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ren's play Flow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1초

부모 놀이참여와 유아의 친화적 놀이주도성이 유아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유아 놀이몰입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Influence of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on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ren's Play Flow)

  • 변수영;임지영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8권6호
    • /
    • pp.37-57
    • /
    • 2022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whether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affect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rough children's play flow.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376 children between the age of 3 and 5 their parents in Daegu city and Gyeonsang provinc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questionnaires and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with SPSS 25.0 and AMOS 23.0 programs. Results: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children's play flow, and executive function according to the children's age and family income. Second, parent's play participation and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indirectly affected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through children's play flow.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highlights how children's play affects executive function. Also, the finding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signing various programs that can promote parent's play participation, children's friendly play initiative, and play flow, which affects the children's executive function.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아버지의 놀이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ather's Play Beliefs on Play Flow and Peer Play Behavior of Young Children, with Particular Focus on the Mediating Effects of Father's Play Participation)

  • 김정주;박형신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9-48
    • /
    • 2017
  • 본 연구는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놀이참여를 매개로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어떠한가를 분석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와 J도 소재 유아교육기관의 유아 242명과 그들의 아버지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이현지(2016)의 부모놀이신념 척도와 원희영(1998)의 부모 놀이참여 검사, 나은숙(2013)의 유아 놀이몰입 척도와 최혜영, 신혜영(2008)의 또래놀이행동 검사를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구체적으로 연구목적과 응답방법에 대한 안내지를 포함한 놀이신념과 놀이참여 질문지를 가정에 배부하여 아버지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유아의 놀이몰입과 또래놀이행동은 담임교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Hayes(2013)의 PROCESS macro를 활용한 매개모형(mediation model)의 유의성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놀이참여를 매개로 유아의 놀이몰입, 또래놀이행동 중 놀이방해, 놀이상호작용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는 아버지의 놀이신념과 놀이참여가 유아의 놀이에 대한 사회 정서적 측면에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이에 유아의 놀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아버지의 양육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으며, 아버지의 놀이신념이 실제적인 놀이참여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유아의 놀이만족과 건강한 놀이행동을 유도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이들 변인을 긍정적으로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논의하였다.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Play Teaching Efficacy and Play Sensitivity on Young Children's Play Flow)

  • 최인숙
    • 보건의료생명과학 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49-57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과 유아의 놀이몰입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J도에 위치한 유치원,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유아교사 359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도구는 교사를 대상으로 한 '놀이교수 효능감' 및 교사 놀이민감성 척도'와 유아를 대상으로 한 '유아놀입몰입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과 유아의 놀이몰입간의 상관 관계는 교사의 놀이민감성 하위요인 중 놀이 관찰과 유아놀이몰입 하위 요인 중 시간감각의 변형 외 모든 변인 간에 정적인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놀이교수효능감 및 놀이 민감성이 유아의 놀이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 본 결과 부분적으로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었다.

그림책과 연계한 유아 로봇놀이 경험과 의미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Robot Play in Young Children linked to Picture Books)

  • 안지수;남기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5호
    • /
    • pp.311-317
    • /
    • 2023
  • 본 연구는 유아·놀이 중심의 2019 개정 누리과정을 기반으로 만 5세 유아들이 그림책을 감상하는 과정에서 상상한 놀이적 아이디어를 T로봇(Turtle Robot)으로 실현하는 놀이창안의 경험과 그 의미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수집된 놀이사례는 각 그림책을 중심으로 놀이흐름도로 정리하여 놀이양상을 분석하였으며. 놀이 의미 읽기과정을 통한 놀이 범주화로 그 의미를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그림책 속의 다양한 놀이적 상상이 유아용 로봇으로부터 실현되는 놀이경험인 <그림책 연계 유아 로봇놀이>를 지원함으로써 유아주도의 창의적인 놀이창안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살펴보는 데 의의가 있으며, 나아가 유아 주체의 놀이중심 SW교육 방향모색에 근거를 제공하는데 가치가 있다.

유아들의 쌓기놀이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Block Play for Children)

  • 이경순;최석란
    • 아동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95-110
    • /
    • 2004
  • This research employs the grounded theory approach among various qualitative methodologies in order to reach a deep understanding of both the experiential process that children undergo in block play and the essential meaning of it. The objects of this study are 22 children(female 7, male 15) in a 5-year-old class of K kindergarten at Guro district, Seoul. The result of this research shows that first, children take pleasure in block play because of the delight and sense of accomplishment in building, the joy in demolishing, and the happiness of embracing the world through dramatic play with building structures.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s block play are popular subject of the play, decision of the subject, impromptu transformation and elaboration of building structures, and flow of the play according to friend/non-friend relationship. Third, the implicit rules shared by children have more significant influences upon the block play than the agreed rules at the beginning of semester.

  • PDF

창의성 증진을 위한 국내놀이터 공간특성 및 개선방안 연구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laygrounds Supporting Children's Creativity)

  • 윤여란;문정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5권4호
    • /
    • pp.90-97
    • /
    • 2016
  • As the paradigm which emphasizes nurturing creative elites is introduced, more attention has been paid to children playing and their creativity. This change means that the importance of creativity is emphasized in the education of children, and furthermore, playgrounds which focus on creativity and imagination are needed. Therefore, this study examine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playgrounds for children and suggested strategies to improve them. There are five spatial characteristics of a creative playground: aesthetics, being eco-friendly, exploration, challenging and variable. Through the five characteristics, playgrounds were analysed based on ten expressive elements and the results are summarized: Creative playgrounds for children should have an attractive design with sculptural elements which stimulate children to be excited through associable shapes and abstract colors. Second, shelter type structures and a flexible flow design are needed so that children can feel free and be encouraged to explore in diverse ways. Third, as playgrounds for children provide spaces for rest in addition to play, organic facilities and eco-friendly materials for the rest space should to be used. Fourth, as childhood is a period when emotional, cognitive and physical development are achieved, organic geographical features and atypical facilities should be provided so that children can acquire extensive skills and join in physical activities. Finally, creative playgrounds for children should have mobile or variable facilities which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ho want to do diverse activities and play different games. This study analysed playgrounds for children and suggested strategies to improve them. For successful design and use of creative playgrounds, it is suggested that intensive research on them and consultation with experts should be considered.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A is a Key Regulator of Cell Cycle Arrest and Senescence in Endothelial Colony-Forming Cells in Moyamoya Disease

  • Seung Ah Choi;Youn Joo Moon;Eun Jung Koh;Ji Hoon Phi;Ji Yeoun Lee;Kyung Hyun Kim;Seung-Ki Kim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6권6호
    • /
    • pp.642-651
    • /
    • 2023
  • Objective : Endothelial colony-forming cells (ECFCs) have been reported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athogenesis of moyamoya disease (MMD). We have previously observed stagnant growth in MMD ECFCs with functional impairment of tubule formation. We aimed to verify the key regulators and related signaling pathways involved in the functional defects of MMD ECFCs. Methods : ECFCs were cultured from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of healthy volunteers (normal) and MMD patients. Low-density lipoproteins uptake, flow cytometry, high content screening, senescence-associated β-galactosidase, immunofluorescence, cell cycle, tubule formation, microarray, real-time quantitative polymerase chain reaction, small interfering RNA transfection, and western blot analyses were performed. Results : The acquisition of cells that can be cultured for a long tim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late ECFC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MMD patients than the normal. Importantly, the MMD ECFCs showed decreased cellular proliferation with G1 cell cycle arrest and cellular senescence compared to the normal ECFCs. A pathway enrichment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ell cycle pathway was the major enriched pathway,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the functional analysis of ECFCs. Among the genes associated with the cell cycle,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 2A (CDKN2A) showed the highest expression in MMD ECFCs. Knockdown of CDKN2A in MMD ECFCs enhanced proliferation by reducing G1 cell cycle arrest and inhibiting senescence through the regulation of CDK4 and phospho retinoblastoma protein. Conclusion : Our study suggests that CDKN2A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growth retardation of MMD ECFCs by inducing cell cycle arrest and senescence.

인공지능과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모래성 놀이 가이드 애플리케이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Sandcastle Play Guide Application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and Augmented Reality)

  • 류지승;장승우;문유정;이정진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28권3호
    • /
    • pp.79-89
    • /
    • 2022
  • 최근 스마트폰이 널리 보급되고 모바일 기기의 그래픽스 처리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아이들의 물리적인 활동을 돕는 다양한 모바일 애플리케이션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인공지능과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해 모래성 쌓기 놀이를 안내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SandUp을 제안한다. 모래성을 쌓는 과정에서 아이는 모바일 증강현실 기술을 활용해 제시된 목표 모래성을 현실 세계에 증강하여 살펴볼 수 있다. 또한, SandUp은 모래성의 완성을 돕기 위해 단계적으로 필요한 모래 모양과 Task를 알려주고, 모바일 폰의 카메라와 딥러닝 인식모델을 이용해 실시간으로 현재 진행 상황을 인식하고 시각적, 청각적 피드백을 제공한다. 우리는 Flutter와 TensorFlow Lite를 이용해 SandUp 앱의 프로토타입을 구현하였다. 제안하는 SandUp 앱의 사용성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성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고 앱이 목표로 한 4-7세 아이들을 모집하여 실험을 진행했다. 실험 결과와 학부모의 피드백을 분석하여 앱의 발전 가능성 및 개선점을 도출하고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한다.

충남 예산 연극사 연구 (Study of the Theatrical History in Chungnam Yesan)

  • 도정님;이승원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07-117
    • /
    • 2019
  • 본 논문은 1920년 ~ 현재까지 예산연극의 변천과정 연구를 통해 연극의 가치를 확립하고 전파하며 지역의 고유한 연극성을 통해 대안을 제시하고 활성화에 목적을 둔다. 현재 중추적으로 활동하는 극단 예촌, 충남연극청소년연극제를 구분하여 기록하였으며 예산 유일의 예당국제공연예술제를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자료 유실로 한 공연 내용들은 가급적 적시하지 않고 1990년 이전 예산연극의 활동내용은 예산군, 읍, 면지를 활용하여 고증을 하였다. 또한 예산연극의 발전적 방향으로 연극의 다양성 부재에서 출발한다. 아동극이 단순한 상업목적으로 치부되거나, 한국의 전통연희극의 가치가 서양연극과 비교되는 현실에서 지역이 갖고 있는 자연적 특성과 전통문화 근간을 통해 지역 연극 발전을 촉진하고 레퍼토리 개발을 통해 극단의 경제성과 공연의 연속성을 지속해야한다. 또한 인프라(infrastructure) 구축을 꼽을 수 있다. 전문화된 배우의 유입과 예술행정가의 활용은 안정적 연극 환경을 조성하고 지역연극인들의 재교육을 활성화하여 연극적 상상력을 촉진시킨다. 또한 극단 예촌의 해외공연 사업에 젊은 예술가들의 실험적 연극방식을 도입하여 새로운 연극형식을 개발하는 것도 시급한 해결 과제이다. 또한 예당국제공연예술제를 특성화하여 다른 축제와의 차별성을 가져야 할 것이다.

통계적 파라미터지도 작성법(SPM)을 이용한 남여별 ADHD환자의 뇌 SPECT 영상비교분석 (Analysis of $^{99m}Tc-ECD$ Brain SPECT images in Boys and Girls ADHD using Statistical Parametric Mapping(SPM))

  • 박성옥;권수일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27권3호
    • /
    • pp.31-41
    • /
    • 2004
  • 남,여 ADHD환자별 뇌혈류 상태를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SPECT 영상을 획득하고, 유의수준에 따른 클러스터(cluster)의 분포변화와 혈류량 증가율과 감소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남자 어린이 ADHD환자군 51명과 정상군 8명, 여자 어린이 ADHD환자군 13명과 정상군 4명에 대하여. Multi SPECT3 camera를 이용하여 $^{99m}Tc-ECD$를 정맥 주사후 30분에 영상을 획득하고, 뇌혈류 상태를 통계적 파라미터 지도작성법(SPM)으로 분석하였다. 정상 어린이군에 대한 남,여 환자군의 뇌혈류 증가와 감소부위의 분포를 통계적 유의수준 P<0.001부터 P<0.05 범위에서 나타내었다. 남자 어린이 ADHD환자군에서 유의수준 P<0.02에서부터 P<0.05까지 대상회전(post. cingurate gyrus)에서만 혈류가 증가되었다. 증가율의 변화는 유의수준에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정상군보다 환자군은 평균 15.84%가 증가되었다. 여자의 경우, P<0.003에서 소뇌후엽 중앙상부, P<0.005에서 소뇌 중앙후엽과 좌측 대뇌변연엽(limbic lobe)에서 혈류증가 클러스터가 나타났다. P<0.009에서 P<0.01까지는 좌측대뇌 측두엽에서, P<0.02에서는 우측 대뇌측두엽과 좌측 대뇌 두정엽에서 혈류증가 클러스터가 나타났으며, 각 클러스터에서 평균 $24.68{\sim}31.25%$의 혈류증가율을 나타내었다. 남자 ADHD 질환군의 혈류 감소는 P<0.004에서 좌측의 대뇌 도이랑(Insula gyrus), P<0.005에서는 우측 대뇌 측두엽, P<0.007에서는 우측대뇌 전두엽, P<0.009에서 P<0.01까지는 좌측 대뇌전두엽 그리고 P<0.02에서는 대뇌전두엽 중앙이랑에서 혈류감소 클러스터가 나타났다. 혈류 감소율은 유의 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으며 평균 $15.21{\sim}16.64%$의 감소율을 나타내었다. 여자어린이 ADHD환자에서는 P<0.001에서 좌측 대뇌렌즈핵(lentiform nucleus)에서만 감소되었으며, P<0.003에서는 좌우 대뇌렌즈핵에서 모두 감소되었고 P<0.005에서 P<0.01까지는 좌우의 렌즈핵 외 좌측 대뇌 측두엽이랑등 3개의 감소 클러스터가 나타났다. P<0.03에서는 좌측 대뇌두정엽과 전두엽에서 감소되었고, 평균 $30.57{\sim}30.84%$의 혈류감소율을 나타내었다. 혈류감소율은 유의수준의 변화에 영향을 받지 않았다. ADHD환자의 뇌혈류증가, 감소율이 남자보다 여자환자에서 2배 정도가 많았고, 혈류 증가와 감소클러스터분포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나, ADHD환자의 분석은 남, 여별로 구분하여야 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