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imatic Changes

검색결과 319건 처리시간 0.022초

Seasonal Acclimatization in Summer versus Winter to Changes in the Sweating Response during Passive Heating in Korean Young Adult Men

  • Lee, Jeong-Beom;Kim, Tae-Wook;Min, Young-Ki;Yang, Hun-Mo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19권1호
    • /
    • pp.9-14
    • /
    • 2015
  • We investigated the sweating response during passive heating (partial submersion up to the umbilical line in $42{\pm}0.5^{\circ}C$ water, 30 min) after summer and winter seasonal acclimatization (SA). Testing was performed in July during the summer, 2011 [summer-SA; temp, $25.6{\pm}1.8^{\circ}C;$ relative humidity (RH), $82.1{\pm}8.2%$] and in January during the winter, 2012 (winter-SA; temp, $-2.7{\pm}2.9^{\circ};$ RH, $65.0{\pm}13.1%$) in Cheonan ($126^{\circ}52^{\prime}N$, 33.38'E), Republic of Korea. All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in an automated climatic chamber (temp, $25.0{\pm}0.5^{\circ}C$: RH, $60.0{\pm}3.0%$). Fifteen healthy men (age, $23.4{\pm}2.5$ years; height, $175.0{\pm}5.9cm;$ weight, $65.3{\pm}6.1kg$) participated in the study. Local sweat onset time was delayed during winter-SA compared to that after summer-SA (p<0.001). Local sweat volume, whole body sweat volume, and evaporative loss volume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winter-SA compared to those after summer-SA (p<0.001). Changes in basal metabolic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winter-SA (p<0.001), and tympanic temperature and mean body temperature were significantly lower after summer-SA (p<0.05). In conclusion, central sudomotor acitivity becomes sensitive to summer-SA and blunt to winter-SA in Rebubic of Korea.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body adjusts its temperature by economically controlling the sweating rate but does not lower the thermal dissipation rate through a more effective evaporation scheme after summer-SA than that after winter-SA.

Metabolomic understanding of intrinsic physiology in Panax ginseng during whole growing seasons

  • Lee, Hyo-Jung;Jeong, Jaesik;Alves, Alexessander Couto;Han, Sung-Tai;In, Gyo;Kim, Eun-Hee;Jeong, Woo-Sik;Hong, Young-Shick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3권4호
    • /
    • pp.654-665
    • /
    • 2019
  • Background: Panax ginseng Meyer has widely been used as a traditional herbal medicine because of its diverse health benefits. Amounts of ginseng compounds, mainly ginsenosides, vary according to seasons, varieties, geographical regions, and age of ginseng plants. However, no study has comprehensively determined perturbations of various metabolites in ginseng plants including roots and leaves as they grow. Methods: Nuclear magnetic resonance ($^1H$ NMR)-based metabolomics was applied to better understand the metabolic physiology of ginseng plants and their association with climate through global profiling of ginseng metabolites in roots and leaves during whole growing periods. Results: The results revealed that all metabolites including carbohydrates, amino acids, organic acids, and ginsenosides in ginseng roots and leaves were clearly dependent on growing seasons from March to October. In particular, ginsenosides, arginine, sterols, fatty acids, and uracil diphosphate glucose-sugars were markedly synthesized from March until May, together with accelerated sucrose catabolism, possibly associated with climatic changes such as sun exposure time and rainfall. Conclusion: This study highlights the intrinsic metabolic characteristics of ginseng plants and their associations with climate changes during their growth. It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not only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e metabolic phenotype of ginseng but also for quality improvement of ginseng through modification of cultivation.

An effective automated ontology construction based on the agriculture domain

  • Deepa, Rajendran;Vigneshwari, Srinivasan
    • ETRI Journal
    • /
    • 제44권4호
    • /
    • pp.573-587
    • /
    • 2022
  • The agricultural sector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other sectors since it completely relies on various natural and climatic factors. Climate changes have many effects, including lack of annual rainfall and pests, heat waves, changes in sea level, and global ozone/atmospheric CO2 fluctuation, on land and agriculture in similar ways. Climate change also affects the environment. Based on these factors, farmers chose their crops to increase productivity in their fields. Many existing agricultural ontologies are either domain-specific or have been created with minimal vocabulary and no proper evaluation framework has been implemented. A new agricultural ontology focused on subdomains is designed to assist farmers using Jaccard relative extractor (JRE) and Naïve Bayes algorithm. The JRE is used to find the similarity between two sentences and words in the agricultural docum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wo terms is identified via the Naïve Bayes algorithm. In the proposed method, the preprocessing of data is carried out through natural language processing techniques and the tags whose dimensions are reduced are subjected to rule-based formal concept analysis and mapping. The subdomain ontologies of weather, pest, and soil are built separately, and the overall agricultural ontology are built around them. The gold standard for the lexical layer is used to evaluate the proposed technique, and its performance is analyzed by comparing it with different state-of-the-art systems. Precision, recall, F-measure, Matthews correlation coefficien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area, and precision-recall curve area are the performance metrics used to analyze the performance. The proposed methodology gives a precision score of 94.40% when compared with the decision tree(83.94%) and K-nearest neighbor algorithm(86.89%) for agricultural ontology construction.

1904년 이래의 부산 기후 변동성 및 생활기상지수들의 기후변화 특성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s in Weather Indexes in Busan Since 1904)

  • 전하은;하경자;김혜렴
    • 대기
    • /
    • 제33권1호
    • /
    • pp.1-20
    • /
    • 2023
  • Holding the longest observation data from April 1904, Busan is one of the essential points to understand the climate variability of the Korean Peninsula without missing data since implementing the modern weather observation of the South Korea. Busan is featured by coastal areas and affected by various climate factors and fluctuation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limate variability and changes in climatic variables, extremes, and several weather indexes.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points in daily mean rainfall intensity and temperature were found in 1964 and 1965. Based on the change point detection, 117 years were divided into two periods for daily mean rainfall intensity and temperature, respectively. In the long-term temperature analysis of Busan, the increasing trend of the daily maximum temperature during the period of 1965~2021 was larger than the daily mean temperature and the daily minimum temperature. Applying Ensemble Empirical Mode Decomposition, daily maximum temperature is largely affected by the decadal variability compared to the daily mean and minimum temperature. In addition, the trend of daily precipitation intensity from 1964~2021 shows a value of about 0.50 mm day-1, suggesting that the rainfall intensity ha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ceding period. The results in extremes analysis demonstrate that return values of both extreme temperatures and precipitation show higher values in the latter than in the former period, indicating that the intensity of the current extreme phenomenon increases. For Wet-Bulb Globe Temperature (effective humidity), increasing (decreasing) trend is significant in Busan with the second (third)-largest change among four stations.

GIS기반의 기후·환경 분야 자료 공유를 위한 Client/Server 방식의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DB Management System for GIS-Based Client/Server Data Sharing in Climate and Environment Fields)

  • 최용국;김계현;이철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32-43
    • /
    • 2014
  •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지구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기후변화와 지구환경시스템간의 상관관계를 규명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후변화 자료와 지구환경시스템 자료를 비교 분석하기 위한 기후 환경 통합DB가 구축되어야 한다. 선행 연구에서는 XML 기반의 기후 환경 통합DB를 구축하고 이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그러나 선행 연구에서 개발된 시스템은 개별 PC에 자료를 독립적으로 저장 및 구축되도록 설계되어 여러 사용자의 동시접근이 불가능하였다. 또한 지속적으로 생산되는 자료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체계적인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독립적으로 구축된 기후 환경 통합DB를 개선하고 이를 손쉽게 활용하기 위한 GIS기반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을 목표로 하였다. 우선 기후 환경 자료의 수집 및 분석을 통해 DBMS기반의 통합DB를 설계 구축하였다. 아울러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가 통합DB에 쉽게 접근하여 활용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PC와의 연결이 용이한 클라이언트/서버 모델 방식의 GIS기반 통합DB 관리시스템을 설계하고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GIS기반 통합DB 관리시스템은 산재되어 있는 기후 환경 자료를 통합하여 효율적인 관리 및 소재 파악이 용이하게 하여 기후 환경 통합 연구에서 자료의 중복 생산을 방지하여 시간적, 경제적 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Year-to-Year and Inter-Decadal Fluctuations in Abundance of Pelagic Fish Populations in Relation to Climate-Induced Oceanic Conditions

  • Gong, Yeong;Suh, Young-Sang;Han, In-Seong;Seong, Ki-Tack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31권1호
    • /
    • pp.45-67
    • /
    • 2008
  • Ocean climate variables ($1900{\sim}2005$), time series of catches ($1910{\sim}2005$) and body size data were used to assess the year-to-year and decadal scale fluctuations in abundance of the fish populations (Japanese sardine, anchovy, jack mackerel, chub mackerel, Pacific saury and common squid) that have spawning grounds in the East China Sea and its adjacent region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abundance of pelagic fishes (e.g. jack mackerel) in the Tsushima Warm Current (TWC) region and the Kuroshio-Oyashio Current (KOC) region was attributed to the climatic modulation of larval transport and recruitment, which depends on the winter monsoon-induced drift, current systems, and spawning season and site. The changes in abundance and alternation of dominant fish populations in the two regions in the 1930s, 1970s, and late 1980s mirrored changes in the climate indices (ALPI, AOI and MOI). Oscillations in the decadal climate shifts between the two regions led to zonal differences in larval transport and recruitment, and hence differences in the abundance of the pelagic fish populations. During deep Aleutian Lows, as in the 1980s, larval transport from the East China Sea to the KOC region increases in association with the strong winter Asian monsoon, cool regime and increased volume transport of the Kuroshio Current systems, whereas during a weak Aleutian Low (as in the 1990s), larval transport to the TWC region increased in association with a weak winter Asian monsoon, a warm regime, and increased volume transport of the Tsushima current system. We postulate that the increased chub mackerel abundance in the TWC region and the decreased abundance in the KOC region in the 1990s are partly attributed to changes in recruitment and availability to the fishing fleets under the warm regime in the spawning and nursery grounds in the East China Sea in association with the quasi-steady state of mild winter monsoon in the 1990s. The fluctuations in chub mackerel and jack mackerel abundance are under the environment-dependant growth form, although the tropicalization was identified in the TWC region. The density-dependant growth form was found in Japanese sardine populations, but no tropicalization by fishing was identified in the long ($10{\sim}15$ year) periods of abundance despite their short ($3{\sim}4$ year) generation time, suggesting that the environment-dependant growth form drove the changes in abundance. Year-to-year and decadal scale variations in abundance and population structure of the Pacific saury responded to climate regime shifts (1976/1977, 1988/1989), suggesting that the fish is a key bio-indicators for changes in the ecosystem.

충남 부여지역의 홀로세 기후변화 -탄소동위원소분석과 대자율분석을 이용하여- (Holocene Environments of the Buyeo Area Choongnam Province: Reconstructed from Carbon Isotopic and Magnetic Evidences from Alluvial Sequences)

  • 박경;박지훈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96-412
    • /
    • 2011
  • 충남 부여지역의 홀로세(약 8,400 yrs B.P.~현재) 기간의 환경 특히 기후환경을 복원하기 위하여 부여군 가탑리 일대에 분포하는 선상지 퇴적물을 대상으로 탄소동위원소분석과 대자율분석을 실시하였다. 탄소동위원소분석 결과에 의하면, 조사지역에서는 크게 5회의 기후변화가 확인되었는데 I기(期)부터 VI기(期)로 가면서 가장 냉량 건조${\rightarrow}$온난 습윤${\rightarrow}$냉량 건조${\rightarrow}$온난 습윤${\rightarrow}$IV기(期)에 비해 건조${\rightarrow}$V기(期)에 비해 습윤한 환경으로 변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약 5,900~3,200 yrs B.P.의 기간이 상대적으로 가장 온난 습윤했던 것으로 밝혀졌다. 하지만 대자율분석에 의하면 시료채취지점 일대의 환경변화는 크게 4개의 시대로 구분되는데 ii-기(期)에 가장 대자율이 높다. I-기(期)는 배후습지 기원의 퇴적물로 이루어져 있으며, 시간의 경과에 따라 토양화가 진전되었다. 이에 비해 ii-기(期)와 iii-기(期)에서 대자율이 다른 시기에 비해 높은 이유는 구릉사면의 풍화와 토양화 과정에서 강자성 광물이 집적된 토양층이 침식에 의해 제거되고 이들이 운반되어 선상지 퇴적물을 형성했기 때문이다. iv-기(期)는 경작층으로 이용되는 현재에 대비된다.

농업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식물 7종의 분포 특성과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 예측 (Potential Changes in the Distribution of Seven Agricultural Indicator Plant Species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at Agroecosystem in South Korea)

  • 남형규;송영주;권순익;어진우;김명현
    • 생태와환경
    • /
    • 제51권3호
    • /
    • pp.221-233
    • /
    • 2018
  • 본 연구는 농업생태계 기후변화 지표식물의 현재와 미래의 분포 특성을 예측하고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전국을 대상으로 총 108개 지점에서 지표식물 7종(광대나물, 꽃마리,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 큰망초, 서양금혼초)의 실제 분포 유무 자료를 수집하고 Maxent 모형을 적용하여 현재와 기후시나리오에 따른 미래의 잠재적 분포를 예측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미래 분포 예측에서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 3종은 전체 분포 면적은 감소하였지만 분포 범위는 그대로 유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고, 큰망초와 서양금혼초 2종은 분포면적과 범위가 모두 확대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광대나 물과 꽃마리 2종은 분포 면적이 급격히 줄어들어 국지적으로 분포하거나 일부 해안가에만 나타나는 것으로 예측되었다. 광대나물, 꽃마리, 냉이, 서양민들레, 큰개불알풀의 경우 토지피복도나 고도와 같은 비기후인자가 상대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고 큰망초와 서양금혼초는 기후인자가 중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기후변화 지표식물의 분포 예측 특성은 향후 지표식물의 모니터링 방향과 관리 계획 설정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시화에 따른 수문기후변화 I (연 물수지 변화 분석) (A Study on Variation in Annual Water Balance)

  • 임창수;채효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7호
    • /
    • pp.555-570
    • /
    • 2007
  • 도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연 물수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전국 56개 기후관측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10 km에 해당하는 $314\;km^2$의 면적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지역 내에서 연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였고, 도시화에 따른 연 유출량변화를 모의하기 위하여 연 물수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 실제증발산량 산정을 위하여 수문기후자료와 토지이용자료를 이용하여 추정된 식생지수를 이용하여 연구지역별 연 실제증발산량을 산정하였다. 여기서 연 실제증발산량은 Zhang et al.(2001)에 의해서 전 세계 250개 유역에서 장기간의 물수지분석으로부터 유도된 경험 공식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기준잠재증발산량의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도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연 실제증발산량을 증가시키는 요인과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주거지면적이 증가하여 지역 내의 연 실제증발산량을 감소시키는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강수량자료의 분석 결과 연구기간 동안에 도시화에 따른 연 강수량의 뚜렷한 추세를 보이지 않고 있다. 도시화지역에서 연 유출량은 연 강수량의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고, 실제증발산량의 변화정도는 연 강수량의 영향을 받음에도 불구하고 연 강수량에 비하여 그 편차가 크지 않다. 도시화에 따른 연 실제증발산량의 변화는 연 유출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이며, 도시화에 따른 연 유출량 변화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화에 따른 수문기후변화 II (도시화가 기준 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 (Urbanization Effects on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 임창수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0권7호
    • /
    • pp.571-58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도시화에 따른 기후변화가 FAO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또한 도시화에 따른 수문기후학적 변화는 다른 지형 및 지리적 조건과도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도시화가 수문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이들 지형 및 지리적조건도 동시에 고려되어야 한다. 이러한 지형 및 지리적 조건이 도시화과정과 함께 수문기후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FAO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량을 산정하고, 에너지항 및 공기동력항이 FAO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위하여 적용된 연구지역은 서울을 비롯한 56개 수문기후관측지점으로써 도시화과정을 분석하기 위하여 반경 10km를 중심으로 $314\;km^2$당하는 면적을 연구지역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지역의 도시화정도를 판단하기 위하여 토지이용현황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연구지역에서 기준증발산의 변화정도는 도시화율의 정도에 따라서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기준증발산량의 변화정도는 도시화율이 클수록 큰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결과에 의하면 기준증발산량의 변화정도는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도시지역 내 열섬현상에 따른 기온상승과 도시치역의 주거지면적 증가에 따른 습도의 감소 그리고 풍속의 감소 영향인 것으로 보이며, 특히 습도의 감소가 기준증발산량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도시지역 내의 태양복사량 감소에 따른 순단파복사량의 감소나 기온상승에 따른 순장파복사량의 증가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인다. 또한 연구지역의 지리 및 지형조건이 기준증발산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56개 연구지역의 기준증발산량에 미치는 요인은 주로 도시화에 따른 기후변화와 해안 근접성인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