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mosome marker

검색결과 233건 처리시간 0.035초

Fine Mapping of the Rice Bph1 Gene, which Confers Resistance to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Stal), and Development of STS Markers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 Cha, Young-Soon;Ji, Hyeonso;Yun, Doh-Won;Ahn, Byoung-Ohg;Lee, Myung Chul;Suh, Seok-Cheol;Lee, Chun Seok;Ahn, Eok Keun;Jeon, Yong-Hee;Jin, Il-Doo;Sohn, Jae-Keun;Koh, Hee-Jong;Eun, Moo-You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6권2호
    • /
    • pp.146-151
    • /
    • 2008
  • The brown planthopper (BPH) is a major insect pest in rice, and damages these plants by sucking phloem-sap and transmitting viral diseases. Many BPH resistance genes have been identified in indica varieties and wild rice accessions, but none has yet been cloned. In the present study we report fine mapping of the region containing the Bph1 locus, which enabled us to perform marker-aided selection (MAS). We used 273 F8 recombinant inbred lines (RILs) derived from a cross between Cheongcheongbyeo, an indica type variety harboring Bph1 from Mudgo, and Hwayeongbyeo, a BPH susceptible japonica variety. By random amplification of polymorphic DNA (RAPD) analysis using 656 random 10-mer primers, three RAPD markers (OPH09, OPA10 and OPA15) linked to Bph1 were identified and converted to SCAR (sequence characterized amplified region) markers. These markers were found to be contained in two BAC clones derived from chromosome 12: OPH09 on OSJNBa0011B18, and both OPA10 and OPA15 on OSJNBa0040E10. By sequence analysis of ten additional BAC clones evenly distributed between OSJNBa0011B18 and OSJNBa0040E10, we developed 15 STS markers. Of these, pBPH4 and pBPH14 flanked Bph1 at distances of 0.2 cM and 0.8 cM, respectively. The STS markers pBPH9, pBPH19, pBPH20, and pBPH21 co-segregated with Bph1. These markers were shown to be very useful for marker-assisted selection (MAS) in breeding populations of 32 F6 RILs from a cross between Andabyeo and IR71190, and 32 F5 RILs from a cross between Andabyeo and Suwon452.

한국인 남자에서 Synapsin III 유전자의 D22S280 표지자와 정신분열병의 연합연구 (No Associations between Schizophrenia and D22S280 Marker on Synapsin III Gene in Korean Males)

  • 이유상;박종원;이승연;이석진;박용범;신윤식;유장근;홍경수;양병환
    • 생물정신의학
    • /
    • 제13권4호
    • /
    • pp.260-266
    • /
    • 2006
  • Objectives : Synapsin III near VCFS region on chromosome 22q affects. It could be an interesting candidate gene for schizophrenia. D22S280 is a highly polymorphic genetic marker residing in synapsin III. We examined association of D22S280 marker on synapsin III with Kore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 The subjects were 46 male Korea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nd 60 male normal controls. Using polymerase chain reaction, gel electrophoresis, ABI 310 genetic analyzer, and GeneScan Collection 3.1 software, we confirmed genotypes of D22S280 marker. We examined Hardy-Weinberg equilibrium and case-control association using SAS/Genetic 9.1.3. Results : Genotypes of both schizophrenia and control groups were in Hardy-Weinberg equilibrium. We could not find an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allele-wise(${\chi}^2$=10.4, df=6, p=0.098) and genotype-wise (${\chi}^2$=22.1 df=19, p=0.258) analyses of D22S280 marker between schizophrenia and normal controls. Individual allele analyses with df=1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1(p=0.025) and A7(p=0.034) allele, which were not significant following Bonferroni corrections(A1:p=0.177, A7:p=0.235). Conclusion : We couldn't find any association between schizophrenia and the synapsin III gene. Given the small number of subjects studied, further investigations are needed.

  • PDF

Genomic and Transgenic Approaches to Modified Plants: Disease Resistance in the Brassica as a Model System.

  • Ekuere, Usukuma;Good, Allen G.;Mayerhofer, Reinhold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17-323
    • /
    • 2000
  • Molecular genetic techniques can now be applied to the development of advanced plant genotypes, either through genetic transformation or genomic approaches which allow researchers to transfer specific traits using molecular markers. In this paper, we discuss the use of these techniques towards understanding the genetics of blackleg resistance in Brassica. In a comparative mapping study between Arabidopsis thaliana and Brassica napus, 6 R-ESTs, 7 B. napus RFLP markers and a B. napus EST were located in a collinear region of N7 (B. napus) and chromosome 1 (A. thaliana). One of the A. thaliana R-ESTs and 4 of the B. napus RFLPs co-segregated and mapped to the LmRl locus for blackleg resistance. Introgression of blackleg resistance from wild relatives is also investigated with the possibility of accelerating the introgression process via marker assisted selection.

  • PDF

Survivin as a Potential Target for Cancer Therapy

  • Soleimanpour, Elaheh;Babaei, Esmaeil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5호
    • /
    • pp.6187-6191
    • /
    • 2015
  • In 1997 for the first time, survivin was described by Amborsini et al. as an anti-apoptotic protein. Subsequent studies revealed that survivin is a multifunctional protein that plays critical roles in several crucial cell processes such as apoptosis, cell cycle, chromosome movement, mitosis and cellular stress responses. Moreover, it's overexpression in cancer cells versus normal cells is associated with chemotherapy resistance, increased tumor recurrence, and shorter patient survival. All of these features make survivin a promising target for cancer therapy. Here, we review the potential characteristics of survivin as a tumor marker.

Synchronous Bilateral Breast Carcinoma in a Patient with Cowden Syndrome with PTEN Mutation: A Case Report

  • Kwon, Sun Young;Yeo, Soo Hyun;Ha, Jung Sook;Kang, Sun Hee
    • Journal of Breast Disease
    • /
    • 제6권2호
    • /
    • pp.79-83
    • /
    • 2018
  • Cowden syndrome (CS), also known as multiple hamartomas syndrome, is a rare hereditary autosomal dominant disorder caused by a germline mutation in the phosphatase and tensin homolog (PTEN) gene mapped on chromosome 10. The clinical features of CS are variable, primarily presenting as mucocutaneous lesions (99%). A mucocutaneous lesion, such as trichilemmoma of the face or keratosis of the extremities, is an important diagnostic marker for CS. CS has been reported to increase the incidence of benign and malignant neoplasms in the breast, thyroid, and gastrointestinal tract. The risk of developing malignancy in individuals with CS is up to 10 times higher than general population throughout an entire life time.

벼 종간잡종 유래 근동질 유전자계통 이용 종자중 관여 유전자 분석 (Mapping Grain Weight QTL using Near Isogenic Lines from an Interspecific Cross)

  • 강주원;양바오로;윤여태;안상낙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3권4호
    • /
    • pp.304-310
    • /
    • 2011
  • 1. 선행 연구에서 염색체 3번의 RM60~RM231 부근에서 종자중, 수당립수에 관여하는 QTL이 탐지되었고, 이를 확인하기 위하여 이 지역에 크기와 위치가 다른 O. glaberrima 단편이 이입된 5 계통을 선발하여 표현형을 조사하였다. 실험 결과 계통별로 출수기, 임실률, 수당립수, 종자중을 제외한 형태적 특성들이 밀양23호와 비슷한 양상을 보였다. 이는 대부분의 염색체 지역이 밀양23호로 회복되었기 때문이라고 보여진다. 2. 유전자의 위치를 자세히 알기 위해 RM60과 RM22 부위에 위치하는 SSR 마커를 이용하여 5개 계통의 유전자형을 검정하였다. 종자중과 수당립수에서 차이를 보이는 4계통, IL3, IL26, IL25와 IL51을 비교한 결과 종자중과 수당립수를 조절하는 유전자는 RM60-RM523 사이의 재조환 지점과 단완 끝 부분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판단되며 그 거리는 약 1.2-Mb이다. 3. 본 연구에서 탐지된 연관된 종자중과 수당립수 QTL은 재배벼의 수량성 증진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노화촉진마우스의 텔로미어 함량 분석 (Amount of Telomeric DNA on Lymphocytes in Senescence Mouse by Quantitativ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 이미랑;도경탁;한정주;문소현;강한석;김선구;신택순;이홍구;황대연;김용균;손시환;최나은;김병우;조병욱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10호
    • /
    • pp.1463-1467
    • /
    • 2009
  • Telomeres, comprised of tandem repeats of TTAGGG sequences, are special nucleoprotein structures that protect and stabilize chromosome ends. These structures form the crux of the telomere concept of aging, senescence and genomic instability. The classic terminal restriction fragment (TRF) analysis to quantify the amount of telomeric DNA is disadvantageous in species containing ultra long telomeres like in mice (100Kb). In this study, we used a more sensitive quantitative fluorescence in situ hybridization (Q FISH) technique to quantify telomeric DNA, and used it as a biological aging marker in mice. 12 litters each of Senescence-Resistant (SAMR1) and -Prone (SAMP1) known as senescence accelerated mouse strains were purchased from Central Lab, Animal Inc. We quantified the amount of telomeric DNA using telomere specific DNA probes on the two strains of male mice at 8 weeks, 18 weeks and 26 weeks of age. The amount of telomeric DNA correlated with aging and age associated changes in body and organ weight between SAMR1 and SAMP1 strains of mice. These data suggest the usefulness of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s a biological aging marker in human aging studies.

소의 생리적 특성에따름 세포내 텔로미어 함량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 분석 (The Amount of Telomeric DNA and Telomerase Activity on Cattle Cells)

  • 최덕순;조창연;손시환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0권4호
    • /
    • pp.445-456
    • /
    • 2008
  • 텔로미어란 염색체 말단부에 TTAGGG의 반복 염기서열과 특정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핵 내 염색체의 안정성에 작용을 하며 세포의 노화, 사멸 및 암의 발생과 관련이 있다. 텔로머레이스는 텔로미어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직접적 효소로서 telomeric DNA 합성에 관여하는 ribonucleoprotein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우와 Holstein종 136두를 대상으로 백혈구 세포를 이용하여 연령 별, 품종 별, 성 별 텔로미어 함량을 분석하였다. 또한 동일 연령에서 혈액, 간, 뇌, 심장, 신장 및 생식선 조직들의 텔로미어 함량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도 비교 분석하였다. Telomeric DNA의 양적분석은 양적형광접합보인법(Q-FISH)을 이용하였고, 텔로머레이스 활성도의 분석은 TRAP방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소의 백혈구 세포들에 있어 개체의 연령이 증가함에 따라 텔로미어의 함유율이 점진적이며 유의적으로 감소되는 양상을 보였고, 한우가 Holstein에 비해 텔로미어 함유율이 높게 나타나 품종 간 유의적 차이가 있었으며, 성 간에도 수컷이 암컷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텔로미어 함유율을 나타내었다. 반면 동일 연령의 간, 심장, 신장, 폐, 혈액 세포내 텔로미어의 함유율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태아의 모든 조직에서 비교적 강한 활성을 보였지만, 성 성숙이 된 18개월령에서는 생식선 조직을 제외한 나머지 조직에서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는 현저하게 떨어져 조직별 세포의 증식성 특이성과 텔로머레이스 활성도간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서 세포내 텔로미어 양적 분포 양상 및 텔로머레이스 활성도를 이용하여 개체의 연령 지표 또는 생리적 표지의 개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자 한다.

DH 집단을 이용한 벼멸구 저항성 연관 QTLs 분석 (Analysis of QTLs Related to Resistance to Brown Planthopper in Rice)

  • 김석만;친양;송재근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36-243
    • /
    • 2009
  • 벼멸구 저항성 유전자의 mapping, 벼멸구 저항성 관련 QTL 분석, 주요 농업형질과 벼멸구 저항성과의 관계 분석 등에 관한 연구를 수행 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벼멸구 저항성을 가진 통일형 벼인 '삼강'과 자포니카형 벼인 '낙동'을 교배하여 양성된 $F_1$의 약을 배양하여 육성된 120 DH 계통을 유전자 지도 작성을 위한 mapping 재료로 이용 하였다. Maker 검정에서 양친에 다양성을 나타낸 SSR 73, STS 89개 등 총 162개의 marker를 이용하여 전체 길이가 1,884 cM이고 평균 marker간 거리가 11.6 cM인 연관지도를 작성하였다. 유전자지도 작성에 이용된 120 DH 계통에 대한 벼멸구 저항성 정도를 조사하여 저항성 관련 QTL을 분석한 바, 3번, 6번, 7번, 8번 그리고 12번 염색체에서 1개씩 총 5개의 QTL을 확인하고 이들을 qBPR3, qBPR6, qBPR7, qBPR8, qBPR12로 명명하였다. 간장, 수장, 수수 및 출수일수에 대한 QTL을 분석하여, 총8개의 QTL이 7개의 염색체에 위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벼멸구 저항성과 주요 농업형질관련 QTL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한 바, 3번 염색체 상의 벼멸구 저항성 QTL(qBPR3)이 간장 및 수수 관련 QTL(qCL3, qNP6)과 연관되어 있었으며, 7번 염색체 상의 qBPR7은 분상질립 관련 QTL qPGC7.1과 qPWBP7.2과 그리고 8번 염색체상의 벼멸구 저항성 QTL 역시 간장관련 QTL(qCL8)과 연관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벼 도복저항성 다수성 신품종 '화원7호' (A New High-yielding Rice Variety 'Hwaweon 7' with Lodging Tolerance)

  • 김동민;강주원;윤여태;이현숙;박인규;안상낙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50-255
    • /
    • 2017
  • 일품벼의 주요 농업적 특성에 모로베레칸의 수당립수와 내도 복성을 조절하는 유전자가 이입된 근동질계통을 육성하기 위해 일품벼와 모로베레칸을 교배하고, 계속적인 여교배와 MAS를 병행 실시하여 유망한 계통 CR28-30-2 계통을 선발하였다.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조사된 형질 중 수당립수와 간기경 등을 제외한 기타 형질에서는 일품벼와 유사한 근동질계통으로, 품종보호출원 조건에 부합하여 화원7호로 명명하고 품종보호원을 출원하였다. 1. 화원7호는 출수기가 보통기재배에서 8월 15일로 일품벼보다 4일 정도 빠른 중만생종 품종이다. 2. 천립중은 23.8g으로 일품벼보다 무거웠으나 통계적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3. 흰잎마름병과 줄무늬잎마름병에는 이병성이다. 4. 완전미율은 일품벼에 비해 약간 낮았고, 아밀로스 함량은 일품벼보다 높았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5. 화원7호의 정조수량은 '10-'11년 2개년간 실시한 생산력검정 시험에서 평균 6.20 MT/ha 로 일품벼와 유사하였으나, 예산에서는 6.48 MT/ha로 일품벼 대비 104% 수준이었다. 6. 화원7호는 일품벼에 비해 수당립수가 많았다 그리고 간기경이 두꺼운 특성을 보였는데 이는 모로베레칸의 APO1 유전자의 영향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