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ysanthemum boreale L.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8초

감국의 품질 평가 (The Quality Evaluation of Chrysanthemi Flos)

  • 김영호;민병선;정현주;하티탄훵;이준성;지형준;배기환
    • 생약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65-69
    • /
    • 1999
  • The flower of Chrysanthemum morifolium L. has been used as 'Kamguk' in the Korean markets instead of it from C. indicum L. In order to evaluate the quality of Chrysanthemi Flos, the method for isolation and quantitative determination of luteolin as standard compound has been developed. It is analyzed with HPLC using the solvent system of MeOH-water-acetic acid (30:70:5). The amounts of luteolin from Chrysanthemi Flos in Korean markets are in the range of $0.03{\sim}0.04%.$ The amounts of luteolin from the flowers of C. indicum and C. boreale are approximately 0.14% and 0.04%, respectively.

  • PDF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akino) 꽃 유래 에센셜오일(Essential oil)이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생성에 미치는 영향 (Inhibitory Effects of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on 3T3-L1 Pre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Down-regulation of Adipogenesis and Lipogenesis)

  • 황대일;최인호;김도윤;박수민;김하빈;이야려;이환명
    • 생명과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332-336
    • /
    • 2019
  • 비만은 2 형 당뇨병, 고혈압 및 고지혈증을 포함한 다양한 질병과 관련이 있으며, 산국꽃은 전통적으로 비만과 2형 당뇨병 치료제로 사용되어왔다. 본 연구는 전지방세포(preadipocyte, 3T3-L1)를 사용하여 산국꽃 에센셜오일이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 생합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산국꽃 에센셜오일은 $0.1-5{\mu}g/ml$의 농도에서 3T3-L1 세포에 대해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산국꽃 에센셜오일은 지방세포 분화 유도물질(MDI)을 처리한 3T3-L1세포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지방분화를 억제하였으며, $1{\mu}g/ml$ ($28.94{\pm}2.01%$)농도에서 최대 효과를 나타내었다. 산국꽃 에센셜오일은 MDI에 의해 분화가 유도된 3T3-L1 세포에서 지방생성전사인자인 peroxisome proliferator-activated receptor ${\gamma}$ ($PPAR{\gamma}$), CCATT/enhancer binding protein ${\alpha}$ ($C/EBP{\alpha}$) 그리고 sterol regulatory element binding protein (SREBP-1)의 단백질 발현을 억제하였다. 중성지방 생성 및 지방산합성효소 조절인자인 acetyl-CoA carboxylase (ACC)와 fatty acid synthase (FAS)의 발현 또한 산국꽃 에센셜오일에 의해 억제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산국꽃 에센셜오일은 천연 항비만 기능성 소재로써의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산국으로부터 항암활성 성분의 분리 (Isolation of Cytotoxic Substances from Chysanthemum Boreale M.)

  • 양민석;남상해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3호
    • /
    • pp.273-277
    • /
    • 1995
  • 60종의 생약의 methanol 추출물을 L1210세포에 대하여 1차스크리닝실험을 수행하여 항암활성물질을 검색하고, 그 중에서 비교적 세포독성이 강하게 나타나는 산국(Chrysanthemum boreale M.)에서 항암활성물질을 분리정제하였다. 산국의 용매분획물의 L1210, K562, A549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실험에서는 chloroform 분획에서 $ED_{50}$값이 각각 3.98, 4.28, 3.84 (${\mu}g/ml$)로 나타났다. 이 chloroform 분획에서 유효세포독성물질을 정제하여 Compound I과 Compound II를 각각 얻었으며, 이 중에서 Compound I은 L1210, K562, A549세포에 대하여 각각 $ED_{50}$값이 0.55, 0.0003, 0.001 (${\mu}g/ml$)로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으나, Compound II는 K562에 대해서만 $ED_{50}$ 값이 4.79 (${\mu}g/ml$)의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 PDF

산국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간세포 보호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Protective Effects of Extracts from Chrysanthemum boreale on t-BHP Induced Oxidative Stress in Chang Cells)

  • 김연숙;황진우;박표잠;정재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60-66
    • /
    • 2014
  • 본 연구는 산국대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탐색하고자 산국대 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스핀공명기기를 이용한 DPPH, alkyl 라디칼 소거능,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 FRAP를 이용한 총 항산화능 및 ORAC를 측정하였다. 또한 세포 독성 및 간세포 보호 효능 실험을 수행하였다. 산국대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41{\pm}0.04$ mg GAE/g, 총 폴리페놀 함량은 $4.75{\pm}0.03$ mg CE/g으로 나타났다. Hydroxyl 소거 활성은 대조군으로 사용한 비타민 C보다 낮았지만, DPPH 라디칼 소거능이나 alkyl 라디칼 소거능은 비타민 C와 비슷하거나 오히려 더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ABTS를 이용한 라디칼 소거 활성과 FRAP를 이용한 총 항산화능 측정을 통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한 결과에서도 산국대 추출물이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게다가 DNA strand break 평가에서 산국대 추출물이 농도 의존적인 DNA 보호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세포 독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정상 간세포(human liver cells, Chang cells)를 이용하여 MTT assay를 수행한 결과 세포의 생존율은 0.2mg/mL의 농도까지는 전혀 독성을 나타내지 않았고, 간세포 보호 효능 실험에서는 샘플을 한 시간 동안 전처리했을 때 t-BHP로 유도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해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내 활성산소종을 측정한 결과와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차를 측정한 결과에서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간세포 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는 산국대 추출물이 가진 항산화 활성이 세포내 활성산소종의 소거를 통한 산화스트레스를 억제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결과로 기존 산국에 관한 연구는 꽃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고 줄기와 잎에 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기에, 산국대를 기능성 소재로 활용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할 뿐 아니라 꽃보다 수확량이 많으므로 경제적인 소재활용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생식물 Essential Oil 5 종의 항 아토피피부염 활성 연구 (A Study on the Activities of Five Natural Plant Essential Oils on Atopic Dermatitis)

  • 정정화;;최민진;응웬리;신흥묵;이병욱;양인준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23-30
    • /
    • 2021
  • 본 연구는 개똥쑥(Artemisia annua L., AA), 유자(Citrus junos Sieb. ex TANAKA, CJ), 산국화(Chrysanthemum boreale Makino, CB), 잣나무(Pinus koraiensis, PK), 금강송(Pinus densiflora for. erecta, PD) 총 5 종의 자생식물 essential oil의 항 아토피 효능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이다. 항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자생식물 essential oil 5 종을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Pseudomonas aeruginosa, Candida albicans 총 4 종류의 균에 처리했다.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TNF-α와 IFN-γ (TI)를 처리한 HaCaT 세포에 5 종의 자생식물 essential oil을 처리했다. AA, CJ, CB, PK, PD은 10 mg/mL 농도에서 Candida albicans에 대한 항균 효과를 나타냈다. AA (1 ㎍/mL), CB (1 ㎍/mL), PK (0.1, 1 ㎍/mL)에서 thymus and activation-regulated chemokine (TARC) 생성량이 억제되었고, AA 및 PK (1 ㎍/mL)에서 macrophage-derived chemokine (MDC) 생성량이 억제되었으며, AA (0.1, 1 ㎍/mL), PK (0.1, 1 ㎍/mL)에서 IL-6 생성량이 억제되었다. AA, CB, PK essential oil의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확인되었으며, 이에 아토피 피부염 완화에 기여할 수 있음을 기대한다.

감국, 산국 및 구절초꽃 캔디의 항산화활성과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rysanthemum indicum L., C. boreale M., and C. zawadskii K. Flowers Candies)

  • 이상훈;황인국;이하규;신소림;장영득;이철희;정헌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0호
    • /
    • pp.1406-1413
    • /
    • 2009
  •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열수추출물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캔디를 제조하고 이들의 품질특성과 항산화특성 및 관능특성을 조사하였다. 색도의 경우 추출물의 첨가량의 증가와 함께 L값(명도)은 감소하였고, a값(적색도)과 b값(황색도)은 증가하였다. pH의 경우 감국, 산국 및 구절초 캔디는 각각 5.81$\sim$5.92, 5.77$\sim$5.85 및 5.83$\sim$5.94로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으며, 산도는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수분함량도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용해도는 초기에 급격하게 증가하였으며, 경도는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전자공여능, 총 항산화력은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구절초 캔디가 각각 0.815$\sim$2.706 mg/g, 0.147$\sim$0.856 mg/g, 15.217$\sim$76.236% 및 0.514$\sim$3.167 mg AA eq/g으로 감국 및 산국 캔디보다 높았다. 관능평가 결과 색은 추출물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향의 경우 감국 캔디는 15% 첨가구, 구절초 캔디는 10% 첨가구에서 각각 5.20과 5.35로 높게 평가되었다. 맛의 경우 산국 캔디는 추출물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감국과 구절초 캔디의 경우는 10% 첨가구에서 각각 5.30과 5.60으로 높게 나타났다. 조직감은 경도가 낮을수록 낮은 점수를 얻었다.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감국과 구절초 캔디의 경우 10% 첨가구에서 각각 5.75와 6.00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으나, 추출물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은 점수를 받았다.

Three Different Viruses Isolated from Typical Weed Plants that Grown Adjacent to Common Crop Fields

  • Kwon, Sun-Jung;Choi, Hong-Soo;Han, Jung-Heon;La, Yong-Joon;Kim, Kook-Hyung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6권6호
    • /
    • pp.297-305
    • /
    • 2000
  • Weeds are widely grown in the field and are infected by many viruses. A survey was conducted to identify viruses infecting weeds in Korea. Virus-infected weed samples including Rorippa indica (L.) Hiern, R. islandica (Oed.) Bord, Crepidiastrum denticulatum (Houtt.) Pak & Kawanno,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and Chrysanthemum boreale (Makino) Makino were collected in Kyonggi Province. These weeds were grown in the greenhouse and were isolated on 10 test plants. Several virus isolates were isolated fron infected tissues and were further studied by host range assay, serological test, electron microscopy (EM), 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and sequencing. Each isolated virus strain was mechanically transmitted to weeds and various hosts including Nicotiana spp., Brassica spp., Vigna unguiculata, Capsicum annuum, and Cucumis sativus and showed systemic mosaic, vein clearing, necrosis, mottle, malformation, chlorosis, and/or death of host plants in some cases. Each virus was then purified using infected leaves and observed by EM. From these results three viruses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Turnip mosaic virus (TuMV), Broad bean wilt virus (BBWV), and Cucumber mosaic virus (CMV). RT-PCR using virus-specific oligonucleotide primers and the cloning were conducted to determine the nucleotide sequences of coat proteins of the three viruses their amino acid sequence were deduced. The amino acid sequence homologies were about 92.7 to 99.7%, 96.2 to 97.7%, and 93.9 to 98.6% to other reported TuMV, BBWV, and CMV strains,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many weeds may serve as primary inoculum source of diseases caused by TuMV, BBWV, CMV and that the management of these viral diseases can be achieved through weed control.

  • PDF

야생화 개발을 위한 전라북도 지역산 자원식물 조사 (A study on Resource Plant from Chollabuk-do Area for Developing Wild Flower)

  • 길봉섭;김영식;김창환;최성규;이종일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3-49
    • /
    • 1999
  • 전라북도 지역내에 분포하고 있는 야생초목화를 개발하기 위한 자원식물을 조사하였다. 본 조사결과 봄철에 꽃피는 식물은 131종류(전체의 34.7%), 여름에는 219종류(58.1%), 가을에 25종류(6.6%) 그리고 겨울에는 2종류(0.5%)이었고, 봄부터 겨울까지 피는 꽃의 색깔은 모두 26종류로 다양했으며 가장 많은 꽃색은 백색으로 전체의 28.9%, 그다음은 황색 20.7%, 자주색 16.4%, 홍자색 7.9%의 순으로 나타났다. 시군지역별로 많이 심고있는 야생화는 애기똥풀, 원추리, 붓꽃, 산철쭉, 진달래, 할미꽃, 구절초, 민들레, 산국, 맥문동, 석산 등을 들 수 있다. 야생하고 있는 식물을 채취하여 그대로 시판하고 있는 식물은 26종류로 조사되었는데 보춘화, 원추리, 석산, 구절초가 그 대표적인 예에 속한다. 우리나라 야생화를 외국에 반출당하지 않고 개량하여 우수상품으로 만들 대상으로는 총 343종이며 국화과 식물 41종류, 장미과 25종류, 백합과 20종류 그리고 미나리아재비과 18종류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앞으로 보호해야 할 대상으로는 창포, 광릉요강 꽃, 개불알꽃, 새우난초, 금낭화, 호랑가시나무, 노각나무, 송악, 미선나무, 산개나리, 자주꽃방망이 등이다. 이들은 식물수가 격감되어서 희귀상태이거나 멸종위기 또는 학술상 중요하기 때문이다. 전북지역에는 식물분포상 남방인자와 북방인자가 섞여 분포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풍부하고 다양한 야생화 자원식물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이의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