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oanal atresia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8초

Image-guided navigation surgery for bilateral choanal atresia with a Tessier number 3 facial cleft in an adult

  • Sung, Ji Yoon;Cho, Kyu-Sup;Bae, Yong Chan;Bae, Seong Hwan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64-68
    • /
    • 2020
  • The coexistence of craniofacial cleft and bilateral choanal atresia has only been reported in three cases in the literature, and only one of those cases involved a Tessier number 3 facial cleft. It is also rare for bilateral choanal atresia to be found in adulthood, with 10 previous cases reported in the literature. This report presents the case of a 19-year-old woman with a Tessier number 3 facial cleft who was diagnosed with bilateral choanal atresia in adulthood. At first, the diagnosis of bilateral choanal atresia was missed and septoplasty was performed. After septoplasty, the patient's symptoms did not improve, and an endoscopic examination revealed previously unnoticed bilateral choanal atresia. Computed tomography showed left membranous atresia and right bony atresia. The patient underwent an operation for opening and widening of the left choana with an image-guided navigation system (IGNS), which enabled accurate localization of the lesion while ensuring patient safety. Postoperatively, the patient became able to engage in nasal breathing and reported that it was easier for her to breathe, and there were no signs of restenosis at a 26-month follow-up. The patient was successfully treated with an IGNS.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 환자의 구개부를 통한 외과적 치험례 (SURGICAL REPAIR OF COMPLETE BONY BILATERAL CHOANAL ATRESIA VIA TRANSPALATAL APPROACH)

  • 김경원;조용석;양수남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0권2호
    • /
    • pp.133-138
    • /
    • 1998
  • 23세의 건강한 산모에게서 정상 분만되고, 출생시 체중 3.lkg의 여자 아이가 출생 직후 청색증, 호홉 곤란 등의 소견을 보이나, 육안적으로 관찰되는 불완전 양측성 구순열 이외에는 특별한 두개안면 이형증 등의 소견은 관찰되지 않아서, 소아과 담당의사가 전비공을 통하여 비인두강 내의 분비물 등의 이물질 홉인을 시도하려다 작은 고무 도관의 삽입이 이루어지지 않아서 후비공 폐쇄를 의심하였다. 경구 호홉관을 이용하여 기도 확보 후에 후비공 폐쇄 여부의 진단을 위해서, 비강내 방사선 비투과성 물질의 접적 주입한 후에 방사선 사진, 컴퓨터 단층 촬영 등을 통하여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를 확진하였다. 양측성 후비공 폐쇄는 출생시 주기적인 호홉 곤란의 증상을 보이며, 특히 포유시에 호홉 곤란의 증상이 악화되어서 신생아의 생명을 위협하는 응급 상황으로 이에 대한 외과적인 처치를 시행하기로 결정하였다. 후비공 폐쇄에 대한 외과적인 처치는 비강을 통한 접큰법, 구개부를 통한 접근법, 비중격을 통한 접근법 등의 여러 가지 접근법이 있으나, 본 환자의 경우는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로 확진이 되었고, 이에 대한 저자들의 경험이 전혀 없는 상태이었기에 보다 좋은 수술 시야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으며, 새로이 형성해준 후비공을 따라 점막 피판을 보존해 줄 수 있고, 수술 후 후비공의 개통성을 보다 확실하게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는 구개부를 통한 접근법을 이용하여 외과적인 처치를 시행하였다. 수술 후 약 1 년이 경과하였으나 임상적으로 호홉 곤란 등의 특별한 문제점이 없이 만족할 만한 경과를 보였다. 일반적인 교과서에서 설명하듯이 기성품으로 제작된 자가보전 견인자의 설압자는 이와 같은 신생아의 증례에서는 크기가 상대적으로 너무 커서 사용이 곤란하였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유사한 증례의 수술시에 도움을 주고자 매우 희귀한 증례인 완전 골성 양측성 후비공 폐쇄 환자에 대한 치험례를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후비공 폐쇄 2례 (2 Cases of Bilateral Choanal Atresia)

  • 심강석;이석용;문태용;윤강묵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83년도 제17차 학술대회연제순서 및 초록
    • /
    • pp.18.3-19
    • /
    • 1983
  • 후비공 폐쇄는 협비막의 과열부전, 협인두막의 지속적 잔존, Olfactory pit의 발생시 불완전 등의 선천성 원인과, 매독디프테리아, 수술 후 또는 외상 등으로 오는 후천성으로 나눌 수 있으며 선천성인 경우에는 두부, 심장, 소화기 계통에 여러 가지 기형이 동반되기도 한다. Johann Roedere (1755년)은 이 질환의 예를 최초로 보고하였으며 Emmert (1853년)가 골성 폐쇄를 트로카를 이용하여 처음 수술을 시도한 이래 , 비강내, 구개, 상악동, 그리고 비중격을 통한 수술 방법이 제시되어 왔으나 이중 경주개 경유법이 술후 재협착 빈도가 가장 적고 또 수술시 폐쇄부의 확인이 용이하여 가장 널리 이용되고 있다. 저자들은 선천성 양측 부분적 골부 후비공 폐쇄를 보인 11세 남아와 선친성 우측 완전 골막부 후비공 폐쇄와 좌측 부분적 골막부 후비공 폐쇄와 좌측 부분적 골막부 후비공 폐쇄를 보인 9세 여아에서 경구개 경유법으로 치험하였기에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어려운 기도 관리: 후두 상부의 기도 폐쇄

  • 성명훈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2003년도 제3차 추계학술대회
    • /
    • pp.112-112
    • /
    • 2003
  • 호흡곤란에 대한 적절한 대처는 의사로서 숙지하여야 할 가장 중요하고도 기본적인 개념 중의 하나이다. 상부 기도에 발생하는 여러 가지 임상적 상황은 흔히 흡기성 천명을 동반하는 호흡 곤란으로 나타나고, 이에 대해 흔히 기도 삽관이나, 기관절개술 등이 행해 지지만, 그 발생 원인에 대해서 감별점들을 숙지하지 않으면, 원발 질환에 대한 합리적인 치료 뿐만 아니라 응급상황에서 적절하게 기도를 확보하는 데에도 문제가 생길 수 있다. 후두 상부에 일어나는 기도폐쇄의 상황은 비강에서부터 인두와 성문 상부, 식도 입구부에 이르는 해부학적 위치에 발생하는 다양한 질환들에 의한다. 비강과 비인두에는 pyriform aperture stenosis, choanal atresia, lacrymal duct cyst, 또는 teratoma나 encephalocele과 같은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구강, 인두부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안면골격의 이상이나 설거대증, 또는 설갑상선, 갑상설관낭종, 또는 유피종등이 설기저부에 발생하기도 하고, 흔한 이유로 심한 편도-아데노이드 비대가 심각한 호흡곤란을 일으키기도 한다. 특히 소아에서는 이물의 가능성도 항상 염두에 두어야한다 이와 같이 기도 협착의 위치에 따라서 임상적 표현 양상이 구별될 수 있고, 또 부위에 따라 다양한 질환이 감별되어야 하므로 발생 위치에 따른 각 질환의 이해가 적절한 기도의 관리를 위해서 필수적이다.

  • PDF

코질환과 수면무호흡증 (Nasal Diseases and Its Impact on Sleep Apnea and Snoring)

  • 김창희;이재서
    • 수면정신생리
    • /
    • 제11권1호
    • /
    • pp.17-21
    • /
    • 2004
  • Nasal congestion is one of the most common symptoms of medical complaints. Snoring is caused by vibration of the uvula and the soft palate. Nasal obstruction may contribute not only to snoring and obstructive sleep apnea (OSA) but also impair application of continuous nasal positive airway pressure (CPAP), which is the most widely employed treatment for OSA. Total or near-total nasal obstruction leads to mouth breathing and has been shown to cause increased airway resistance. However, the exact role of the nasal airway in the pathogenesis of OSA is not clear and there is no consensus about the role of nasal obstruction in snoring and sleep apnea. Some reports have failed to demonstrate any correlation between snoring and nasal obstruction. On the other hand, opposing reports suggest that nasal disease may cause sleep disorders and that snoring can be improved after nasoseptal surgery. Reduced cross-sectional area causes increased nasal resistance and predisposes the patient to inspiratory collapse of the oropharynx, hypopharynx, or both. Discrete abnormalities of the nasal airway, such as septal deformities, nasal polyps, and choanal atresia and with certain mucosal conditions such as sinusitis, allergic rhinitis and inferior turbinate hypertrophy can cause snoring or OSA. Thus, these sources of nasal obstruction should be corrected medically or surgically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OSA and adjunctive for CPAP.

  • PDF

선천성 기관 석회화와 조롱박 구멍 협착 (Nasal Pyriform Aperture Stenosis)에 의한 호흡 곤란증 1례 (A Case of Respiratory Difficulty Due to Congenital Tracheal Calcification and Nasal Pyriform Aperture Stenosis)

  • 김규태;김영미;박수은;박재홍;노환중;김학진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5권5호
    • /
    • pp.669-672
    • /
    • 2002
  • 저자들은 출생 후 수 시간 뒤에 발생한 호흡 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환아에서 우연히 발견된 기관의 석회화와 양측 조롱박 구멍 협착증을 진단하고 비강 내에 스텐트를 위치시키는 수술로서 호흡 곤란 등의 증상 호전된 환아를 보고하는 바이다.

Raine 증후군 1례 (A Case of Raine Syndrome)

  • 박혜진;이정진;서정식;김효진;최제용;이준하;노은석;정혜리;김우택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91-94
    • /
    • 2003
  • Raine 증후군은 안구돌출, 함몰된 코와 후비공 폐쇄 및 구개열과 하악골 발육부전 등의 특징적인 안면기형과 좁은 흉곽구조와 폐 발육 부전으로 인한 호흡부전, 전신 골격의 골경화, 뇌실질의 석회화 등을 특징으로 하는 매우 희귀하고 치명적인 질환이다. 아직까지 유전적인 결함부위는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며 근친간인 부모 사이에서 발병이 많으며 남녀비의 차이가 별로 없으며 같은 형제 중에서도 이환된다는 사실로 보아 상염색체 열성으로 유전되는 질환이라는 것을 알 수 있고, 뇌 조직 검사상 저산소성 병변이나 괴사, 출혈, 감염이나 염증 등에 의한 2차적인 석회화가 아닌 칼슘 대사 이상에 의한 전신 골격의 골경화 와 두개 내의 석회화가 초래되는 질환으로 추정되고 있다. 본원에서는 상기한 특징적인 기형과 임상경과를 나타내는 매우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비강수술로 호전된 폐쇄성 수면무호흡증후군 1 례 (One Case of Nasal Surgery in Obstructive Sleep Apnea Syndrome)

  • 최지호;이흥만;권순영;이상학;신철;이승훈
    • 수면정신생리
    • /
    • 제12권1호
    • /
    • pp.64-67
    • /
    • 2005
  •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은 이비인후과영역에서 흔하게 관찰되는 질환 중 하나로 수면 중에 상기도의 폐쇄로 인한 호흡정지가 주요한 병인이며 상기도를 구성하는 비강, 구강, 인두, 후두 중 어느 한 부분에서 폐쇄가 일어나도 질환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비폐색의 가능한 원인들로는 주로 비중격 만곡, 비용, 기포성 갑개, 후비공 폐쇄, 종양, 이물, 술 후 또는 외상 후 발생한 유착, 여러 가지 비염, 기타 질환 등이 있다. 폐쇄성 수면무호흡증의 수술적 치료에는 비강수술, 구개인 두수술, 편도 및 아데노이드 절제술, 설부 축소수술, 기관절개술 등 여러 가지가 있는데 문헌들을 고찰한 결과 지금까지 성인에서 수면무호흡증 치료로 시행한 비강수술의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는 상태이다. 최근 저자들은 비폐색과 동반된 코골이 및 수면무호흡증 환자에서 비폐색과 수면무호흡증의 원인으로 생각되는 비중격 만곡증 및 비후성비염을 교정하기 위해 비중격 교정술 및 하비갑개 절제술을 시행한 결과 수술 전, 후의 증상 및 수면 다원검사 비교에서 뚜렷한 호전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