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lationship of Orofacial Pain and Sleep Quality

수면의 질과 구강 안면 통증의 관계

  • Lee, You-Mee (Department of Oral medicine, School of Dentistry, Wonkwang University)
  • 이유미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구강내과학 교실)
  • Published : 2006.03.30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about sleep quality and orofacial pain pattern between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101 subjec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without any psychologic and neurologic problem were selected from the patients presented to Wonkwang University dental hospital. Routine clinical examination for TMD was carried out, especially for the frequency of headache and the craniocervical muscles were also done by the author in the first visit. All the subject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that was, for the evaluation of sleep quality using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PSQI), and for the analysis of behavioral pain scale questionnaires. Data obtained were statistically processed by the SPSS Windows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Subjective sleep index, sleep latency, sleep disturbance, global score in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2. Subjective sleep index, sleep disturbance, global score in subject with headache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subject without headache(P<0.05). 3. Medicine taker have sleeping drug. Caffeine drinker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daytime dysfunction, global score than no drinker. 4. It have more frequent head and neck pain, pain spreading, daily life difficult in poor sleeper than good sleeper.

최근까지 수면과 stress 만성 동통에 관한 많은 석학들의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만성적인 구강안면 통증의 조절에 있어 단지 치료실내의 치료만으로는 반응하지 않는 치과적 원인만이 아닌 중요한 다른 원인이 존재하는 다양한 임상 증례를 접함에 있어 만성 통증을 유발 할수 있는 수면 장애에 대해 조사하여 구강안면 통증 환자의 진단과 치료에 있어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수면은 극히 개인적인 과정이며 같은 수면 양태를 지닌 사람은 거의 없다. 이렇듯 다양한 수면 양태를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이용하여 주관적 수면의 질, 수면 잠복기, 수면 장애, 수면 효율, 수면제의 사용, 주간 기능 장애를 분석하여 총 수면 지수와 구강 안면 통증 양상을 연구하였다. 101명에게 PSQI 설문지와 behavioral pain scale을 이용하여 수면력과 두경부 통증과 통증의 확산, 두통과 수면, 통증에 대처 하는 방법등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 양호한 수면자와 불량 수면자에 따른 수면의 질 통증 환자군, 두통이 있는 군, 전신적 약 복용, 습관적으로 카페인 함유 음료를 마시는 대상에게서 수면 장애가 있음을 보여 주었고 불량 수면자에게서 두경부 통증과 통증의 확산, 운동시 통증 등의 빈도가 더 높았음을 보여주었다. 통증을 해소 하는 방법은 그냥 쉰다 등 으로 적극 적이지 못했으며, 추후 수면이 통증 해소에 도움이 될수 있는 지에 따른 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Keywords

References

  1. Marieb EN.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6th ed.,Pearson Benjamin cummings publishing Co.,pp. 458-460
  2. 최하석, 왕성근. The St. Mary's Hospital(SMH) Sleep Questionnaire의 한국형 표준화와 연령에 따른 수면 양상의 비교. 정신신경의학 1994;33(5) 1095-1104
  3. 지익성, 신석철. 정상성인에서 부분적 수면 박탈이 수면구조 및 졸리움과 피로감에 미치는 영향.충남의대잡지 1993;20(2) 267-281
  4. 진혁희. 교대근무자에서 사회정신의학적 특성, 수면 양상 및 신체 증상에 관한 연구. 순천향의대 논문집 2000;6(2) 343-354
  5. 양창국.수면장애의 진단과 치료.제2판.,하나의학사., pp. 27-29, pp.50-55,pp.227-231
  6. Carola R, Haley JP, Nobaeb CR. Human anatomy and physiology. international editional 2nd ed., McGraw-Hill Inc.,pp.419-421
  7. Okesson JP, Bell WE. Bell's orofacial pains:The clinical management of orofacial pain. 6th ed., 2005, Quintessence books.,p.9,pp.539-541
  8. Okeson JP. 악관절 장애와 교합의치료., 5th ed.,서울, 2004, 대한나래의학출판사.,pp.140-168
  9. 오민정, 한경수.스트레스에 의한 구강안면증상의 발현에 관한 역학적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97;22(2);359-371
  10. Buysse DJ, Reynolds CF, Monk TH, Berman SR, Kupfer.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A New Instument for Psychiatric Practice and Research. Psychiatry Research 1988; 28:193-213
  11. 고명연, 김영구. MMPI를 중심으로 한 악관절 기능장애 환자의 인성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5;10(1);17-31
  12. 박준상, 고명연. SRRS를 이용한 측두하악 장애 환자의 생활 변화에 관한 연구. 대한구강내과학회지 1987;12 (1);63-74
  13. Kydd WL.Psychosomatic aspect df temporomandibular joint dysfunction. JADA 1959;59;31
  14. 서만옥. 수면과 두통. 수면/정신 생리. 1999;6(2);106-109
  15. Henderson, M, Tannock C, et al. Sleep and chronic pain challenges to the a-EEG sleep pattern as a pain specific sleep anomaly. J of psychosomatic research 2004;56(2);255-256 https://doi.org/10.1016/S0022-3999(03)00596-8
  16. Bailey DR. Sleep Disorders: Overview and Relationship to Orofacial Pain. Dental clinics of North America 1997;41(2);189-210
  17. 김철진.렘수면 행동장애. 생물치료. 정신의학 2000;6(2) 260-269
  18. Sahota PK, Dexter JD. Sleep and headache syndrome;A clinical view. Headche;1990;30;80-84 https://doi.org/10.1111/j.1526-4610.1990.hed3002080.x
  19. Moss RA, McClure JT, Jackson MC. The influence of sleep duration on headache pain and frontalis EMG. J Oral Rehabil; 1987;14;331-335 https://doi.org/10.1111/j.1365-2842.1987.tb00726.x
  20. Haythomthwaite JA, Hegel MTP, Kerns RDP. Development of a sleep diary for chronic pain patient. J apin symptom Manage 1991;6;65-72 https://doi.org/10.1016/0885-3924(91)90520-E
  21. Dexter JD, Weiyzman ED. the relationship of nocturnal headache to sleep stage patterns. Neurology 1970;20;513-518 https://doi.org/10.1212/WNL.20.5.513
  22. 김미혜, 한경수, 박미성.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를 이용한 측두하악 장애 환자의 수면의 질에 관한 연구.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2;27(1);89-105
  23. 임현대, 한경수, 이정현.두통 및 경부통의 빈도, 근압통, 수면의 질과 심리적 상태, 간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대한구강내과학회지 2002;27(4);475-485
  24. Stralanyl DJ, Copeland ME. Fibromyalgia & chronic myofascial pain. 2nd ed., 2001, New Harbinger Publications Inc.,pp.119-123
  25. Cohen MJ et al. Sleep in chronic pain: problems and treatments. international review of psychiatry 2000;12(2);115-127 https://doi.org/10.1080/09540260050007435
  26. Memefee LA, Frank ED, Doghramji K et al. Self-reported sleep quality of life for individuals with chronic pain conditions. Clin J pain 2000;16;290-297 https://doi.org/10.1097/00002508-200012000-00003
  27. Robinson ME et al. Psychosocial contributions to sex-related differences in pain response. Sex, Gender, and Pain, Progress in Pain research and management 2000;17;41-68
  28. 강승걸, 윤호경,함병주.대학생에서 스트레스가 수면에 미치는 영향. 수면.정신생리 2002; 9(1);48-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