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ic injury

검색결과 619건 처리시간 0.022초

Identification of Specific Gene Modules in Mouse Lung Tissue Exposed to Cigarette Smoke

  • Xing, Yong-Hua;Zhang, Jun-Ling;Lu, Lu;Li, De-Guan;Wang, Yue-Ying;Huang, Song;Li, Cheng-Cheng;Zhang, Zhu-Bo;Li, Jian-Guo;Xu, Guo-Shun;Meng, Ai-M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0호
    • /
    • pp.4251-4256
    • /
    • 2015
  • Background: Exposure to cigarette may affect human health and increase risk of a wide range of diseases including pulmonary diseases, such as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OPD), asthma, lung fibrosis and lung cancer. However, the molecular mechanisms of pathogenesis induced by cigarettes still remain obscure even with extensive studies. With systemic view, we attempted to identify the specific gene modules that might relate to injury caused by cigarette smoke and identify hub genes for potential therapeutic targets or biomarkers from specific gene modules. Materials and Methods: The dataset GSE18344 was downloaded from the Gene Expression Omnibus (GEO) and divided into mouse cigarette smoke exposure and control groups. Subsequently, weighted gene co-expression network analysis (WGCNA) was used to construct a gene co-expression network for each group and detected specific gene modules of cigarette smoke exposure by comparison. Results: A total of ten specific gene modules were identified only in the cigarette smoke exposure group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Seven hub genes were identified as well, including Fip1l1, Anp32a, Acsl4, Evl, Sdc1, Arap3 and Cd52. Conclusions: Specific gene modules may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molecular mechanisms, and hub genes are potential candidates of therapeutic targets that may possible improve development of novel treatment approaches.

백서의 척수신경결찰모델에서 Morphine의 투여가 항이질통 효과와 척수 α2 아드레날린계 수용체 아형 mRNA 발현에 미치는 영향 (The Antiallodynic Effect and the Change of the α2 Adrenergic Receptor Subtype mRNA Expression by Morphine Administration in a Spinal Nerve Ligation Rat Model)

  • 정규연;신상욱;권수아;김태균;백승훈;백승완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2권1호
    • /
    • pp.21-27
    • /
    • 2009
  • Background: The neuropathic pain arising from nerve injury is difficult to treat and the therapeutic effects of opioid drugs remain debatable. Agonists acting at the ${\alpha}_2$ adrenergic and opioid receptors have analgesic properties and they act synergistically when co-administered in the spinal cord. The lack of subtype-selective pharmacological agents has previously impeded the synergistic effects that are mediated by the adrenergic receptor subtypes. Methods: We created neuropathic pain model by ligating the L5 spinal nerve in Sprague-Dawley rats (n = 18). We divided the rats into three groups (n = 6 for each group), and we administered intraperitoneal morphine (1 mg/kg, 3 mg/kg, 5 mg/kg) and then we measured the mechanical allodynia with using von-Frey filaments for 8 hours. We then injected morphine (5 mg/kg) intraperitoneally, twice a day for 2 weeks. We measured the tactile and cold allodynia in the morphine group (n = 9) and the saline group (n = 9). After 2 weeks, we decapitated the rats and harvested the spinal cords at the level of lumbar enlargement. We compared the ${\alpha}_2$ subtype mRNA expression with that of control group (n = 6) by performing real 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TPCR). Results: Intraperitoneal morphine reduced the neuropathic pain behavior in the dose-dependent manner. Chronic morphine administration showed an antiallodynic effect on the neuropathic pain rat model. The rats did not display tolerance or hyperalgesia. The expression of the mRNAs of the ${\alpha}_{2A}$, ${\alpha}_{2B}$, ${\alpha}_{2C}$ subtypes decreased, and morphine attenuated this effect. But we could not get statistically proven results. Conclusions: Systemic administration of morphine can attenuate allodynia during both the short-term and long-term time course. Morphine has an influence on the expression of ${\alpha}_2$ receptor subtype mRNA. Yet we need more research to determine the precise effect of morphine on the ${\alpha}_2$ subtype gene expression.

스포츠 손상 후 비골건 봉합술 (Peroneal Tendon Repair in Sports Injury)

  • 양기원;박기철;황지선;이홍섭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00-104
    • /
    • 2019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linical outcomes and assessed the average time to return to play following a peroneal tendon repair in Korean athletes.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March 2004 and February 2017, a total of 30 athletes underwent peroneal tendon repair for a peroneal tendon tear. The indications of surgical treatment were chronic pain or intractable symptoms after a previous ankle sprain affecting sports activity refractory to conservative treatment for at least six months. The patient underwent tubulization for a longitudinal tendon rupture. Peroneus longus to peroneus brevis tenodesis was performed when tendon repair was impossible due to total rupture or multiple longitudinal rupture. Results: Twenty patients not includ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sufficient follow-up, previous surgery, and additional bone surgery. All 10 patients had a previous ankle sprain history, tenderness and swelling on the retromalleolar area. In the 10 patient population, there were five peroneus brevis tendon tears, three peroneus longus tendon tears, one peroneus longus and brevis tendon tear, and one peroneus brevis and superior peroneal retinaculum tear. In the 10 patients, six cases of peroneal brevis tendon repair and four cases of peroneal longus to brevis tenodesis were performed. The preoperative American Orthopaedic Foot and Ankle Society score was improved from a mean of 60.6 (standard deviation [SD], 8.64) to a mean of 90.2, postoperatively (SD, 4.4; p<0.012). The preoperative visual analogue scale was improved from a mean of 5.43 (SD, 1.2) to 0.5 (SD, 0.16), postoperatively (p<0.023). The mean length of time to return to play was 12.2 weeks (range, 8~16 weeks). Conclusion: Peroneal tendon tear can occur due to sports injuries. If there is tenderness at the retromalleolar area, the surgeon should consider a peroneal tendon lesion. Surgical repair of the peroneal tendon can be an effective treatment to help athletes to return to play.

프로 축구팀의 시즌 전 체력검사 (Pre-seasonal Physical Examination of Professional Soccer Team)

  • 이경태;최병옥
    • 대한정형외과스포츠의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29-134
    • /
    • 2006
  • 목적: 국내 프로 축구팀에서 시즌 전 체력검사를 시행하여 포지션에 따른 자료를 분석하고 표준화하고자 했다. 대상 및 방법: 34명으로 구성된 한 개의 축구팀을 대상으로 시행하였으며 평균 나이 24.9세였다. 설문지를 통한과거 병력 조사, 이학적 검사를 통한 근 골격계 검사, 등속성 근력기기를 이용한 근력 검사, 생리적 검사, 기능적 검사를 시행하고 포지션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과거력 상 슬관절 손상이 23예 중 11 예(47%)로 가장 빈번했고, 이학적 검사 결과 총 40예 중 족관절 손상이 14예 (46%)로 슬관절 손상 11예 (24%)보다 많은 손상이 있었다. 위치 별로 공격수는 장무지 굴곡 건염, 미드필드는 만성 족관절 불안정성 수비수는 아킬레스 건염이 많았고 근력 검사상 우세 $60^{\circ}$ 신전/굴곡 체중당 최대 염력비 평균이 55.1%였다. 생리학적 검사상 미드필드 체 지방율이 17.8% (표준편차 2.9)로 높게 측정되었고 기능적 검사 결과 배근력 125.5N (표준편차 28.3), 서전트 점프 59.6cm, 반응시간 208 5초, 유연성 19.2 m/s, 사이드 스텝 39.9 cm였다. 결론: 시즌 전 체력검사를 통하여 선수들의 체력을 평가하고 이를 기초로 하여 재 손상에 대한 예방적 수단을 강구 할 수 있다.

  • PDF

부식성 하인두 협착시 식도재건술 (Esophageal Reconstruction for Hypopharyngeal Stricture After Severe Corrosive Injury)

  • 변정욱;구본일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0권1호
    • /
    • pp.48-54
    • /
    • 1997
  • 본 인제대학교 의과대학 흉부외과학교실 서울백병 원에서는 1986년 10월부터 1995년 12월까지 부식제 의 음용으로 하인두와 식도 입구부터 심한 협착이 발생한 1 1례의 환자에서 하인두의 양배꼴동에 대용식 도를 문합하는 식도재건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남자 7례, 여자 4례로 모두가 성인으로 연령은 21세 에서 47세까지로 평균 34세였다. 식도협착의 원인이 된 부식제는 산성이 6례: 알칼리성이 5례였다. 이들의 부식제 음용 동기는 자살 목적이 9례였 고, 사고로 인한 경우가 2례였다. 부식제의 음용후 최종적으로 식도재건술까지의 기간은 4개월에서 부 터 21년까지 였다. 식도재 건술시 이용한 대용식도는 9례에서는 우측 결장을 사용하였고, 2례는 이 전에 우측 결장을 이용한 식도재건술이 실패한 상태여서 좌측 결장을 사용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식도 절제술은 하지 않았고 결장은 흉골하로 거상하였다. 경부 문합은 환자의 머리를 똑바로 놓은 상태에서 경부에 J형태로 피부를 절개하고 흉골설골, 갑상설 골근을 절단하고 갑상연골의 연골막을 박리하여 감상연골을 역삼각형모양으로 부분절제하고 양배꼴동을 열고 결장과 단단문합하였다. 수술 직후 類觀隙\ulcorner환자는 음식물을 삼킬 때 연하곤란과 기도내로 음식물이 넘어가 고형 음식물로 삼키는 훈련이 필요하였다. 수술 후 발생한 합병증은 대용식도의 괴사가 3례가 발생하여 유리공장을 이식하였다. 3례에서는 경부 문합부위에 협착이 있어 2례에서 상부문합부위를 확장하였고 1례에서는 유착띠제거술을 시행하였으며 모두 협착이 해소되었다. 수술 후 외래 추적관찰에서 10례에서는 정상적으 로 음식물을 삼킬 수 있었고 유리공장을 사용하여 2차수술을 시행한 1례는 유리공장의 괴사로 3차수술 을 기다리고 있다.

  • PDF

요로감염 환아에서 신실질내 역류의 임상적 의의 (Clinical Significance of Intrarenal Reflux in Children withUrinary Tract Infection)

  • 임범택;이해상;배기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12권2호
    • /
    • pp.186-193
    • /
    • 2008
  • 목 적 : 신실질내 역류란 소변이 신우에서 신세뇨관으로 역류하는 것을 의미하며 소아에서 신손상을 초래하여 신반흔, 고혈압, 단백뇨, 만성신부전등을 일으킨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방관 요관 역류가 있으면서 신실질내 역류가 있는 환아군과 신실질내 역류가 없는 환아군을 비교 분석하여 신실질내 역류의 임상적 특성에 대하여 알아 보고자 한다. 방 법: 2004년부터 2006년까지 요로감염으로 아주대병원 소아과에 내원한 환아중 배뇨성 방광 요관조영술을 시행하여 3단계 이상의 방광요관역류가 있었던 환아 80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환자는 신실질내 역류의 유무에 따라 두 군으로 분류하여 신실질내 역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비교 조사하였다. 결 과: 3단계 이상의 방광요관 역류가 있는 환아 80명중 17명이 신실질내 역류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신실질내 역류가 있는 군에서 진단 당시 나이, 역류등급, 단백뇨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성별, 추적검사에서 호전율, 말초혈액 백혈구수, C-반응단백, 요중 백혈구 수, 농뇨 지속기간에서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신실질내 역류의 위치와 DMSA 스캔의 광자 결손의 위치가 대부분에서(82.35%) 일치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결 론: 방광요관역류에 의하여 발생된 요로감염 환자에서 신실질내 역류가 있는 경우 나이가 적었으며, 방광요관역류의 정도가 심하고, 단백뇨가 많이 검출되었다. 또한 신스캔상 신손상의 빈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다. 한편 추적영상검사를 하였을 때, 신실질내 역류에 관계없이 대다수 환아에서 진단당시 보였던 방광요관역류나 신손상 소견이 대부분 호전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염증 반응과 수면 장애 (Inflammation and Insufficient or Disordered Sleep)

  • 이석준;김진관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97-104
    • /
    • 2015
  • 수면현상은 인간의 삶의 1/3을 차지하는 중요한 생리적 현상으로 인간의 수면은 신체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한 중요한 생리적 기능뿐 아니라 수면을 통한 휴식을 통하여 신체 건강을 유지하고 성장을 유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최근의 급격한 산업화와 정보화로 인하여 급격한 사회 생활구조의 변화를 유발하여 성인뿐 아니라 소아에서도 평균수면 시간의 감소와 다양한 스트레스 환경으로 인한 수면의 질적 저하로 인한 다양한 수면 문제가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단순히 수면 부족 또는 수면의 질적 저하뿐 아니라 수면 장애, 특히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은 심혈관 질환뿐 아니라 비만, 대사증후군, 심혈관 질환, 뇌혈관 질환 등 의 다양한 만성 질병의 발생과 깊은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특히 이러한 만성질환을 유발하는 핵심기전으로 염증 반응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따라서 수면 현상과 다양한 수면 장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비록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이러한 질병의 이환에 대한 기전은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핵심 기전으로 알려진 염증반응의 활성화가 병태 생리학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따라서 최근 수면 무호흡증을 낮은 수준의 만성 염증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더불어 비만과 수면무호흡증으로 인한 연관된 질병의 이환을 더욱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따라서 본 종설에는 수면의 질적 또는 양적 저하뿐 아니라 폐쇄성 수면 무호흡증으로 인한 염증성 반응의 활성화가 인간의 신체 면역 과정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최근의 연구 결과 및 수면 무호흡증과 비만의 잠재적 상호작용에 대하여 서술하고자 한다

가토 악하선 도관 절단술 및 결찰술 후 근상피세포의 변화 (THE CHANGE OF MYOEPITHELIAL CELL AFTER LIGATION AND CUT OF SUBMANDIBULAR GLAND DUCT IN RABBIT)

  • 윤원석;김철환;김경욱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2권2호
    • /
    • pp.81-93
    • /
    • 2006
  • Obstructive sialadenitis is one of common disease in salivary gland, and most common histologic features are loss of acinar cell and ductal dilatation associated with fibrosis, and infiltration of inflammatory cells. Although many experimental studies has been accomplished for the salivary acinar cell change in obstructive salivary gland disease, studies for myoepithelial cell were deficient. This study is designed for salivary gland tissue change, especially myoepithelial cell when nonspecific chronic sialadenitis or salivary duct injury by duct obstruction or cut can be occurred that is common encounted clinically. After ligation and cutting of submandibular gland of rabbit, groups of aminmal were sacrificed at 1, 2, 4 weeks postoperatively, submandibular gland were removed. The histopathologic evaluation was done with light microscopy. And, with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alpha}$-smooth muscle actin, characteristics of myoepithelial cell were examined.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ultrastructure of myoepithelial cell were examined for distribution and ultrastructure of myoepithelial cell.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In the histopathologic evaluation, ligation and cutting group of 1 week, linkage of myoepithelial cell associated with acinar atrophy and degeneration were disappeared in both group. 2. More prominent squamous metaplasia was seen in acinar cells of ligation group of 2 weeks experimental rabbit than cutting group. 3. Acinar cells are nearly disappeared in both ligation and cutting group of 4 weeks, and myoepithelial cell also disappeared associated with acinar cell atrophy, and duct-like structure composed by squamous cells by squamous metaplasia in acinar cells were distributed. 4. In immunohistochemical study, both ligation and cutting group ${\alpha}$-SMA distribution were diminished at 1 week experimental rabbits, but myoepithelial cell was more diminished in ligation group than cutting group, which were distributed around cells of squamous metaplasia. 5. Nuclear condensation, chromosome margination, and cytoplasmic vaculoation were appeared in myoepithelial cell of both cutting and ligation group after 1 week with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But degenerative substance were seen in cytoplasm of myoepithelial cell of ligation group of 4 weeks. From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atrophy and degeneration of myoepithelial cell was more prominent in duct ligation group than duct cutting group, and myoepithelial cells were seen around cells squamous metaplasia of acinar cell.

The Anti-Fibrogenic Effect of a Pharmaceutical Composition of[5-(2-Pyrazinyl)-4-methyl-1,2-dithiol-3-thione] (Oltipraz) and Dimethyl-4,4′-dimethoxy-5,6,5′,6′-dimethylene dioxybiphenyl-2,2′-dicarboxylate (DDB)

  • Kang, Keon-Wook;Kim, Yoon-Gyoon;Kim, Choon-Won;Kim, Sang-Geon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25권5호
    • /
    • pp.655-663
    • /
    • 2002
  • Liver fibrosis is a prepathological state wherein damaged liver tissues in chronic liver diseases, such as hepatitis, are not repaired to normal tissues, but converted to fibrous tissue. 5-(2-Pyrazinyl)-4-methyl-1,2-dithiol-3-thione (oltipraz), a cancer chemopreventive agent, is effective against a wide variety of chemical carcinogens. Recently, we reported that oltipraz inhibits liver fibrogenesis (Kang et al., 2002). In the present study, the effects of oltipraz in combination with dimethyl-4,4'-dimethoxy-5,6,5',6'-dimethylene dioxybiphenyl-2,2'-dicarboxylate (DDb) on dimethylnitrosamine (DMN)-induced liver fibrogenesis were assessed in rats. Oltipraz (30 mg/kg body weight, po,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was found to inhibit the increases in plasma ALT, AST and bilirubin by DMN, whereas DDB (30 mg/kg body weight, po, 3 times per week for 4 weeks) attenuated the increases in the plasma ALT and bilirubin. The lowered plasma protein and albumin contents in DMN-treated rats were completely restored by oltipraz, but not by DDB. DDB decreases liver cell injury and inflammation through inhibition of nuclear factor-kB. DMN increased the accumulation of liver collagen, as indicated by the increase in the 4-hydroxyproline content in liver homogenates, which was reduced by treatment with oltipraz, but not by DDB. Given the differential effect between oltipraz and DDB, the potential enhancement of antifibrotic efficacy by the drugs was assessed in the animal model. Despite the minimal effect of DDB on DMN-induced fibrogenesis, DDB (5-25 mg/kg), administered together with oltipraz (25-5 mg/kg), showed an additive protective effect against hepatotoxicity and fibrosis induced by DMN, which was shown by the blood chemistry parameters and histopathological analysis. The adequate composition ratio of oltipraz to DDB was 5:1. These results provide information on the 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of oltipraz and DDB as the active components, for the treatment and/or prevention of liver fibrosis and cirrhosis.

골화성 근염에 대한 고찰 (Review of Myositis Ossificans)

  • 배성수;박래준;한동욱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2권2호
    • /
    • pp.255-265
    • /
    • 2000
  • 정상적인 골 조직에서의 성장과는 달리 연부조직에 2차적으로 비정상적인 골 조직이 신생되면서 골화되는 현상을 골화성 근염 또는 화골성 근염이라고 하며, 연부조직에 생긴 골은 가장 안쪽에는 어떤 원인에 의해서 생긴 출혈 또는 괴사 조직의 주위를 섬유모세포가 둘러싸서 생긴 층이 있고, 그 다음으로 골모세포(osteoblasts)로 형성된 미성숙 골조직 충이 있으며, 마지막 주위의 결합조직과 명확한 경계를 이루는 성숙한 골 소주로 구성된 층이 있다. 골화성 근염은 그 원인이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나. 혈류의 정체로 인한 저산소증, 비정상적인 칼슘 대사, 미세한 외상의 반복 및 심한 외상, 장기간 고정, 유전적인 원인 등으로 각기 다른 양상의 골화성 근염을 형성할 수 있다. 골화성 근염이라는 단어는 1868년에 Von Dusch에 의해 처음 사용되어 명확한 구분 없이 연부조직에 생긴 비정상 골조직을 일컫는 말로 사용되어져 왔다. 하지만 골화성 근염이라 할지라도 발생 원인과 조직 변화 및 상태 등을 고려한다면 첫째로 선천성 기형과 전신이환을 동반하는 진행성 골화성 근염, 둘째로 신경근과 만성질병, 사지마비, 소아마비, 화상. 다발성 관염 . 파상풍을 가진 환자에게서 발생하는 골화성 근염인 이소성 골화증, 새 번째로 연부조직의 심한 손상 또는 반복적인 손상, 골절, 탈구, 열상 외과적 절개에 대한 부차적인 반응으로 나타나는 외상성 골화성 근염. 네 번째로 위의 세 가지 원인이 아닌 원인으로 발생하는 비외상성 골화성 근염으로 분명히 구분할 수 있다. 때문에 단순히 골화성 근염이란 단어로 연부조직에 생긴 비정상적인 골을 통칭하기보다는 지금까지 언급한 내용을 고려해 보다 구체적인 질환명 즉 골화성 근염이 진행성인지. 이소성인지. 외상성인지. 비외상성인지를 명확히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