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loride content

검색결과 849건 처리시간 0.026초

Polycaprolactone-폴리아미드 블록공중합체/Poly(vinyl chloride) 블렌드의 상용성과 기계적 성질 (Miscibility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caprolactone-polyamide Block Copolymer/Poly(vinyl chloride) Blend)

  • 안소봉;이하용;정한모
    • 폴리머
    • /
    • 제24권1호
    • /
    • pp.128-132
    • /
    • 2000
  • Polycaprolactone (PCL) 블록의 함량이 62.7 wt%인 PCL-폴리아미드 블록공중합체와 poly(vinyl chloride) (PVC)의 상용거동을 시차주사열량계로 열적 성질을 관찰하여 조사하고, 블렌드물의 인장물성을 측정하였다. PCL과 PVC 세그먼트는 상용성을 가졌으며, PVC의 함량이 많은 경우 PCL의 결정화가 방해받아 PCL과 PVC 세그먼트로 구성된 비결정성 균일상이 형성됨을 알 수 있었다. PCL/PVC 균일 비결정상과 폴리아미드의 결정상이 병존하는 경우 균일 비결정상의 유리전이온도와 결정상의 녹는점 사이의 온도 영역에서 블렌드물은 고무탄성을 가졌다.

  • PDF

생장조절제처리가 고구마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Regulator Treatments on Growth and Yield of Sweet-potato)

  • 김태석;이돈길;김일해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14권
    • /
    • pp.139-145
    • /
    • 1973
  • Choline Chloride를 이용하여 고구마의 단작재배와 맥후작재배간에 어떤 수준의 농도에서 괴근의 비대촉진과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시험하였든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처리의 적정농도는 재배기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어 단작재배에서는 23.3ppm 그리고 맥후작 재배의 경우 31.1ppm이 적정농도이고 처리시간은 24시간이며 처리방법은 묘를 채취한 후묘의 기부만을 침지하면 좋다. 2) Choline Chloride는 지상부의 생육을 억제하여 만장을 단축케 하고 건물중을 저하케 하였다. 3) 지하부의 생육관계는 지상부의 동화산물을 지하부에 전류케 함으로써 괴근수를 많게 하는 동시에 수확기별 수량의 증가가 현저하였고 그 경향은 적기수학에서 보다도 조기수확에서 높았다. 4) 따라서 일반유기성분의 함유율 분석결과 당분전분등이 높은 편이고 그밖의 조섬유, 조단백질등은 낮은 편으로서 금후 더욱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느끼는 바이다.

  • PDF

슬래그 혼합 시멘트의 물서에 미치는 황산염과 염화물의 영향 (The influence of sulphates and chlorides on the properties of slag blended cement)

  • 성진욱;이승헌;김창은
    • 한국콘크리트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크리트학회 1999년도 학회창립 10주년 기념 1999년도 가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127-130
    • /
    • 1999
  • Physical properties and microstructure of slag blended cement were investiga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sulphates and chlorides. The compressive strength developed as high chloride content dust and gypsum added and accordingly the microstructure modification was showed. The deviation of pore size distribution and hydrates was also observed. From these results we discussed optimum condition of gypsum and high chloride content dust leading to physical properties in this study.

  • PDF

신경망 이론을 이용한 염소이온 겉보기 확산계수 추정 및 이를 이용한 염화물 해석 (Analysis Technique for Chloride Behavior Using Apparent Diffusion Coefficient of Chloride Ion from Neural Network Algorithm)

  • 이학수;권성준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4권4호
    • /
    • pp.481-490
    • /
    • 2012
  • 염화물 이온은 콘크리트 내부로 유입되어 철근부식을 야기하므로 염화물 침투 평가는 매우 중요하다. 전기영동실험을 통한 촉진확산계수가 현실적으로 많이 쓰이고 있지만, 이는 자유염화물 이온에 대한 전기장 내의 이온속도를 나타낼 뿐이므로 염화물량에 대한 명확한 해를 제공하지 못한다. 겉보기 확산계수는 단순한 Fick의 이론을 배경으로 엔지니어에게 전염화물의 확산을 명확하게 제공할 수가 있다. 이 연구는 인공신경망이론을 이용하여 최적의 확산계수를 도출하고 시간의존성 확산계수를 이용하여 염화물 침투를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존의 연구에서 30개의 배합 및 염소이온 겉보기 염화물 확산계수를 인용하였으며, 배합인자(물결합재비, 단위시멘트량, 슬래그, 플라이애쉬, 실리카퓸, 단위 잔골재 및 굵은 골재)를 뉴런으로 선택하여 확산계수에 대한 학습을 훈련하였다. 또한 시간의존성 확산계수를 고려하여 단순한 Fick 법칙으로 염화물 침투를 평가할 수 있는 기법을 제시하였다. 장기침지실험 및 실태조사 결과를 이용하여 제안된 기법의 결과와 비교를 수행하였으며, 그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이 기법은 다양한 배합 및 관련 확산계수의 입수 및 학습을 통하여 더욱 합리적인 기법으로 발전할 수 있다.

PVA 섬유와 실리카흄 첨가가 알칼리 활성 슬래그의 염화물 침투 저항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VA Fiber and Silica Fume Addition on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Alkali-Activated Slag)

  • 윤현노
    • 도시과학
    • /
    • 제12권2호
    • /
    • pp.13-18
    • /
    • 2023
  •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 of polyvinyl alcohol (PVA) fiber and silica fume addition on the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alkali-activated slag. Silica fume was added to replace slag at the dosage of 0, 5, 10, and 20% by weight of the binder, while PVA fiber was added at the dosage of 0, 1, and 2% by volume of the mixture. Samples were synthesized via alkali activator with 1.0 of silicate modulus and cured at room temperature for 28 days. Compressive strength test, permeable voids volume test, water absorprtion test, and rapid chloride penetration test were conducted for measuring the charaterisitics of alkali-activaed slag. The results showed that increasing silica fume content up to 10% in alkali-activated slag improved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Addition of PVA fibers up to 1% by volume enhanced strength and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but exceeding this led to reduced strength and durability due to increased void formation in the matrix.

시간의존성 염화물 확산계수를 고려한 확산 영향인자가 결정론적 및 확률론적 내구수명에 미치는 영향분석 (Analysis for Effect of Diffusion Parameter with Time-dependent Diffusion Coefficient on Service Life Considering Deterministic and Probabilistic Method)

  • 권성준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권3호
    • /
    • pp.259-268
    • /
    • 2016
  • 염해에 노출된 콘크리트 구조물의 내구수명 평가는 크게 결정론적 방법과 확률론적 방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다양한 설계인자에 따라 내구수명은 크게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시간의존성 확산계수 및 내부영향인자(기본확산계수, 임계염화물량, 시간지수)를 고려하여 변화하는 내구적 파괴확률과 이에 따른 내구수명을 도출하였다. 임계 염화물량이 133.3% 증가할 때, 내구수명은 결정론적 방법에서 134.0~145.4%의 증가비를 나타내었으며, 확률론적 방법에서는 149.2%~152.5% 증가비를 나타내었다. 시간지수가 200% 증가할 경우, 내구수명의 증가비율은 결정론적 방법에서 323.8%, 확률론적 방법에서 346.0%로 증가하였다. 시간의존성 확산계수를 사용하여 과다설계를 방지할 수 있는 합리적인 확률론적 내구설계를 수행할 수 있었으며, 혼화재료를 사용하여 시간지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매우 효과적인 내구수명 연장방안임을 알 수 있었다.

시멘트 바이패스 더스트에 존재하는 염화칼륨의 용해 및 수득 특성 (Solubility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KCl in Cement By-Pass Dust)

  • 윤영민;정재현;추용식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5권3호
    • /
    • pp.43-48
    • /
    • 2016
  • 시멘트 공장에서는 폐기물 재활용 측면에서 다양한 산업부산물 및 생활폐기물을 사용한다. 이들 폐기물에는 다량의 칼륨과 염소 및 소량의 중금속 등도 함유되어 있으며, 이들 성분을 유가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칼륨과 염소를 용해 결정화하여 염화칼륨을 수득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혼합수 함량, 슬러리 온도 및 교반시간 등을 제어하였다. 또한 수득 염화칼륨 중에 존재하는 중금속 종류 함량 등도 분석하였다. 염화칼륨 수득량은 혼합수 함량 증가에 따라 증가하였으나, 1 : 2 (더스트:혼합수) 이상에서는 소폭 증가하였다. 슬러리 온도에 따른 수득량은 일정온도 이상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교반시간 10분 이상에서는 수득량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다. 교반시간 증가에 따라 수득된 염화칼륨의 중금속 종류 함량도 다양하였으며, 주요 중금속은 Pb, Cu 및 $Cr^{6+}$ 등으로 확인되었다.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of concrete containing ground fly ash, bottom ash and rice husk ash

  • Inthata, Somchai;Cheerarot, Raungrut
    • Computers and Concrete
    • /
    • 제13권1호
    • /
    • pp.17-30
    • /
    • 2014
  • This research presents the effect of various ground pozzolanic materials in blended cement concrete on the strength and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An experimental investigation dealing with concrete incorporating ground fly ash (GFA), ground bottom ash (GBA) and ground rice husk ash (GRHA). The concretes were mixed by replacing each pozzolan to Ordinary Portland cement at levels of 0%, 10%, 20% and 40% by weight of binder. Three different water to cement ratios (0.35, 0.48 and 0.62) were used and type F superplasticizer was added to keep the required slump.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permeability were determined at the ages of 28, 60, and 90 days. Furthermore, using this experimental database, linear and nonlinear multiple regression techniques were developed to construct a mathematical model of chloride permeability in concretes.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corporation of GFA, GBA and GRHA as a partial cement replacement significantly improved compressive strength and chloride penetration resistance. The chloride penetration of blended concrete continuously decreases with an increase in pozzolan content up to 40% of cement replacement and yields the highest reduction in the chloride permeability.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s incorporating with these pozzolans was obviously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concretes at all ages. In addition, the nonlinear technique gives a higher degree of accuracy than the linear regression based on statistical parameters and provides fairly reasonable absolute fraction of variance ($R^2$) of 0.974 and 0.960 for the charge passed and chloride penetration depth, respectively.

응고제가 우유 첨가 두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oagulants on the Quality of Soybean Curd Added With Cow's Milk)

  • 김태영;김중만;조남준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7권5호
    • /
    • pp.370-378
    • /
    • 1994
  • 두유에 우유를 40% 첨가시킨 두부 제조를 위하여 각 응고제별 및 첨가농도별로 두부를 제조하여 gel형성, 순물(whey)의 탁도, 단백질함량, 두부 생산량, 무기질함량, 조직특성과 색도를 비교 조사하였다. Calcium염 응고제는 0.3%(v/v), magnesium chloride는 0.4%, 유기산 응고제는 0.2% 첨가수준에서 대두와 우유 단백질의 공침전이 일어났으며 각 응고제 첨가비율에 비례하여 whey 탁도와 단백질의 유출량이 낮아졌다. 각 응고제 첨가 적정수준은 calcium acetate, calcium sulfate, calcium lactate 가 각각 1.2%(v/v), calcium chloride, gluconodelta-lactone이 각각 1.0%(v/v), magnesium chloride, lactic acid 0.8%(v/v), acetic acid는 0.6%(v/v)였으며 두부 생산량은 calcium chloride를 응고제로 사용했을 때 가장 높았다. 무기질의 함량은 calcium염 응고제가 유기산 응고제보다 Ca은 약 3.3배 많았고 K, Mg, Na, Fe도 약간 높았다. Texturemeter에 의한 우유 첨가 두부의 조직특성 조사결과 가장 단단한 두부는 acetic acid 두부이었고 calcium염 중에서는 calcium sulfate가 단단하였다. 응고제별 두부의 색도 비교에서 명도는 유기산 두부가 약간 높았고 적색도와 황색도는 calcium염 두부가 높았다.

  • PDF

혼화재 혼입에 따른 콘크리트에 매립된 철근의 부식 임계 염화물량의 변화 (Variation of Critical Chloride Content of Rebar Embedded in Concrete with Admixture)

  • 박장현;이윤수;이한승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511-520
    • /
    • 2019
  • 혼화재 혼입에 따른 콘크리트의 철근부식 임계염화물량의 변화를 실험적으로 평가하였다. 콘크리트 배합조건은 OPC 100%, OPC 70% + GGBFS 30%, OPC 40% + GGBFS 60%, OPC 40% + GGBFS 40% + FA 20% 로 구분하여 4가지 배합의 철근 콘크리트 시험체를 제작하였다. 시험체에 NaCl 수용액을 공급하며, 매립된 철근의 자연전위를 모니터링 하였다. 부식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시험체는 NaCl 수용액 공급면으로부터 5mm간격으로 절단하여 염소이온량 프로파일을 실시하였다. 콘크리트에 매립된 철근의 부식 개시시기는 시멘트를 혼화재로 치환하여 사용하는 경우 지연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콘크리트에 매립된 철근의 부식임계염화물량은 혼화재 혼입율 증가에 따라 감소하여, OPC 1.46kg/㎥, S30 0.98kg/㎥, TBC 0.74kg/㎥, S60 0.71kg/㎥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