는 불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병원형태별 연구대상자가 느끼는 스트레스유형의 평균차이를 분석한 결과, 치과위생사는 역할 및 활동 영역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학생의 경우 환경요인 영역에서 가장 높은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스트레스 영역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치과위생사의 경우 모든 영역 간에는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실습학생의 경우 진료분야를 제외한 영역에서 스트레스 영역 간에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 스트레스 요인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치과위생사의 경우 역할 및 활동, 이상과 가치, 진료분야의 스트레스 영역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실습학생의 경우 대인관계, 이상과 가치의 스트레스 유형은 임상실습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the Use of Oral Hygiene Devices in Adults)

  • 최은실;정수라;조한아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775-785
    • /
    • 2015
  • 본 연구는 KNHANES 제6기 1차 년도(2013년) 자료를 이용하여 성인의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만 19세 이상 성인 4,839명을 최종 분석대상자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교차분석 결과 구강위생용품의 사용(하루 칫솔질 빈도, 치실 사용 여부, 치간칫솔 사용 여부, 구강양치용액 사용 여부)은 성별, 나이, 교육수준, 가구소득, 결혼상태, 치과의료 이용, 치과검진 여부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구강위생용품 사용에 미치는 변수를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살펴본 결과 성별, 교육수준이 공통적인 영향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구강위생용품에서 모두 공통되지는 않았지만 구강건강상태와 치과의료 이용, 최근 1년간 치과검진 여부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을 나타냈다. 치과 전문인력인 치과위생사는 구강위생용품을 세분화하여 각 영향 요인을 인식하고 개인의 특성 및 구강상태를 반영한 구강보건교육매체 및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국민구강보건증진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치과위생사 취업 역량, 업무,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 공무원·공기업 취업자·연구원 중심으로 (A study on career competency, task and job satisfaction of dental hygienists - Focusing on public officials, public institution workers, and researchers)

  • 정소현;남상희;박지현;신은지;오나원;유하림;김설희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77-488
    • /
    • 2018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areer competency, tasks, and job satisfaction of public servants, public institutions, and researcher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about career competency, job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on work life. Next, they interview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job by two or three dimension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obtained from July to August 2017. Results: Career competencies were GPA with 3.87, 818 points of TOEIC score, and ITQ certification. Public servants required the information on literacy skills for employment and job performance, while civil servants need more than one year of clinical experience in the dental hospital. The non-commissioned officer needed a written test and fitness training.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center required more than one year of experience from general hospital or medical institutions. Researchers required a research career, language skill, and professors required research and teaching experiences with clinical experience more than three years. The main job tasks were as follows; for public servants, they were official document processing and community projects. For the civilian workers and military/noncommissioned officers, they were medical assistant and administrative works. The employees of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are examining the medical expenses and the medical examination, the researchers are experimenting, researching and writing articles, and the teaching staff are lecturing and conducting individual research. Conclusions: The results of job satisfaction survey showed that occupational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in civil servants, researchers, and teaching professions. Job security was the highest in health workers and health inspectors' evaluation centers, and time vacancy was the highest in civilian workers and military/noncommissioned officers. If you want to work in such an institution, you should prepare elements that match your basic literacy and job specific characteristics. And we should try to increase the satisfaction of work even after work.

치과위생사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미치는 영향: 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Burnout on Job Commitment in Dental Hygienists: in the Gyeongsang-do region)

  • 이재철;노효련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9호
    • /
    • pp.31-42
    • /
    • 2016
  • 본 연구는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이 직무몰입에 주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치과위생사 156명이며 구조화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진은 Maslash Burnout Inventory척도, 직무몰입은 강종수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정서적 고갈, 성취감 감소, 비인간화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직무몰입은 조직몰입, 경력몰입, 작업몰입의 3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치과위생사들의 소진은 7점 만점 중 3.77점, 몰입은 5점 만점에서 3.53점으로 나타났다. 임상경력이 5년 미만이며 동료 인원이 적을수록 소진이 높았다. 임상경력이 높을수록 경력몰입이 높았으며, 경력과 연봉이 많을수록 조직몰입이 높게 나타났다. 치과위생사의 경력몰입과 작업몰입은 정서적 고갈과, 조직몰입은 성취감 감소와 음의 영향을 받고 있어서 소진이 높을수록 직무몰입 정도가 낮아지고 있었다. 그러므로 치과위생사들의 소진감소와 직무몰입도 증진을 위하여 경력을 유지하고 연봉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The Effects of Biofilm Care on Subgingival Bacterial Motility and Halitosis

  • Kim, Yu-Rin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162-169
    • /
    • 2019
  • Background: Oral diseases are caused by various systemic and local factors, the most closely related being the biofilm. However, the challenges involved in removing an established biofilm necessitate professional care for its removal.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and compare the effects of professional self and professional biofilm care in healthy patients to prevent the development of periodontal diseases. Methods: Thirty-seven patients who visited the dental clinic between September 2018 and February 2019 were included in this study. Self-biofilm care was performed by routine tooth brushing and professional biofilm care was provided using the toothpick method (TPM) or the oral prophylaxis (OP) method using a rubber cup. Subgingival bacterial motility and halitosis (levels of hydrogen sulfide, $H_2S$; methyl mercaptan, $CH_3SH$; and di-methyl sulfide, $(CH_3)_2S$) were measured before, immediately after, and 5 hours after the preventive treatment in the three groups. Repeated measures analysis of variance test was performed to determin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groups. Results: TPM was effective immediately after the prevention treatment, whereas OP was more effective after 5 hours (proximal surfaces, F=16.353, p<0.001; smooth surfaces, F=66.575, p<0.001). The three components responsible for halitosis were effectively reduced by professional biofilm care immediately after the preventive treatment; however, self-biofilm care was more effective after 5 hours ($H_2S$, F=3.564, p=0.011; $CH_3SH$, F=6.657, p<0.001; $(CH_3)_2S$, F=21.135, p<0.001). Conclusion: To prevent oral diseases, it is critical to monitor the biofilm. The dental hygienist should check the oral hygiene status and the ability of the patient to administer oral care. Professional biofilm care should be provided by assessing and treating each surface of the tooth. We hope to strengthen our professional in biofilm care through continuous clinical resear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