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roma value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 전통색채와 디지털 전사 날염 색채 비교연구 -한국전통표준색명의 적색계를 중심으로- (Comparative Study on Colors Between Korean Traditional Color and Digital Transfer Textile Printing -Focusing on The Red-Series of Korean Traditional Standard colors-)

  • 박서린;김종준
    • 패션비즈니스
    • /
    • 제20권1호
    • /
    • pp.98-114
    • /
    • 2016
  • This research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between Korean traditional color and digital transfer textile printing. This would help to find the new direction to apply Korean traditional colors to modern textile industr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digitalize Korean traditional colors to be applied to modern textiles, based on research studies by previous researchers, on the actualiz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lors for textiles. The study focused on 21 red colors among others. Digital color palette of graphic program was printed on 6 different polyester textiles by using digital transfer textile printing. Different things to be supplemented were found by comparing the results with the colors of Korean traditional standard color names. After measuring the colors, Munsell color system and CIE $L^*a^*b^*$ value were measured then comparative study was performed on the measured values using 3D graphs. Measured colors of Munsell varied by color but in overall, chroma became low while brightness became high. Color characteristic of warm colors got weakened by turning into cold colors as brightness got high but yellow and red got low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CIE $L^*a^*b^*$ value. This study has limitations with color analysis of digital transfer textile printing due to standardization of textiles and standardization of traditional colors however it can support to actualize the colors for the design using traditional color names by visualizing the color change of digital transfer textile printing in the future.

휘도를 고려한 기준색 선택 기반의 다단계 벡터 오차 확산법 (Multi-level Vector Error Diffusion Based on Primary Color Selection Considering Lightness)

  • 박태용;조양호;이명영;하영호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P
    • /
    • 제41권5호
    • /
    • pp.77-8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64개 기준색을 사용한 다단계 벡터 오차 확산법에서 나타나는 밝은 영역에서의 색 자극 문제를 개선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벡터 오차 확산법은 양자화 과정에서 입력 벡터와 기준색 벡터간의 기하학적 거리만을 이용하기 때문에 밝은 영역에서 어두운 기준색이 선택되는 색 자극이 발생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오차 보정된 입력 벡터의 채도를 계산하여 유채색과 무채색으로 나누고, 유채색일 경우 입력 벡터의 휘도를 이용하여 밝은 영역, 중간 밝기 영역, 어두운 영역으로 구분한다. 밝은 영역일 경우 60개 유채색 기준색중에서 입력 벡터와의 휘도차가 작은 N개의 후보 기준색을 구성한다. 최종 기준색을 선택할 때는 N개의 후보 기준색과 4개의 무채색 기준색중에서 오차 보정된 입력 벡터와의 최소 기하학적 거리를 가지는 기준색을 출력색으로 결정한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은 자은 영역에서 색 자극이 줄어들어 시각적으로 보기 좋은 결과를 보였다.

Effects of Different Marination Conditions on Quality, Microbiological Propertie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Pork Ham Cooked by the Sous-vide Method

  • Jeong, Kiyoung;O, Hyeonbin;Shin, So Yeon;Kim, Young-Soon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06-514
    • /
    • 2018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marinade under different conditions (temperature and vacuum) on pork ham cooked by the sous-vide method ($61^{\circ}C$ and 98.81% vacuum for 45 min). Control group was non-marinade pork ham. The samples were marinated under 1 of 4 conditions: $4^{\circ}C$, 98.81% vacuum (treatment group $T_1$); $4^{\circ}C$, atmospheric pressure ($T_2$); $20^{\circ}C$, 98.81% vacuum ($T_3$); and $20^{\circ}C$, atmospheric pressure ($T_4$). The pH value was higher in the control (6.02) than in the treatment groups (4.30-4.42, p<0.001). Shear force was the lowest in the control: 18.14 N. Lightness and redness values were higher in the control (p<0.001). The chroma value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12.74 to 7.55 with marinade (p<0.001). Total viable and coliform counts of raw meat were 84.6 and 3.67 Log CFU/g, respectively. After the marinade, the total viable count decreased to 3.00-14.67 Log CFU/g (p<0.001). Coliforms were not detected. After sous-vide cooking, no viable microorganisms were detected in any group. Treatment groups generally showed high scores on consumer preference. The marinade and sous-vide cook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ensory characteristics. They provided safe conditions for sanitary evaluation. As a result, it appears that marinade at refrigeration temperature is better than that at room temperature.

한복배색의 조화감에 대한 한.미 여대생의 지각 반응 연구(제3보) -유채색과 무채색을 중심으로- (A Study in the Perception of the Harmony of Coloration in Traditional Korean Dress of Korean and American Students (Part III) - On the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

  • 강경자;문주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7호
    • /
    • pp.962-973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harmony of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of the traditional Korean dress. The subjects were women's college students in Korea and America. Chromatic colon, red, yellow, and green color, were chosen for the color of the Korean jacket, and achromatic colors were chosen for the color of the skirt, and then the colors' chroma were controlled and value of color was changed. In addition, the three colors of the jacket were combined with four kinds of the colors' tone. Then, the students of both countries assessed about the harmony for 48 colorations which were variously incorporated with the tones of skirt and jacket. The results of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When red jackets were combined with skirts of achromatic colors, students of both counties showed the different views in the range of harmony and disharmony for colorations of white(N9) skin and vivid jacket, and white(N9) skirt and dark jacket, and black(N2) skirt and light jacket, and black(N2) skirt and dull jacket. In the tone of yellow jackets and achromatic skirts, students of both counties showed similar responses in that a light yellow jacket was well matched with dark grey(N4) and black(N2) skirt. While Korean students generally evaluated that coloration was well harmonized when low value color was arranged below, American students thought, that the tones of a harmonized skirt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jacket's tones. When green jackets were combined with stills of achromatic colors, colorations that showed their different views of both countries were a white(N9) skirt combined with vivid, light, dull jackets, and a light grey(N7) skirt and dull jacket, and a dark grey(N4) skirt and dark jacket. Among 48 stimuli of coloration on the chromatic and achromatic colors, Korean students evaluated 16sets and American students judged 28 sets as harmonized colors. Therefore, it came to the conclusion that Korean students had the sense of harmonious coloration of more narrow range than American students.

광과민성 증후군자를 위한 태블릿 PC와 스마트폰 용 가상 색 오버레이 구현 (Implementation of Mobile Virtual Colored Overlay for People with Scotopic Sensitivity Syndrome)

  • 장영건
    • 정보처리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 및 데이터공학
    • /
    • 제2권2호
    • /
    • pp.145-150
    • /
    • 2013
  • 색 오버레이는 광과민성 증후군의 증세를 완화시키는 보조도구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 컴퓨터에서 사용할 수 있는 몇 종의 가상 색 오버레이가 개발되었으나, 모바일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발표된 바 없다. 본 논문에서는 안드로이드의 최상위 윈도우를 활용하여 가상 색 오버레이를 이동시키지 않고 겹쳐진 앱이나 화면을 제어할 수 있는 모바일용 가상 색 오버레이를 구현하였다. 분광측색계를 이용하여 필름 오버레이의 색도 정보와 투과율을 측정하여 가상 색 오버레이에 적용할 색상정보를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고, Intuitive Overlays에서 표현하는 모든 색상을 구현하였다. 시험 결과 기존의 필름 오버레이를 사용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었다.

Comparison of Butylated Hydroxytoluene, Ascorbic Acid, and Clove Extract as Antioxidants in Fresh Beef Patties at Refrigerated Storage

  • Zahid, Md. Ashrafuzzaman;Seo, Jin-Kyu;Parvin, Rashida;Ko, Jonghyun;Yang, Han-Su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768-779
    • /
    • 2019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comparison of the effects amongst butylated hydroxytoluene (BHT), clove extract (CE), and ascorbic acid (AA) as antioxidants on the oxidative stability and color values in fresh beef patties. The adding of BHT, AA, and CE to patties significantly restrained lipid oxidation, lowered hue angle as color value, and expanded redness and chroma values of fresh beef patties in comparison to the control (p<0.05). BHT and AA significantly led to impede the protein oxidation of patties by lowering carbonyl content (p<0.05). CE had no negative effect on protein oxidation. The antioxidant effects of BHT, AA, and CE were obviously manifested. Nonetheless, BHT, AA, and CE appeared to have insignificant difference of each other for lowering the protein oxidation at the end of storage. BHT and CE represented lowered lipid oxidation in comparison to AA. The antioxidant effects of BHT, AA, and CE on lipid oxidation were more marked than the effects on protein oxidation. Furthermore, CE as a natural antioxidant evinced the efficiency in oxidative stability and color stability in fresh beef patties. The study implied that CE could substitute the use of BHT and AA when making beef patties during storage.

거세시기에 따른 재래흑염소 육의 육질 및 관능적 특성 (Meat Quality and Sensory Properties of Korean Native Black Goat by Different Castration Age)

  • 김병기;황은경;김수민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19-426
    • /
    • 2010
  • 재래흑염소를 각 처리구별로 8두씩 배치하여 총 32두(4처리$\times$8두)를 대상으로 대조구(생후 5개월령의 비거세구)와 3개 처리구(T1구: 7개월령 거세구, T2구: 5개월령 거세구, T3구: 3개월령 거세구)로 구분 배치하여 총 410일간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육 전기간(410일간) 동안의 총 증체량은 T2구(28.4 kg)으로 가장 높았으며, 일당증체량에서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총 사료섭취량는 T3구가 410.82 kg으로 가장 낮았고, 사료요구율은 T2가 16.39로 사료효율성이 가장 좋게 나타났다. 흑염소 육의 가열감량과 드롭로스는 대조구가 각각 35.53%와 2.08로 가장 높았고(p<0.05), 총 콜레스테롤함량은 시험구가 대조 구 보다 더 높았다(p<0.05). 또한 관능검사의 다즙성, 연도, 향미, 조직감, 염소 특이취 및 종합평가에서도 전반적으로 처리구가 대조구보다 낮아 더 좋은 관능검사 결과를 보였으며(p<0.05), 그 중에서도 T2구(3.61점)가 가장 좋았다(p<0.05). 육색에서 명도(L)값과 Hue값은 대조구가 가장 낮았고, 적색도(a)값은 T3구, 황색도(b)와 Chroma는 T2구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방산 조성에서 oleic acid은 T2구가 53.76%으로 나타났고, 단일불포화지방산 함량(MUFA)은 T1구와 T2구가 가장 높았다(p<0.05). 따라서 MUFA/SFA의 비율은 T1구와 T2구가 대조구보다 더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볼 때, 고품질 흑염소육 생산을 위해서는 생후 5개월령의 거세가 생산성과 육질개선에서 가장 유리할 것으로 판단된다.

홍화 염색 나일론 직물의 자외선에 의한 특성 변화 - 색상, 강도 및 표면 특성 변화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the Property of Nylon Fabrics Dyed with Safflower Under Ultraviolet-Light(UV) - Focused on the Changes in Color, Strength, and Surface -)

  • 신윤숙;최승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9호
    • /
    • pp.1-6
    • /
    • 2008
  • 홍화 황색소와 홍색소로 염색을 한 나일론 직물에 자외선을 조사 한 후 시료들의 염착량과 색채변화, 표면 특성 변화와 인장 강도 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라 염착량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자외선 조사 28일 후의 염착량 보유율이 더욱 낮았다. 2. 색채변화의 경우,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은 $L^*$은 증가하고 $a^*$$b^*$는 감소하였으며, H/VC, ${\Delta}E$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홍색소로 염색한 시료들 도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라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였으며, $b^*$는 증가하였고, H/VC, ${\Delta}E$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그러나 홍색소와 황색 소로 염색한 나일론 직물 시료의 조사 28일 후의 색차는 황색소가 더욱 낮아 나일론 직물에는 황색소가 자외선에 대한 견뢰도가 더욱 높은 것으로 보인다. 3.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표면 특성 변화의 결과, 색소의 종류와 상관없이 조사 28일 후 모든 시료들에서 심한 손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자외선 조사 시간에 따른 인장 강도 변화 결과, 모든 종류의 시료에서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른 강도의 손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홍색소보다는 황 색소로 염색한 나일론 직물 시료들의 인장 강도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화 염색 견직물의 자외선에 의한 성능 변화 연구 (The Changes in Properties of Silk Fabrics Dyed with Safflower under Ultraviolet-Light)

  • 신윤숙;최승연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46권7호
    • /
    • pp.1-6
    • /
    • 2008
  • 견직물에 홍화 황색소와 홍색소로 염색을 한 후 자외선 조사 후 시료들의 염착량 색채변화, 형태변화, 인장강도변화를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라 염착량이 감소되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최종 자외선 조사 28일 후의 염착량 보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견직물의 경우 홍화 홍색소보다는 황색소가 자외선에 대한 내구력이 더욱 있음을 알수 있다. 2. 색채변화의 경우,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도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고, $b^*$도 감소하였으며, H/VC, ${\Delta}E$ 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홍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은 자외선 조사 시간 증가에 따라 $L^*$은 증가하고 $a^*$는 감소하였으며, $b^*$는 증가하였고, H/VC, ${\Delta}E$ 등 색채 전반에 퇴색이 나타났다. 그러나 조사 28일 후의 색차는 홍화 홍색소보다는 황색소가 훨씬 낮았다. 3.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형태학적 변화의 결과, 견직물에 대해서는 홍화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조사 28일 후 모든 시료들에서 심한 손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4. 자외선 조사시간에 따른 인장 강도 변화 결과, 모든 종류의 시료에서 자외선 조사시간 증가에 따른 강도의 손실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홍색 소보다는 황색소로 염색한 시료들의 인장 강도 보유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홍화 염색한 견직물의 경우 자외선 조사에 의해 색소의 종류에 상관없이 염색물 자체의 성능에 많은 변화가 나타났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천염 염색물의 자외선에 의한 변화는 섬유의 자체의 특성뿐만 아니라 색소의 차이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이며, 견직물의 경우에는 홍화 황색소가 홍색 소보다 자외선에 대한 내구성이 더욱 좋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차후 견직물 이외 다른 섬유 종류와 홍화의 두가지 색소가 자외선에 반응하는 연구를 통해 본 연구결과가 보충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토양의 색 특성과 색차계 측정치의 상호관계 (Relationship between Soil Color Characteristics and Measurement Values by Colorimeter)

  • 김기인;홍순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77-86
    • /
    • 2002
  • 삼각통을 포함하여 29개 토양통으로 분포되는 연초 경작지 67개 토양에 대하여 토양의 색 특성은 광학적 기기에 의해 측정되는 색차계 방법과 육안관찰에 의해 비색 평가되는 Munsell color chart 방법으로 비교되었고, 또한 토양의 화학성과의 상호관계가 검토되었다. 색차계로 측정한 토양의 색 특성 L, a 및 b 값은 Munsell color chart의 명도(V), 채도(C), 및 색상(H)과 밀접하게 관련되며 정량적 수치로 표현되었다. 토양 색 측정치의 표준편차는 2mm 체 통과시료보다 0.5mm 체 통과시료에서 적었다. 토양 색의 L, 및 b 값은 수분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되는 경향이었으나 a 값은 수분함량의 변화에 따라 차이가 없이 비슷하였다. 그러나 풍건조건과 습윤조건(-10hPa)에서 측정된 토양의 L, a, b 값 각각의 상관계수는 r=0.90 이상으로 고도로 유의성 있는 정의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토양 색의 측정은 일정한 수분 조건인 풍건토 0.5mm 체 통과시료에서 측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토양의 색 특성은 유기물함량, 양이온치환용량, 치환성 석회 및 고토 등과 유의성 있는 상관을 보였으며 특히 L 값은 유기물 함량과 가장 밀접한 관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