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nic daily headache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19초

긴장성 두통이 있는 대학생들에게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와 연부조직 가동술이 압력통각역치, 바이오피드백, 뇌파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udio-visual Entertainment and Soft Tissue Mobilization on Pressure Pain Thresholds, Psychophysiological parameters, and Brain waves in University Students with Tension-type Headache)

  • 정대인;이은상;김현중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7호
    • /
    • pp.539-548
    • /
    • 2020
  • 긴장성 두통은 성인들에게 나타나는 두통 중 가장 흔한 일차성 두통이다. 장기간의 두통은 만성 두통을 야기시키고 일상생활에 큰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긴장성 두통의 병원성 요인과 심인성 요인의 관리에 적합한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와 연부조직 가동술을 통해 긴장성 두통에 기여하는 바를 비교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6개월 이상 간헐적 혹은 지속적인 두통을 호소한 자로 선정된 30명에서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군, 연부조직 가동술군,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와 연부조직 가동술군 각각 10명씩 배정하였다. 배정된 군에서는 사전검사 후 4주간 주 3회씩 총 12회의 중재를 받고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평가는 압력통각역치감각과 바이오피드백을 이용한 정신 생리학적 변수, 뇌파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과는 이요인 반복측정 분산분석을 통해 측정 시점에 따른 군간의 교호작용을 분석하였다. 압력통각역치 결과, 오른쪽 등세모근의 결과에서 교호작용이 나타났으며 (p<.05),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를 통한 중재군에서 가장 큰 증가의 폭을 보였다. 따라서 병원성 요인의 근육에 대한 직접적인 접근이 아닌 심리학적인 요소에 입각한 시청각적 엔터테인먼트를 통해 근육에 대한 통증역치에 긍정적인 영향이 보였지만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던 정신생리학적 변수와 뇌파에도 긍정적인 평균값의 변화량이 관찰되었다. 이를 통해 긴장성 두통의 관리에 있어 시청각적인 자극은 고려되어야 한다고 제언한다.

홍화약침 시술에 관한 임상논문 비교연구 (A Comparative Review on Carthmi-Flos Pharmacopuncture Treatment - Focused on Clinical Study)

  • 이수환;윤정원;김순중
    •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55-65
    • /
    • 2017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review is to analyze results of case studies and controlled studies about Carthmi-Flos pharmacopuncture. Based on the review, authors desire to suggest the study model including precise information and evident the effect of Carthmi-Flos pharmacopuncture objectively in treating clinical disorders. Methods We search 44 studies about Carthmi-Flos pharmacopuncture from 6 Korean web databases, using words 'Carthmi-Flos pharmacopuncture' in Korean alphabet. This study had been conducted throughout 1 month (July, 2017). We selected case studies and controlled trials in investigated 44 thesis, excluding experimental research and thesis not using the Carthmi-Flos pharmacopuncture for major treatment. Results We analyze 13 case reports and 7 controlled trials. As a result, Carthmi-Flos Pharmacopuncture was used mostly in musculoskeletal, neurological diseases. But this can be applied to internal diseases. Disorders reported effectively were carpal tunnel syndrome, degenerative knee joint arthritis, posterior neck pain, low back pain, radial nerve palsy, shoulder pain, lumbar compression fracture, alopecia areata, chronic daily headache, duverney fracture, oligomenorrhea, cervical disc herniation, rheumatoid arthritis and cervical headache. Conclusions As we analyzed, Carthmi-Flos pharmacopuncture is specifically effective in musculoskeletal and neurologic diseases. But there are various problems in study design. To design accurately, the study design should include much more specific information. And the result can be more precise by excluding other methods.

수면의 질과 구강 안면 통증의 관계 (Relationship of Orofacial Pain and Sleep Quality)

  • 이유미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1권1호
    • /
    • pp.91-99
    • /
    • 2006
  • 최근까지 수면과 stress 만성 동통에 관한 많은 석학들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만성적인 구강안면 통증의 조절에 있어 단지 치료실내의 치료만으로는 반응하지 않는 치과적 원인만이 아닌 중요한 다른 원인이 존재하는 다양한 임상 증례를 접함에 있어 만성 통증을 유발 할수 있는 수면 장애에 대해 조사하여 구강안면 통증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수면은 극히 개인적인 과정이며 같은 수면 양태를 지닌 사람은 거의 없다. 이렇듯 다양한 수면 양태를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이용하여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 잠복기, 수면 장애, 수면 효율, 수면제의 사용, 주간 기능 장애를 분석하여 총 수면 지수와 구강 안면 통증 양상을 연구하였다. 101명에게 PSQI 설문지와 behavioral pain scale을 이용하여 수면력과 두경부 통증과 통증의 확산, 두통과 수면, 통증에 대처 하는 방법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양호한 수면자와 불량 수면자에 따른 수면의 질 통증 환자군, 두통이 있는 군, 전신적 약 복용, 습관적으로 카페인 함유 음료를 마시는 대상에게서 수면 장애가 있음을 보여 주었고 불량 수면자에게서 두경부 통증과 통증의 확산, 운동시 통증 등의 빈도가 더 높았음을 보여주었다. 통증을 해소 하는 방법은 그냥 쉰다 등 으로 적극 적이지 못했으며, 추후 수면이 통증 해소에 도움이 될수 있는 지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Efficacy of Roflumilast in Bronchiectasis Patients with Frequent Exacerbations: A Double-Blinde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Pilot Clinical Trial

  • Juthong, Siwasak;Panyarath, Pattarapor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85권1호
    • /
    • pp.67-73
    • /
    • 2022
  • Background: Bronchiectasis patients with neutrophilic airway inflammation develop symptoms of chronic cough, sputum production, and recurrent exacerbations. Roflumilast has anti-inflammatory actions via decreased neutrophilic airway inflammation. The effectiveness of roflumilast to reduce bronchiectasis exacerbation has never been evaluated. Methods: We conducted a double-blinded, randomized, placebo-controlled trial. Our primary objective was to assess the effect of roflumilast compared with that of a placebo in reducing exacerbation rates in bronchiectasis patients. The secondary objectives were the changes in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 and St. George's Respiratory Questionnaire (SGRQ). Bronchiectasis patients older than 18 years who had had two exacerbations during the previous 12 months were randomly assigned to receive either 500 ㎍ of either roflumilast or a placebo once daily for 6 months in a 1:1 ratio. Results: Forty bronchiectasis patients who had experienced exacerbations were screened. Thirty patients completed the study after 6 months of treatment: roflumilast group (n=15) and placebo group (n=15). The rates of exacerbations were 0.57 and 0.59 per patient in the roflumilast and placebo groups, respectively. Prebronchodilator FEV1 increased by 0.07 L from baseline in the roflumilast group and decreased by 0.015 L in the placebo group,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the change of SGRQ scores between the roflumilast and placebo groups. Roflumilast had significant side effects, including loss of appetite and headache. Conclusion: Roflumilast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rate of exacerbations or quality of life. However, FEV1 tended to improve more in the roflumilast group than in the placebo group.

Evaluation of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s an adjunct therapy in trigeminal neuralgia - a 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clinical study

  • Bisla, Suman;Gupta, Ambika;Agarwal, Shalini;Singh, Harneet;Sehrawat, Ankita;Singh, Aarti
    • Journal of Dental Anesthesia and Pain Medicine
    • /
    • 제21권6호
    • /
    • pp.565-574
    • /
    • 2021
  • Background: Trigeminal neuralgia (TN) is a severe form of pain that affects the daily activities of a patient.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TENS) therapy is an emerging option for the treatment of acute and chronic pai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TENS therapy as an adjunct to drug therapy for the treatment of TN. Methods: A total of 52 patients diagnosed with TN according to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Headache Disorders (version 3) were included. Each patient was randomized to either the TENS or placebo TENS groups. Intervention was given in continuous mode and 100-Hz frequency for 20 mins biweekly for 6 weeks. Parameters were measured at baseline, TENS completion and 3 months, 6 months, and 1 year of follow up. The parameters observed were mean carbamazepine dose, mean visual analog scale (VAS) score, mean present pain intensity (PPI) score, and functional outcome. Non-parametric analyses, one-way ANOVA and the Kruskal-Wallis test were applied for intragroup comparisons, while the Mann-Whitney U test and independent t-test were used for intergroup comparisons of variables. The chi-square test was applied to analyze categorical data. Results: Compared to the placebo TENS group, the mean dose of carbamazepine in the TENS group was significantly reduced at TENS completion, as well as at 6 months and 1 year follow up. Changes in mean VAS score, mean PPI score, and functional outcom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P>0.05). Conclusion: TENS therapy does not lead to any changes in pain levels but it may reduce the mean dose of carbamazepine when used as an adjunct treatment in patients with TN.

세월호 재난 1년 후 유가족의 심리적, 신체적 건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Psychological and Physical Health of Families of Victims One Year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 고정경;한은진;신철민;이승훈;박솔아;안소라;고영훈
    • 정신신체의학
    • /
    • 제26권2호
    • /
    • pp.179-187
    • /
    • 2018
  • 연구목적 세월호 침몰 사고 1주기에 시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유가족들의 신체적 건강, 심리적 어려움, 일상 기능의 문제를 파악하고, 향후 재난 유가족들에 대한 지원 대책의 기틀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방 법 본 연구에서는 2015년 3월 22일부터 7일간 137명의 세월호 유가족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가보고식 설문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결 과 유가족 대부분이 심리적 어려움을 호소하였고, 95.4%가 새로 진단받거나 악화된 신체질환이 있었으며, 호소하는 심리적 어려움이 많을수록 소화기계, 근골격계, 산부인과계, 비뇨생식기, 심혈관계 질환과 만성 두통이 발생하거나 악화되는 경향을 보였다. 사고 전과 비교해 71.9%가 대인관계를 회피하였으며, 63.9%가 직장생활 복귀의 어려움을 보고하는 등 일상 기능에서도 어려움을 보였다. 결 론 재난 후에는 유가족들이 겪는 심리적 외상뿐 아니라 신체질환이나 일상 기능에 대해서도 세밀한 평가와 개입이 시행되어야 한다.

한국인의 만성 기관지염의 급성 악화 환자를 대상으로 한 Moxifloxacin 400mg 1 일 1회 요법과 Clarithromycin 500mg 1일 2회 요법의 치료효과 및 안전성 비교 (A Multicenter, Randomized, Open, Comparative Study for the Efficacy and Safety of Oral Moxifloxacin 400 mg Once a Day and Clarithromycin 500 mg Twice Daily in Korean Patients with Acute Exacerbations of Chronic Bronchitis)

  • 김승준;김석찬;이숙영;윤형규;김태연;김영균;송정섭;박성학;김호중;정만표;서지영;권오정;이신형;강경호;이이형;황성철;한명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6호
    • /
    • pp.740-751
    • /
    • 2000
  • 연구배경 : Moxifloxacin은 광범위한 미생물에 대한 뛰어난 효과, 안전한profile과 유리한 약물동력을 바탕으로 기존의 fluoroquinolones보다 한단계 진보된 약물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베타-락탐계 혹은 기타 항생제에 내성을 보이는 미생물들에 대해 매우 유효하다. Moxifloxacin은 특히 Streptococcus pneumoniae, Haemophilus influenzae, Moraxella catarrhalis, Chlamydia pneumoniae, Legionella spp. 그리고 Mycoplasma pneumoniae에 의해 유발되는 호흡기 감염에 특히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방법 : 다기관, 무작위, 공개, 비교시험으로 만성기관지염의 급성악화 환자를 대상으로 moxifloxacin 400 mg 1일 1회 7일 투여와 clarithromycin 500 mg 1일 2회 7일 투여 그룹간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비교하였다. 결과 : 170명의 환자 중에서 87명이 moxifloxacin 투여군 이었고 83명이 clarithromycin 투여군이었다. Moxifloxacin 투여군종에서 76명(세균학적 효과분석은 35명), clarithromycin 투여군중에서 77명(세균학적 효과분석은 31명)이 치료효과분석에 포함되었으며 모든 환자에서 안전성을 분석하였다. 임상적 성공율은 Moxifloxacin 투여군 76명중에서 70명(92.1%) 이었고 clarithromycin 투여군 77명중에서 71명(92.2%) 으로 유사하였다. 세균학적 Moxifloxacin 투여군이 73.5%, clarithromycin 투여군이 54.8% 으로 Moxifloxacin 투여군에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98). 내원시 시행한 객담의 세균 감수성 검사에서 moxifloxacin 투여군이 clarithromycin 투여군보다 Streptococcus pneumoniae, Pseudomonas aeruginosa, Klebsiella pneumoniae에서 높은 감수성을 보여주었다(p<0.001). 이상반응은 moxifloxacin 투여군 86명중에서 12.8% 에서 나타났고, clarithromycin 투여군 83명중에서 21.7%에서 발생하였다. 두통(4.7% vs 4.8%, 각각 moxifloxacin 투여군 vs clarithromycin 투여군)과 소화불량(2.3% vs 6.0%, 각각 moxifloxacin투여군 vs clarithromycin 투여군) 이 두 군에서 가장 흔한 이상 반응이었다. 결론 : 본 임상시혐의 결과, 만성기관지염의 급성악화 환자의 치료에 있어서 moxifloxacin 400 mg 1일 1회 7일간 요법은 clarithromycin 500 mg 1일 2회 요법과 비교할 때 임상적으로 동등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미생물학적으로 우월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