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rioamnionitis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14초

Chorioamnionitis: Is a major player in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 Choi, Chang W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0권7호
    • /
    • pp.203-207
    • /
    • 2017
  • Chorioamnionitis is an inflammation in the fetal membranes or placenta. When chorioamnionitis develops, fetal lungs are exposed to inflammatory cytokines and mediators via amniotic fluid. Because inflammation plays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a chronic lung disease of prematurity, fetal lung inflammation induced by chorioamnionitis has been considered to be one of the major pathogenetic factors for BPD. Although there have been a number of studies that demonst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orioamnionitis and BPD, there are still controversies on this issue. The controvers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orioamnionitis and BPD arise from not-unified definitions of chorioamnionitis and BPD, different study populations, and the proportion of contribution between inflammation and infectious microorganisms. The publication bias also contributes to the controversies. Clinical trials targeting chorioamnionitis or microorganisms that cause chorioamnionitis will answer on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chorioamnionitis and BPD and provide a novel prophylactic strategy against BPD based on that relationship.

산모의 융모양막염 및 인공호흡기 치료가 미숙아 만성 폐질환의 발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neonatal ventilator care or maternal chorioamnionitis on the development of bronchopulmonary dysplasia)

  • 윤기태;이동환;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8호
    • /
    • pp.893-897
    • /
    • 2009
  • 목 적 : 신생아 집중 치료의 발전으로 인해 저출생 체중아의 생존률은 많이 향상되었으나 장기간의 산소 보충이 필요한 미숙아 만성 폐질환자의 증가는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산모의 융모양막염 및 신생아의 인공호흡기 치료가 만성 폐질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저자들은 만성 폐질환의 발생에 산모의 융모양막염 및 신생아의 인공호흡기 치료가 독립적 혹은 종속적으로 작용하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0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6주 이하, 출생체중 1,500 g 이하의 환아 158례를 대상으로 융모양막염의 존재 여부와 인공호흡기 사용에 따른 만성 폐질환의 발생률을 병력지를 기초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아 총 158례 중 산모의 융모양막염 양성은 50례(31.6%), 음성은 92례(58.2%), 생검을 통한 조직학적인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는 16례(10.1%)였다. 융모양막염 유무와 만성 폐질환 발생 간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으며(P=0.735), 융모양막염이 있고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36례 중 15례(41.7%)에서 만성 폐질환이 발생하였으며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지 않은 14례 중 4례(28.6%)에서 만성 폐질환이 발생하였다(P=0.018). 융모양막염이 없는 그룹에서도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73례 중 32례(43.8%)에서 만성 폐질환이 발생하였고 인공호흡기를 사용하지 않은 19례 중 1례(5.3%)에서 만성 폐질환이 발생하여(P=0.002), 융모양막염 유무보다는 인공호흡기 사용이 만성 폐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여진다. 다중회귀분석에서도 인공호흡기 사용(OR=7.409, 95% CI=2.532-21.681)과 패혈증(OR=4.897, 95% CI=1.227-19.539)이 각각 만성 폐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산모의 융모양막염은 OR=0.461, 95% CI=0.201-1.059로 만성 폐질환 발생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 인공호흡기의 사용, 패혈증이 만성 폐질환의 발생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산모의 융모양막염 자체가 만성 폐질환의 발생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산아에서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및 제대 혈관염이 출생 직후 말초 혈액 C-반응성 단백의 농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nd funisitis on the level of peripheral blood C-reactive protein at birth in preterm infants)

  • 김도현;이흔지;김희섭;유병훈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호
    • /
    • pp.33-40
    • /
    • 2010
  • 목 적 : 조산아에서 출생 직후 말초 혈액의 C-반응성 단백(C-reactive protein, CRP) 농도가 자궁 내 염증의 침범 부위 또는 진행 정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 지 알아봄으로써 출생 직후 말초 혈액 CRP 측정의 임상적 의의와 유용성에 대해 연구하고자 하였다. 방 법 : 2005년 9월부터 2009년 4월까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에서 출생하여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재태기간 32주 미만의 조산아 187명을 연구 대상으로 했다. 연구 대상을 'no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CAM (-), 85명]군과 'histologic chorioamnionitis' [HCAM (+), 102명]군으로, 다시 HCAM (+)군을 'funisitis' [F (+), 49명]군과 'no funisitis' [F (-), 53명]군 및 'funisitis/amnonitis' [FA (+), 58명]군과 'isolated chorio-deciduitis' [FA (-), 44명]군으로 분류하였다. 출생 직후 말초 혈액의 high sensitivity CRP 농도를 측정하여 각 군 간에 비교하였다. 결 과 : HCAM (+)군, F (+)군, F (-)군, FA (+)군의 말초 혈액 CRP 농도는 모두 HCAM (-)군에 비해 높았으나(평균=0.29 vs. 0.06 mg/dL; 0.52 vs. 0.06; 0.07 vs. 0.06 mg/dL; 0.46 vs. 0.06 mg/dL, P<0.05), FA (-)군의 경우는 HCAM (-)군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F (+)군과 FA (+)군의 말초 혈액 CRP 농도는 각각 F (-)군 및 FA (-)군보다 높았다 (평균=0.52 vs. 0.07 mg/dL; 0.46 vs. 0.05 mg/dL, P<0.05). HCAM (-)군과 F (+)군, HCAM (-)군과 FA (+)군을 감별하기 위한 경우, 말초 혈액 CRP 농도의 cut-off 값을 0.02 mg/dL으로 정하였을 때 민감도와 특이도는 모두 94% 및 53%였다(P<0.0001). 또한, F (+)군과 F (-)군, FA (+)군과 FA (-)군을 감별하기 위한 경우, 말초 혈액 CRP 농도의 cut-off 값을 0.02 mg/dL으로 정하였을 때 민감도는 각각 79%와 86%, 특이도는 모두 53%였다(P<0.002, P =0.000). 말초 혈액 CRP 농도가 0.02 mg/dL 이상인 경우, 임상적 융모양막염, 확증된 조기 발현 패혈증, 조직학적 융모양막염, 제대 혈관염의 빈도가 높았다. 결 론 : 재태기간 32주 미만의 조산아에서 출생 직후 말초 혈액 CRP 농도는 태반의 염증이 제대 혈관염이나 양막염까지 진행했을 때 유의하게 증가하여 조직학적 융모양막염의 진행 정도를 잘 반영하였고, 제대 혈관염이나 양막염의 감별 진단에 어느 정도 진단적 가치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Placental histopathology in late preterm infants: clinical implications

  • Ericksen, Kristina;Fogel, Joshua;Verma, Rita P.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63권2호
    • /
    • pp.48-51
    • /
    • 2020
  • Background: The etiopathogenesis of late preterm (LPT) birth is undetermined. Placental histopathology, which reflects an adverse intrauterine environment and is reportedly associated with preterm labor and neonatal morbidities, has not been studied in LPT infants. Purpose: We investigated placental pathological lesion as markers of an adverse intrauterine environment during LPT labor. Methods: This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compared placental histopathological and clinical variables between LPT and term neonates. Placental variables included chorioamnionitis, funisitis, hemorrhage, abruption, infarction, calcification, and syncytial knots. Maternal variables included age, substance abuse, pregnancyassociated diabetes mellitus and hypertension, duration of rupture of membrane, antibiotic use, and magnesium sulfate, whereas, those of neonates included gestational age, birth weight, race, sex, and Apgar scores. Standard statistical proedures were applied to analyze the data. Results: Chorioamnionitis (50% vs. 17.8%, P<0.001) and funisitis (20% vs. 4.4%, P=0.002) were more common in term infants. Placental infarction rate was insignificantly higher in LPT infants (25.6% vs. 14.3%, P=0.08). The mothers in the LPT group were older (30.4 years vs. 28.1 years, P=0.05; odds ratio [OR], 1.06; 95% confidence interval [CI], 0.998-1.12, P=0.056) and more often suffered from hypertension (28.9 vs. 12.9 %, P=0.02), and received magnesium sulfate (48.9 vs. 20%, P< 0.001; OR, 2.86; 95% CI, 1.12-7.29, P<0.05). Duration of rupture of membrane was higher in term infants (13.6 hours vs. 9.1 hours, P<0.001). Chorioamnionitis (OR, 0.33; 95% CI, 0.13-0.79; P<0.05) was associated with a lower risk of LPT delivery. Conclusion: Placental infection is not a risk factor for LPT births. There is a nonsignificant predominance of vascular anomalies in LPT placentas. Higher maternal age, magnesium sulfate therapy, and maternal hypertension are clinical risk factors for LPT labor.

Serological investigation of Ureaplasma urealyticum in Korean preterm infants

  • Eun, Ho Seon;Lee, Soon Min;Park, Min Soo;Park, Kook In;Namgung, Ran;Lee, Chul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6권11호
    • /
    • pp.477-481
    • /
    • 2013
  • Purpose: Ureaplasma colonization is related with perinatal complications in preterm infants. Little is known about the difference in virulence among various Ureaplasma urealyticum serova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U. urealyticum serovars of preterm infants in order to assess whether any of the serovars were associated with bronchopulmonary dysplasia (BPD). Methods: Three hundred forty-four preterm infants with a gestational age less than 34 weeks admitted to Gangnam Severance Hospital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July 2011 to December 2012 were included in this study. Tracheal and gastric aspirations were conducted on infants to confirm Ureaplasma colonization. Ureaplasma colonization was confirmed in 9% of infants, of these, serovars were determined by real-time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A total of 31 infants (gestational age, $29.3{\pm}3.1$ weeks; birth weight, $1,170{\pm}790g$) were U. urealyticum positive. The Ureaplasma positive group treated for more days with oxygen and ventilation than the negative group (P<0.05).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nd moderate to severe BPD were more frequent in the Ureaplasma positive group than in the negative group (P<0.05). U. urealyticum isolates were either found to be a mixture of multiple serovars (32%), serovar 9 alone or combined with other serovars (39%), serovar 11 (26%), 2 (13%), 8 (10%), 10 (13%), and 13 (25%). No individual serovar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moderate to severe BPD and chorioamnionitis. Conclusion: This is the first study to describe the distribution of U. urealyticum serovars from Korean preterm infants. Ureaplasma -colonized infants showed higher incidence of BPD and chorioamnionitis.

인공호흡기 치료와 관련된 폐간질기종 발생의 위험인자에 대한 연구 (Study of the risk factors for pulmonary interstitial emphysema related to mechanical ventilator care)

  • 김상엽;이필상;이상길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11호
    • /
    • pp.1179-1184
    • /
    • 2008
  • 목 적: 폐간질기종은 인공호흡기치료를 받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서 주로 발생하며 낮은 재태 연령, 인공호흡기사용에 있어서의 높은 최대흡기압력 등과 관련이 있다고 알려졌다. 이에 저자들은 자궁내 염증반응을 포함한 폐간질기종에 대한 여러 위험인자들을 알아보고 폐간질기종을 줄일 수 있는 기본 여건 마련과 향후 인공호흡기 치료방향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2000년 3월부터 2007년 2월까지 7년간 대구 파티마병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서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진단받고 폐표면활성제 및 인공호흡기 치료를 받은 183명을 대상으로 하여 폐간질기종의 분류를 시행하였으며 후향적 병력고찰을 통해 각 환아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 과: 총 183예의 미숙아중 폐간질기종은 17예에서 발생하였으며 폐간질기종이 있었던 군에서 출생 체중, 재태 연령, RDS grade III 이상, 융모양막염, 조기양막파수 모두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다(P<0.05). 인공호흡기 사용기간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었지만(P<0.05), 최대 평균기도압과 최대 흡입산소분압은 의미가 없었다. 폐간질기종은 우측 또는 양측에서 많이 발생하였으며, 발생시간을 보면 대부분이 72시간내에 발생하였다. 폐간질기종이 있었던 군은 대조군에 비해 사망률이 높게 나타났으며 사망원인은 폐기흉이 가장 많은 원인을 차지하였다. 결 론: 폐간질기종의 위험인자로는 인공호흡기치료를 받는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환아에서 낮은 재태 연령과 출생 체중, 그리고 융모양막염과 조기양막파수의 위험인자가 있을 시 최소 생후 72시간동안은 태아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되며 증상이 없을 경우라도 흉부사진을 주기적으로 관찰하면서 폐간질기종 여부를 집중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백혈병양반응을 보인 미숙아의 합병증과 예후에 관한 산전과 산후 인자에 대한 분석 (Analysis of Prenatal and Postnatal Factors Associated with Complications and Prognosis in Premature Infants with Leukemoid Reaction)

  • 권세호;이병국;이흔지;나소영;이정하;박수연;강은경;김도현;이관;김희섭
    • Neonatal Medicine
    • /
    • 제15권2호
    • /
    • pp.151-159
    • /
    • 2008
  • 목 적 : 최근 신생아 집중 치료술의 발달로 미숙아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이로 인한 미숙아의 합병증이 중요한 문제가 되고 있다. 백혈병양반응 (leukemoid reaction)은 골수 이외의 원인에 의해 절대호중구수 30,000/$mm^3$ 이상인 경우로 이에 대한 산전 위험 요소와 출생후 합병증과 예후에 관한 상관관계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아 치료와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이에 신생아 집중치료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혈중 백혈구수를 분석하고 합병증과 예후를 대조군과 비교 분석하였다. 방 법 : 2005년 6월부터 2007년 7월까지 동국대학교 일산병원 신생아 집중 치료실에 입원한 재태 기간 37주미만의 미숙아 중 2,500 g 미만의 적정 체중아 252명을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총혈구검사를 출생 직후 및 매일 또는 매주 시행하였고 절대호중구수가 30,000/$mm^3$ 이상인 경우를 백혈병양반응으로 정의하였다. 산전 위험 요소는 산모의 나이, 조기 양막 파수,융모양막염, C-반응 단백질 수치를 조사하였고 미숙아들의 합병증 및 예후는 재태 기간, 출생 체중, Apgar 점수,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 인공호흡기 사용일수, 기관지폐 형성 이상, 동맥관 개존, 뇌실 내 출혈, 괴사 장염, 미숙아 망막증, C-반응 단백질 수치,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 사망률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환자군과 대조군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백혈병양반응을 보인 환자군은 총 8명(3.14%)이었다. 산전 관련인자로 산모의 연령과 조기 양막 파수와는 관련이 적었으나 융모양막염이 있는 경우(P=0.010)와 분만 전 산모의 높은 C-반응 단백질 수치(P<0.001)는 유의한 관련이 있었다. 환자군과 대조군을 통계적으로 비교하여 볼 때 환자군의 재태간(P=0.005)이 짧고 출생 체중(P=0.011)이 작았으며 1분 Apgar 점수(P=0.045)와 5분 Apgar 점수(P=0.014)가 낮았다. 환자군이 신생아 호흡 곤란 증후군(P=0.004)과 기관지폐 형성 이상(P< 0.001)과 관련이 컸으며 인공호흡기를 사용한 일수가 길었다(P<0.001). 체중이 비슷한 1,000 g 미만의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임상적 특징 및 합병증의 비교에서는 인공호흡기 사용일수(P=0.041)와 기관지폐 형성 이상의 발생률(P=0.006)이 백혈병양반응과 유의한 연관을 보였다. 환자군에서 출생 직후의 C-반응 단백질 수치가 유의하게 높았다(P<0.001). 환자군과 대조군의 특징과 합병증을 다변량분석을 실시하였을 때 기관지폐 형성 이상과 환자군의 C-반응 단백질 수치가 비교위험도가 각각 60.12, 4.57로 95%신뢰구간에서 유의한 값을 보였다. 전체 대상 환자군에서 동맥관 개존과 신생아 괴사 장염의 발생 비율이 높았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뇌실 내 출혈, 미숙아 망막증, 사망률, 산전 스테로이드 사용은 환자군과 대조군에서 차이는 없었다. 결 론 : 백혈병양반응은 산전 감염과 관련이 있고 이로 인해 백혈구수가 증가하여 과도한 염증반응이 출생후 기관지에 영향을 미쳐 기관지폐 형성 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출생 전 산모의 감염에 대한 산과적 치료와 출생 후 미숙아의 호흡기의 치료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산전 감염 후 발생한 폐혈증 및 폐렴을 동반한 미숙아 리스테리아증 1례 (Listeria Sepsis and Pneumonia in a Premature Neonate)

  • 박준우;윤정민;성태정
    • Neonatal Medicine
    • /
    • 제16권1호
    • /
    • pp.94-98
    • /
    • 2009
  • 저자들은 태반에서 L. monocytogenes 균이 동정된 무증상 산모에서 출생한 $26^{+4}$주, 930g 초극소 저체중 출생아에서 리스테리아 조기 패혈증 및 폐렴이 발생하여 항생제 치료 후 호전된 1례를 경험하여 이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Ureaplasma$ infections in pre-term infants: Recent information regarding the role of $Ureaplasma$ species as neonatal pathogens

  • Sung, Tae-J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12호
    • /
    • pp.989-993
    • /
    • 2010
  • Although numerous clinical observational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ver a period of over 30 years,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Ureaplasma$ infection is still under debate. The $Ureaplasma$ speices. is a commensal in the female genital tract and considered to have of low virulence; however, $Ureaplasma$ colonization has been associated with infertility, stillbirth, preterm delivery, histologic chorioamnionitis, and neonatal morbidities, including congenital pneumonia, meningitis, bronchopulmonary dysplasia, and perinatal death. Recently, $Ureaplasma$ was subdivided into 2 separate species and 14 serovars. $Ureaplasma$ $parvum$ is known as biovar 1 and contains serovars 1, 3, 6, and 14, and $Ureaplasma$ $urealyticum$ (biovar 2) contains the remaining serovars (2, 4, 5, and 7-13). The existence of differences in pathogenicities of these 14 serovars and 2 biovars is controversial. Although macrolides are the only antimicrobial agents currently available for use in neonatal ureaplasmal infections, in the current clinical field, it is difficult to make decisions regarding which antibiotics should be used. Future investigations involving large, multicenter, randomized, controlled studies are needed before proper recommendations can be made for clinical practice.

Challenging management of chorioamnionitis with placental listeriosis: lessons from 2 cases

  • Park, Ji Hyun;Ahn, Jung Hwan;Seo, Kyung Jin;Choi, Sae Kyung;Park, In Yang;Kim, Yeon-Hee
    •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 /
    • 제61권6호
    • /
    • pp.688-692
    • /
    • 2018
  • Listeriosis is a rare foodborne infection caused by Listeria monocytogenes. It is 12-20 times more prevalent in pregnant women compared to the general population, with a 20-40% mortality rate in neonates. Early treatment with appropriate antimicrobial agents is critical for pregnancy outcomes; however, the infection is difficult to control because the nonspecific clinical manifestations and rarity of the disease often preclude early diagnosis. We encountered 2 cases of pregnancy-associated listeriosis that occurred at 29 and 37 weeks of gestation. Both neonates were delivered by emergent cesarean section due to fetal condition, and one of the preterm infants died immediately after birth. Pregnancy-associated listeriosi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management of unexplained fever or inflammatory conditions in pregnant wom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