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learfill SE Bond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6초

접착제의 다층적용이 복합레진의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MULTIPLE ADHESIVE COATINGS ON THE SHEAR BONDING STRENGTH OF COMPOSITE RESIN)

  • 박헌동;이창섭;이상호;이난영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77-387
    • /
    • 2006
  • 본 연구는 자가산부식 접착시스템과 자가산부식 프라이머 접착시스템의 다층적용이 혼성층 및 adhesive layer의 형성 양상, 그리고 전단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등을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영구 구치 140개의 치아를 근원심으로 분할하여 협면 혹은 설면의 상아질을 이용하였다. 각 접착시스템을 1회, 2회, 3회 도포, 그리고 1회 도포 후 광중합한 후 1회의 추가 도포한 군으로 분류하였다. 전단결합강도와 혼성층 및 adhesive layer 두께를 측정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모든 접착제에서 도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adhesive layer의 두께가 증가하였으며 (p<0.05), Adpor Prompt L-Pop과 Xeno III에서는 자가산부식 프라이머 시스템에서보다 작게 나타났다(p<0.05). 2. Adpor Prompt L-Pop에서 혼성층은 도포횟수에 따라 혼성층의 두께도 증가하였다(p<0.05). 3. Unifill Bond와 Clearfill SE Bond의 전단결합강도는 Scotchbond Multi-Purpose Plus와 Adpor Prompt L-Pop에서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p<0.05), Xeno III와는 유사하였다. 4. Adpor Prompt L-Pop은 접착제의 도포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전단결합강도는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05), AdheSE에서는 3회 도포한 경우 전단결합강도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5. Adpor Prompt L-Pop과 Xeno III에서 첫 층을 중합한 후 두 번째 층을 추가 도포한 경우 전단결합강도는 감소하였다(p<0.05).

  • PDF

Calcium Silicate-based 재료에 대한 수 종 상아질 접착제의 전단결합강도 비교 (Shear Bond Strength Comparison of Different Adhesive Systems to Calcium Silicate-based Materials)

  • 신현옥;김미선;남옥형;이효설;최성철;김광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45-454
    • /
    • 2018
  • 이 연구의 목적은 Calcium silicate를 기반으로 한 2종의 치수복조재 (Biodentine, RetroMTA)와 임상에서 사용되는 여러 가지 상아질 접착제 간의 전단결합강도를 비교 평가하는 것이다. 중심구를 가진 아크릴 레진 블록 80개를 제작하고 2그룹으로 나누어 Biodentine (BD)과 RetroMTA (RMTA)를 중심구 안에 채운 후, 무작위로 10개씩 4개의 하위군을 나누어 재료 상방에 4가지 상아질 접착제인 Clearfill SE (CSE), AQ bond plus (AQ), All bond universal (ABU) 자가부식, ABU 일괄부식을 도포한 뒤 그 위에 복합레진을 적용하였다. Universal testing machine을 이용해 전단결합 강도를 측정하였다. 통계분석은 Kruskal-Wallis를 사용하였고 Mann-Whitney의 사후검정을 하였다. 연구결과, BD - ABU 자가부식군이 가장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RMTA - AQ 군이 가장 낮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ABU 일괄부식과 ABU 자가부식군, ABU 일괄부식과 CSE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또한 같은 상아질접착제 적용 시, BD가 RMTA보다 높은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또한, BD와 RMTA 그룹 군에서 ABU 자가부식군 도포 후, 레진 적용했을 때 향상된 전단결합강도를 보였다.

혈액 오염된 역충전 재료의 미세누출 평가 (Evaluation of Microleakage with Retrograde Filling Materials in Blood Contamination)

  • 조혜진;문종현;박종적;유미경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3권1호
    • /
    • pp.85-93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icroleakage of root-end filling material filled in blood contaminated root-end cavity and self-etching adhesive placed over blood contaminated resected root apices without root-end preparation. Extracted, human maxillary incisors, canines and mandibular premolar were randomly divided into four groups of 15 teeth each. After canal preparation, resection of the apex and root-end preparation, MTA and IRM were filled in the root-end cavity (A and B group). After canal preparation and resection of the apex, Clearfil SE Bond and Prompt L-Pop were applied over the contaminated root-end surfaces (C and D group). The roots were then subjected to 15cm of water pressure to simulate periapical microleakage stress. Data were analyzed using one-wa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All groups showed a tendency of decreasing microleakage in process of time after 2weeks later except IRM group. 2. After 2 weeks and 1 month, MTA group showed less microleakage significantly than other groups(p<0.05). After 2 months, Prompt L-Pop group showed less microleakage significantly than other groups(p<0.05). 3. After 9 month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four groups(p>0.05). Thus it is considered that apical sealing using adhesives system without root-end preparation is good method in endodontic surgery.

박스 형태의 복합레진 수복시 충전법 및 와동벽에 따른 결합력 차이에 관한 연구 (DIFFERENCE IN BOND STRENGTH ACCORDING TO FILLING TECHNIQUES AND CAVITY WALLS IN BOX-TYPE OCCLUSAL COMPOSITE RESIN RESTORATION)

  • 고은주;신동훈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34권4호
    • /
    • pp.350-355
    • /
    • 2009
  • 복합 레진은 중합되는 동안 수축으로 인한 응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는 결합력 실패를 야기한다. 치질과의 결합력은 접착면의 성질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대부분의 연구들은 편평한 접착면상에서 이루어졌으며 와동내 와벽 위치에 따른 결합력 차이에 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Ⅰ급 복합레진 수복시 단일 충전한 경우와 적층 충전한 경우에 있어서 와동의 치수벽과 측벽에서의 결합력 차이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발거된 20개의 건전한 제3 대구치를 대상으로 6 ${\times}$4 ${\times}$3 mm 크기의 박스 형태로 와동을 형성한 후 레진 충전방법과 와동벽에 따라 4개 군으로 분류하였다. 단일 충전하고 치수벽의 결합력을 측정한 A군, 단일 충전하고 측벽의 결합력을 측정한 B군, 적층 충전하고 치수벽의 결합력을 측정한 C군, 적층 충전하고 측벽의 결합력을 측정한 D군으로 설정하였다. 제조사의 지시에 따라 Clearfil SE $bond^{(R)}$(Kuraray Corp., Osaka, Japan)로 치면 처리한 후 Filteck Z $250^{(R)}$(3M/ESPE., St. Paul, USA)을 사용하여 와동을 충전하였다. 적층 충전군의 경우 1.5 mm씩 두 번에 나누어 충전하고 각각 40초씩 중합하였다. $37^{\circ}C$의 증류수에서 24시간 보관 후 교합면쪽 법랑질을 제거하고 수복물의 근원심 폭의 절반되는 지점에서 협설 방향으로 치아를 잘랐다. 주수하에 고속 diamond saw를 사용하여 각 치아의 접착면에 수직으로 1 ${\times}$1 ${\times}$7 mm의 막대 형태의 시편을 만들었으며 만능시험기에 부착하고 1 mm/min의 속도로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2-way ANOVA test와 t-test를 이용하여 95% 유의수준으로 통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충전 방법의 경우, 적층 충전군이 단일 충전군보다 높은 평균값을 보였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2. 와동벽에 따른 결합력 차이의 경우, 치수벽 군이 측벽 군보다 결합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성은 없었다. 본 연구 결과만을 토대로 볼 때, 충전 방법과 와동벽의 두 가지 요소가 치질과의 결합력에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