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3초

장애아동어머니의 자녀 취학준비 및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n the Preparation for Elementary School and the School Adjustment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 박천희;양성은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0권1호
    • /
    • pp.119-13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arenting experiences of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The study focused on how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prepared for their children's transition to elementary school and how they experienced their children's adjustment to school. Twenty mother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or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e study. Each mother had experienced an inclusive education program at an elementary school for more than a year. Twelve mothers hav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eight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dividual in-depth interviews were carried out to collect qualitative data. To analyze the data, the research followed the phenomenological analysis method of Giorgi. The results showed that mothers of disabled children were actively involved with inclusive day care centers and therapy programs to prepare for children elementary school. Most wished to send their children to a general elementary school with an inclusive program, although decision making was not easy. When their children entered elementary school, some mothers observed their children's struggle with school and their peer relationships. They sought support from teachers and other mothers. These mothers showed a desire for their children's social independence. This study highlighted the necessity to develop support programs for disabled children and their mothers.

장애아동 주양육자의 물리적환경과 정서적 환경 관계에서 지적 웰니스의 매개 작용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intellectual welln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nd emotional wellness of caregiv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 강지순;이현주;심옥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497-510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아동 양육자의 물리적·정서적 웰니스 사이에서 지적 웰니스의 매개효과를 조사하여 효율적인 관리 방안 제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장애아동 양육자 177명이며, 자료수집은 2019년 06월부터 2019년 11월까지 하였다. 자료분석은 PROCESS macro를 이용하였다. 일반적인 특성과 변수간 분석은 Independent t-test 및 ANOVA를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변수에 대하여는 Scheffé 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변수간 관련성 분석은 Pearson 상관관계 및 위계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 장애아동 주양육자의 물리적 웰니스와 지적 웰니스는 장애아동 양육자의 정서적 웰니스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또한 물리적 웰니스와 정서적 웰니스 사이에서 지적 웰니스가 매개효과를 제공하고 있다. 이는 장애아동이 가진 물리적 환경의 영향도 중요하지만, 주양육자에게 적절하고 충분한 지적 교육이 동반되어야 정서적 웰니스 증진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의 확대는 장애아동 양육자의 웰니스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지적장애아동의 식습관 유형과 식품군별 기호도가 적응행동문제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n Ado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정영숙;한방미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459-468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food preferences on the adoptive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urvey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six special education schools located in the Daegu-Kyungbuk area, and data were collected from 552 families and teachers with intellectually disabled students. Identification of eating habits began with a factor analysis, and the results were a five-factor solution. Among the five patterns, factors 1 and 2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behavior problems of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Further, food preferences of the children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adoptive behavior problems. The findings of this study clearly indicate that eating habits as well as food preferences are important factors in identifying adoptive behavior problems in intellectually disabled childre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eating habits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children are provided.

백색소음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의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about the Changes of the Writing Ability and Hand Function of the Children of Intellectual Disabilities According to the White Noise)

  • 손성민;곽성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6호
    • /
    • pp.265-275
    • /
    • 2019
  • 본 연구는 지적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백색소음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의 변화를 분석하여 백색소음의 적용에 따른 지적장애 아동의 쓰기 능력과 손 기능 변화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지적장애 아동 12명이며, 백색소음을 적용하여 대상자들의 적용 전, 후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을 분석하였다. 백색소음의 제공은 백색소음 발생기를 통해 연속적이며, 균일하게 제공하였다. 쓰기 능력의 분석은 KNISE-BAAT(Korea National Institute for Special Education-Basic Academic Achievement Tests) 도구를 활용하여 표기능력, 어휘구사력, 문장구사력을 평가하였다. 손 기능의 분석은 Manual Function Test(MFT) 도구의 세부항목인 Pegboard 항목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쓰기 능력 분석결과 대상자들의 표기능력과 어휘구사력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으며, 문장구사력에서는 향상이 나타나지 않았다. 손 기능 분석결과 양손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향상이 나타났다. 따라서, 지적장애 아동들의 저하된 쓰기 능력과 손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상적 접근방법으로 백색소음의 적용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며, 지적장애 아동들의 수행수준과 학습수준,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생활공간 및 학습공간에서 백색소음의 제공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대전 일부 지역 장애아동어머니의 우울수준 및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evel of depression and parent efficacy of the mother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in some areas of Daejeon)

  • 김미란;김나영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1권8호
    • /
    • pp.303-313
    • /
    • 2013
  •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둔 어머니의 우울수준과 부모효능감에 관한 연구로 지적장애아동의 어머니와 뇌병변장애 어머니의 우울수준을 비교했으며, 두 집단에 모두 가벼운 우울상태를 보였으나 통계학적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두 집단의 부모효능감 또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으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부모효능감 관계에서 가족수와 자조 모임 참여여부 변인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지적장애아동 어머니 중에서 자조모임에 참여하는 경우가 참여하지 않은 경우보다 부모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으나 뇌병변장애 아동 어머니 중에서 자조모임에 참여하지 않는 어머니의 부모효능감이 더 높게 나타났다. 우울수준과 효능감의 상관관계에서는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우울수준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모효능감을 하위유형인 좌절감과 관심으로 나누어 비교하였을 때 부모효능감이 높을수록 좌절감은 낮고, 관심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ICT 시대에서 게임놀이활동이 학령기 지적장애아동의 뇌파와 사회적 기술,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Game Play Activities on the EEG, Social Skills and the Self-control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ICT era)

  • 배선영;조화영;최수희;오명화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8호
    • /
    • pp.807-816
    • /
    • 2016
  • 본 연구는 게임놀이활동이 학령기 지적장애아동의 주의력관련 뇌파, 사회적 기술,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지적장애로 진단 받은 학령기 아동 6명으로 게임놀이활동을 주 2회, 5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게임놀이활동을 받은 실험군(p<.05)에서 중재 후 주의력 관련 뇌파(알파파, 베타파)와 사회적 기술, 자기 통제력 모두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의 집단 간 비교에서는 주의력 관련 뇌파중 알파파와 사회적 기술, 자기 통제력에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의미 있는 변화를 보여주었으며(p<.05), 베타파에서는 집단 간 변화의 차이가 없었다(p>.05). 이처럼 게임놀이활동은 지적장애 아동이 흥미롭게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점에서 지적장애 아동을 이해하고 문제의 예방과 치료에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 될 수 있다.

지적 장애인을 자녀로 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Caregiving Self-Efficacy)에 주는 영향: 장애인 생애주기의 조절효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differenc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upport and caregiving self-efficacy among mothers of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cross the life span)

  • 김교연
    • 한국가족복지학
    • /
    • 제23호
    • /
    • pp.43-70
    • /
    • 2008
  • 본 연구는 지적 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주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이 영향이 장애인 자녀가 속한 생애주기에 따라 달라지는가를 탐색하였다. 530명의 사례에 대한 분석 결과, 전체집단에서 어머니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가 많을수록 돌봄 자기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자녀 생애주기의 조절효과를 살펴본 결과, 아동의 어머니 집단에 비교해 청소년의 어머니 집단과 성인의 어머니 집단에서 효과의 크기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달랐다. 각 집단에 대한 분석 결과, 아동의 어머니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지 않은 반면, 청소년의 어머니 집단과 성인의 어머니 집단에서는 사회적 지지가 돌봄 자기효능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장애인 가족 연구에서 생애발달적 관점이 지지되었으며, 실천적으로는 청소년기와 성인기의 자녀를 둔 장애인 가족에 대한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되었다.

그룹감각통합치료가 학령전기 지적장애 아동의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ensory Integration Group Therapy on Fine Motor, Social Interaction and Playfulness of Preschool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 최지현;김희
    • 대한감각통합치료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5-34
    • /
    • 2018
  • 목적 : 본 연구는 학령전기 지적장애아동에게 제공한 그룹감각통합치료가 소근육 기능, 상호작용 및 놀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방법 : 지적장애 등록을 한 만3~5세 아동 4명을 대상으로 주 1회 90분씩, 총 12회기 실시하였다. 그룹감각통합치료는 평행놀이와 또래놀이 중심의 대근육 활동과 주제에 맞는 미술활동과 감각놀이로 구성하였다. 결과측정은 Erhardt Developmental Prehension Assessment(EDPA)와 또래놀이 상호작용 평점척도(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PIPPS), 놀이다움(The Test of Playfulness; ToP)를 사용하여 대상자의 사전사후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를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윌콕슨 순위 검정(Wilcoxon matched-pair signed rank test)을 사용하여 소근육 기능과 상호작용, 놀이의 중재 전후로 차이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 그룹감각통합치료 후, 소근육 기능은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상호작용과 놀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 : 그룹감각통합치료는 상호작용과 놀이능력 향상에 유용한 치료적 접근방법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지속적인 그룹 활동을 통하여 일상생활에서의 다양한 상황에 대한 일반화가 진행되길 기대한다.

형제관계 (Sibling Relationships)

  • 박영애;전귀연
    • 아동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43-59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Korean literature concerning sibling relationships during the last three decades and investigate facts and trends, research issues, and pragmatic and policy issues related to sibling relationship development. Most of the past research has been concerned with the effects of sibling status/structure variables on siblings' individual differences in intellectual, social and personality characteristics. In recent years, however, considerable attention has been focused o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between siblings and the factors influencing such relationships. More specifically, sibling relationships and adjustment of siblings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begin to draw attention of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This review consists mainly of two parts : one on siblings of children with no disabilities and the other on siblings with one disabled child.

  • PDF

2016년 전북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를 방문한 장애인환자에 관한 조사연구 (A SURVEY OF PATIENTS WITH DISABILITIES VISITING THE DEPARTMENT OF PEDIATRIC DENTISTRY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2016)

  • 장지혜;이대우;김재곤;양연미
    • 대한장애인치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5
    • /
    • 2017
  • According to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the portion of physical disability was 51.4% which was the highest among the registered disabled in December 2015, followed by visual disability(10.1%), disability of the brain lesions(10.0%), hearing disability(10.0%).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types of disability in patients with disabilities visiting the Pediatric Dentistry,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in 2016. Of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pediatric dentistry, 196 patients (7.5%) had disabilities, and 19 patients had two or more disabilities. Twelve patients (6.1%) had both disabilities of brain lesion and intellectual disorder. Of the 177 patients with only one disability, 54 patients (30.5%) had physical disorders and 123 patients (69.4%) had psychiatric disorders. In psychiatric disorders, intellectual disorder was the most with 98 patients (55.3%), followed by autistic disorder with 23 patients (12.9%). In physical disorders, disability of brain lesion was the most with 37 patients (20.9%), followed by speech disability with 8 patients (4.5%). In this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types of disability with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Pediatric Dentistry of Chonbuk National University Dental Hospital, most of them had either intellectual disorder, disability of brain lesion, or autistic disorder. Dentists need to understand their general and dental characteristics to treat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Since the most chief complaint of the patients was dental caries, early interventions should be made by dentist to reduce the incidence of the disea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