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nical Language Disorder Rating Scale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5초

조현병에서 형식적 사고장애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Formal Thought Disorder in Schizophrenia)

  • 양채영;김한성;김은경;김일빈;박선철;최준호
    • 생물정신의학
    • /
    • 제28권2호
    • /
    • pp.70-77
    • /
    • 2021
  • Objectives Our study aimed to present the distinctive correlates of formal thought disorde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using the Clinical Language Disorder Rating Scale (CLANG). Methods We compared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schizophrenia patients with (n = 84) and without (n = 82) formal thought disorder. Psychometric scales including the CLANG,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BPRS), the Young Mania Rating Scale (YMRS), the Calgery Depression Scale for Schizophrenia (CDSS) and the Word Fluency Test (WFT) were used. Results After adjusting the effects of age, sex and total scores on the BPRS, YMRS and WFT, the subjects with disorganized speech 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the abnormal syntax (p = 0.009), lack of semantic association (p = 0.005), discourse failure (p < 0.0001), pragmatics disorder (p = 0.001), dysarthria (p < 0.0001), and paraphasic error (p = 0.005) items than those without formal thought disorder. With defining the mentioned item scores as covariates, binary logistic regression model predicted that discourse failure (adjusted odds ratio [aOR] = 5.88, p < 0.0001) and pragmatics disorder (aOR = 2.17, p = 0.04) were distinctive correlates of formal thought disorde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Conclusions This study conducted Clinician Rated Dimensions of Psychosis Symptom Severity (CRDPSS) and CLANG scales on 166 hospitalized schizophrenia patients to explore the sub-items of the CLANG scale independently related to formal thought disorders in schizophrenia patients. Discourse failure and pragmatics disorder might be used as the distinctive indexes for formal thought disorder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청지각적 평가 방식에 따른 음성장애 심한 정도 판단과 자가 신뢰도에 대한 차이 (Effects of EAI and VAS on perceptual judgement and confidence rating by listeners for voice disorders)

  • 이옥분;김선희;정한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3046-3050
    • /
    • 2014
  • 본 연구는 음성장애 청지각적 평가인 EAI(등간척도)와 VAS(시각적 아날로그 척도)의 차이점, 각 평가방법에 대한 평가자 자가-신뢰도(confidence rating)을 알아보았다. 30명의 언어병리전공 학생들이 음성장애로 진단받은 화자(N=25)의 발성과 읽기 샘플을 듣고 EAI는 7점 척도, VAS는 0-10cm의 직선에 음성장애 정도를 표시했고, 판단에 대한 자가 신뢰도 점수는 7점 척도로 실시했다. 음성장애 정도에 대한 판단의 준거가 제시되는 상황(조건 1)과 그렇지 않은 상황(조건 2)에서 모음 연장발성과 읽기 과제에 대해 각각 실시했다. 연구 결과, 발성이나 읽기과제에서 모두 동일하게 모두 VAS평가 점수가 높게 산출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 외 조건 1의 읽기과제와 조건 2의 발성과제에 대한 EAI와 VAS평가 점수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음성장애 화자들의 발화 과제와 청지각적 평가유형이 청취자들의 지각적인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보다 집중된 임상 연구가 계속되어야 할 것을 시사한다.

자폐 스펙트럼 장애 환아 1례에 대한 증례 보고 (A Clinical Study of Treating Autism Spectrum Disorder in Childhood)

  • 신혜진;이보람;이지홍;장규태
    • 대한한방소아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49-60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port the effectiveness of Korean medicine on treating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in childhood. Methods We treated an 8-years-old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autism (grade II) with herbal medicine, acupuncture and electric moxibustion. Every 11 months, Korean-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K-CARS) was used to assess the patient's symptom progression. Results After 21 months of Korean medicine treatment, the child's overall health was improved. Moreover, language ability, emotional control, memory and cognitive abilities got better, as well as anxiety, agitation, and aggressive behavior related to ASD were also decreased. K-CARS score at the initial stage of the treatment was 39.5 points, which can be considered as severe autism. After 11 months of the treatment, the K-CARS score was 34.5 points which is mild-moderate autism. Conclusions Korean medicine treatment can be effective in improving symptoms of ASD. However,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demonstrate the treatment benefits to ASD.

Usefulness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for infants and children for the evaluation of developmental delay in Korean infants and children: a single-center study

  • Yim, Chung-Hyuk;Kim, Gun-Ha;Eun, Baik-Li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10호
    • /
    • pp.312-319
    • /
    • 2017
  • Purpo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Korean Developmental Screening Test (K-DST) for infants and children for developmental delay assessment. Methods: This study was based on retrospective studies of the results of the K-DST,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PRES),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 (SELSI),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CARS), Modified Checklist for Autism in Toddlers (M-CHAT), electroencephalography, magnetic resonance imaging, and extensive tests conducted in 209 of 1,403 patients, of whom 758 underwent the K-DST at the Korea University Guro Hospital between January 2015 and December 2016 and 645 were referred from local clinics between January 2015 and June 2016. Results: Based on the K-DST results, the male children significantly more frequently required further or follow-up examination than the female children in most test sections, except for gross motor. The male children had notably lower mean scores than the female children. The PRES/SELSI results showed that when more further or follow-up evaluations were required in the K-DST communication section, significantly more problems in language delay or disorder emerged. When further or follow-up evaluation was required in the cognitive section in the CARS/M-CHAT, the possibility of autism increased significantly. A child tended to score low in the CARS test and show autism when further or follow-up evaluation was recommended in the K-DST. Conclusion: This study demonstrated the usefulness of the K-DST as a screening test early in the development of infants and children in Korea. Data of normal control groups should be examined to determine the accuracy of this investigation.

Psychoeducational Profile-Revised, Korean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Fourth Edition, and the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 Second Edition: Comparison of Utility for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Preschool Children

  • Sumi Ryu;Taeyeop Lee;Yunshin Lim;Haejin Kim;Go-eun Yu;Seonok Kim;Hyo-Won Kim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34권4호
    • /
    • pp.258-267
    • /
    • 2023
  •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utility of the Psychoeducational Profile-Revised (PEP-R), Korean Wechsler Preschool and Primary Scale of Intelligence, Fourth Edition (K-WPPSI-IV), and Vineland Adaptive Behavior Scale, Second Edition (VABS-II) for evaluating developmental disabilities (DD) in preschool children. Additionally, we examined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PEP-R, K-WPPSI-IV, and VABS-II. Methods: A total of 164 children aged 37-84 months were assessed. Children's development was evaluated using the PEP-R, K-WPPSI-IV, VABS-II, Preschool Receptive-Expressive Language Scale, and Korean Childhood Autism Rating Scale, Second Edition. Results: Of the 164 children, 103 had typical development (TD) and 61 had DD. The mean of the PEP-R Developmental Quotient (DQ), K-WPPSI-IV Full-Scale Intelligence Quotient (FSIQ), and VABS-II Adaptive Behavior Composite (ABC) score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TD group than in the DD group (p<0.001). The estimated area under the curve of the PEP-R DQ, K-WPPSI-IV FSIQ, and VABS-II ABC scores was 0.953 (95% confidence interval [CI]=0.915-0.992), 0.955 (95% CI=0.914-0.996), and 0.961 (95% CI=0.932-0.991), respectively, which did not indicat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PEP-R DQ score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K-WPPSI-IV FSIQ (r=0.90, p<0.001) and VABS-II ABC scores (r=0.84, p<0.001). A strong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K-WPPSI-IV FSIQ and VABS-II ABC scores (r=0.89, p<0.001). Conclusion: This study found that the PEP-R, K-WPPSI-IV, and VABS-II effectively distinguished DD from TD in preschool children, an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utility were observed between them.

한국형 자가평가 불안척도의 개발 (Development of the Korean Form of Zung's Self-Rating Anxiety Scale)

  • 이중훈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13권2호
    • /
    • pp.279-294
    • /
    • 1996
  • 불안의 존재나 정도를 양적으로 측정하고 평가하기 위해서 한국형 자가평가 불안척도를 연구 개발하기 위하여 1994년 8월 부터 1996년 9월까지 영남대학교 의과대학 부속병원 정신과 및 국립 부곡 정신병원 정신과에 외래 및 입원한 불안장애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불안장애 환자 집단은 남자 52명(53.6%), 여자 45명(46.4%)으로 총 97명(32.1%)이며, 이들 진단의 정확도를 위하여 환자의 선정 기준은 DSM-IV에 의해 불안장애 환자로 진단한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비교 집단은 검사 당시 정상적인 사회 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피험자로 주로 고등학교 학생과 일반 대학생 그리고 지역 사회 일반 성인 및 그 가족을 중심으로 하여 남자 104명(50.7%), 여자 101명(49.3%)인 총 205명(67.9%)이였다. 이들에게 Zung의 자가평가 불안척도를 한국형으로 번안하여 조사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본 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는 종합 검토하여 불충분한 자료를 제거하고 SPSS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분석하였다. SAS의 문항 분석을 시행하여 각 문항간의 상관관계, 문항 내적 상관도, 검사의 신뢰도 검증 및 요인분석 그리고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정상과 이상 집단을 판별 할 수 있는 판별력을 알아 보기위하여 판별분석 등을 시행하였다. 불안척도로 평가된 비교 집단의 평균 총점은 $32.36{\pm}6.35$이였다. 불안척도로 평가된 불안장애 환자 집단의 평균 총점은 $50.53{\pm}7.67$이였다. 비교 집단인 정상 집단은 전체 불안 점수의 분포는 50점 이상인 경우가 1.0%(2명)이었고, 불안장애 집단의 전체 불안 점수의 분포는 50점 이상인 경우가 25.9%(56명)이었다. 본 척도에 대한 검사-재검사의 신뢰도 검증에서 신뢰도 계수는 0.98(p < 0.001), 항목-전체간의 상관계수의 평균치는 0.60(0.16-0.76), 내적 일관성은 0.96(p < 0.001)이며,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신뢰도를 보여주었다. 요인분석에서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는데, 이러한 점은 불안이 여러 가지 요소로 구성되어 있을 가능성도 시사한다. 불안척도에서 비교 집단인 정상인 집단에서 항목별로 높게 평가된 상위 문항들은 발한, 초조, 우려, 불면 및 호흡곤란 등이었고, 하위 항목은 졸도감, 혼돈, 이상감각, 현기증 및 진전 등의 항목이였다. 불안장애 집단이 SAS에서 항목별로 높게 평가된 상위 문항들은 우려, 초조, 발한, 호흡곤란 및 불면 등이며, 하위 항목은 졸도감, 이상감각, 악몽, 현기증 및 진전 등으로 본 연구에서 분석한 결과에서 서로 항목별 내용이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한국형 자가평가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판별분석을 한 결과 두 집단을 정상인 집단과 불안장애 환자 집단으로 판별하는 전체 정확 판별율(93.7%)이 비교적 양호한 결과를 보였다. 앞으로 한국형 자가평가 불안척도를 사용하여 불안장애가 있는 피험자를 객관적인 자료에 의해 선발 할 수 있는 도구가 될 것이라고 사려된다.

  • PDF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들의 공존질환 및 동반증상에 대한 연구 (A STUDY ON COMORBID DISORDERS AND ASSOCIATED SYMPTOMS OF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CHILDREN)

  • 곽영숙;강경미;조성진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0권1호
    • /
    • pp.64-75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전반적 발달장애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이하 PDD)의 공존질환과 동반증상의 현황을 파악하고자 전반적 발달장애 아동에서의 동반증상과 공존질환의 빈도 및 특성을 알아보고 발달성 언어장애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이하 DLD)와의 차이를 비교해 보았다. 연구대상은 1996년 1월부터 1999년 3월까지 국립서울정신병원 소아정신과 외래에서 통원치료를 받았거나 발달장애 주간치료프로그램에 참가했던, DSM-IV를 기준으로 소아정신과 전문의에 의해 진단된, 만 1세에서 11세 아동 352명 이었으며 이중 PDD는 209명(남179, 여30), DLD는 143명(남119, 여24)이었다. 진단적 평가에는 병록지, 언어평가, 작업평가, 가정방문보고서, 부모양육보고서, SMS, CARS, PEP 결과 등을 참조하였다. 진단군에 따른 각각에서의 공존질환과 동반증상의 빈도와 특징을 비교분석하였고, PDD아동 64명을 CARS에 따라 3군으로 나누어 동반증상의 양상을 비교하였으며, 106명을 대상으로 각 동반증상과 교육진단검사 소항목과의 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PDD와 DLD 양군에서 공존질환의 비율은 각각 19.6%, 41.2%이었고, 동반증상 13개 항목의 평균 동반비율은 31.47%, 22.13%이었다. 비정상적 집착, 강박증, 자해행동, 상동증, 수면문제, 기묘한 반응 등은 PDD에서 유의하게 높은 빈도를 보였다. 동반비율에서 PDD에서는 비정상적 집착, 상동증, 주의집중 부족, 부적절한 정서 등의 순서를 보인 반면, DLD에서는 주의집중 부족, 공격성, 부적절한 정서, 행동과다, 비정상적 집착 등의 순서를 보였다. 각 동반증상의 유무에 따른 교육진단검사 소항목 들의 양상을 분석해본 결과, 전체군에서는 비정상적 집착, 자기자극행동, 상동증, 부적절한 정서, 수면문제, 기묘한 반응 등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진단별에 따라서는 두 군 모두 차이를 나타낸 항목이 없었다. 한편 CARS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인 동반증상은 상동증, 불안, 수면문제 등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전반적 발달장애에서의 공존질환 및 동반증상의 임상적 중요성을 나타내며, 추후 공존질환과 동반증상의 빈도 및 특성에 따라 세부적인 진단과 이에 따른 현실적인 치료적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