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ild-Pugh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7초

IL28B rs12979860 Gene Polymorphism in Egyptian Patients with Chronic Liver Disease Infected with HCV

  • Zekri, Abdel-Rahman N.;Salama, Hosny;Medhat, Eman;Bahnassy, Abeer A.;Morsy, Heba M.;Lotfy, Mai M.;Ahmed, Rasha;Darwish, Tarneem;Marei, Mohamad S.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17호
    • /
    • pp.7213-7218
    • /
    • 2014
  • Background: Egypt has one of the highest prevalences of hepatitis C virus (HCV) infection worldwide. Although the IL28B gene polymorphism has been shown to modify the course of chronic HCV infection, this has not been properly assessed in the Egyptian popul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e IL28B rs12979860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 was therefore examined in 256 HCV-infected Egyptian patients (group II) at different stages of disease progression and in 48 healthy volunteers (group I). Group II was subdivided into GII-A (chronic hepatitis patients, n=119), GII-B (post hepatitis cirrhosis, n=66) and GII-C (HCC on top of cirrhosis, n=71). Results: The C/T genotype was the commonest in all groups. It was more frequent in GI (52%) than in GII (48%).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C/T and C/C or T/T genotypes between groups and subgroups (p=0.82). Within the subgroups; the C/C genotype was more common in GII-B while C/T and T/T genotypes were more common in GII-C, though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p=0.59 and p=0.80). There was no significant association between IL28B rs12979860 SNP and viral load, ALT, AFP level, METAVIR scores for necro-inflammation and fibrosis, and Child-Pugh classification. Conclusions: 1) IL28Brs12979860 C/T genotype is the commonest genotype in HCV-associated CH and HCC in Egypt. 2) IL28Brs12979860 polymorphisms are not associated with disease progression or aggression (histological staging, severity of fibrosis in CH or the incidence of post-HCV HCC). 3) Differences in IL28Brs12979860 genotypes could be a consequence of environmental or ethnic variation.

Pre-operative Predictive Factors for Intra-operative Patholog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Rectal Cancers

  • Gao, Chun;Li, Jing-Tao;Fang, Long;Wen, Si-Wei;Zhang, Lei;Zhao, Hong-Chua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11호
    • /
    • pp.6293-6299
    • /
    • 2013
  • Background: A number of clinicopathologic factors have been found to be associated with pathological lymph node metastasis (pLNM) in rectal cancer; however, most of them can only be identified by expensive high resolution imaging or obtained after surgical treatment. Just like the Child-Turcotte-Pugh (CTP) and the model for end-stage liver disease (MELD) scores which have been widely used in clinical practice, our study was designed to assess the pre-operative factors which could be obtained easily to predict intra-operative pLNM in rectal cancer. Methods: A cohort of 469 patients who were treated at our hospital in the period from January 2003 to June 2011, and with a pathologically hospital discharge diagnosis of rectal cancer, were included. Clinical, laboratory and pathologic parameters were analyzed. A multivariate unconditio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areas under the curve (AUC), the Kaplan-Meier method (log-rank test) and the Cox regression model were used. Results: Of the 469 patients, 231 were diagnosed with pLNM (49.3%). Four variables were associated with pLNM by multivariate logistic analysis, age<60 yr (OR=1.819; 95% CI, 1.231-2.687; P=0.003), presence of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OR=1.637; 95% CI, 1.052-2.547; P=0.029), absence of allergic history (OR=1.879; 95% CI, 1.041-3.392; P=0.036), and direct $bilirubin{\geq}2.60{\mu}mol/L$ (OR=1.540; 95% CI, 1.054-2.250; P=0.026). The combination of all 4 variables had the highest sensitivity (98.7%) for diagnostic performance. In addition, age<60 yr and direct $bilirubin{\geq}2.60{\mu}mol/L$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prognosis. Conclusion: Age, abdominal pain or discomfort, allergic history and direct bilirubin were associated with pLNM, which may be helpful for preoperative selection.

Systematic Review of Single Large and/or Multinodular Hepatocellular Carcinoma: Surgical Resection Improves Survival

  • Yang, Xiang-Di;Pan, Ling-Hui;Wang, Lin;Ke, Yang;Cao, Ji;Yang, Chun;Zhong, Jian-Hong;Luo, Wang;Guo, Jiao;Li, Le-Qu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6권13호
    • /
    • pp.5541-5547
    • /
    • 2015
  • Background: The role of surgical resection for patients with single large (${\geq}5cm$) and/or multinodular (${\geq}2$)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is still controversial. This systematic review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resection for patients with single large and/or multinodular HCC. Materials and Methods: Databases (the PubMed, Web of Science, Embase, and Cochrane database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to identify relevant studies exploring the safety and efficacy of resection for single large and/or multinodular HCC, published between January 2000 and December 2014. Perioperative morbidity and mortality, overall survival, and disease-free survival of the resection group were calculated. In addition, these outcome variables were also calculated for the control group in the included studies. Results: On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d 42 nonrandomized studies involving 9,580 patients were eligible for analysis. Eight (1,594 patients) of the 43 studies also reported the outcomes of transarterial chemoembolization (TACE). Although 51.4% of patients featured cirrhosis, 90.7% of them demonstrated Child-Pugh A liver function in the resection group. The median rates of morbidity (24.5%) and mortality (2.5%) after resection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ACE (11.0%, P<0.001; 1.9%, P<0.001). However, patients who underwent resection had significantly higher median one-, three-, and five-year overall survival (76.1%, 51.7%, and 37.4%) than those who underwent TACE (68.3%, 31.5%, and 17.5%, all P<0.001). The median 1-, 3-, and 5-year DFS rates after resection were 58.3%, 34.6%, and 24.0%, respectively. Conclusions: Although tumor recurrence after resection for patients with single large and/ or multinodular HCC continues to be a major problem, resect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strategy to achieve long-term survival.

Impact of Chronic Hepatitis B and Hepatitis C on Adverse Hepatic Fibrosis in Hepatocellular Carcinoma Related to Betel Quid Chewing

  • Jeng, Jen-Eing;Tsai, Meng-Feng;Tsai, Hey-Ru;Chuang, Lea-Yea;Lin, Zu-Yau;Hsieh, Min-Yuh;Chen, Shinn-Chern;Chuang, Wan-Lung;Wang, Liang-Yen;Yu, Ming-Lung;Dai, Chia-Yen;Tsai, Jung-Fa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5권2호
    • /
    • pp.637-642
    • /
    • 2014
  • The pathogenesis of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related to habitual betel quid (BQ) chewing is unclear. Risk of HCCis increased with adverse hepatic fibrosis. 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impact of chronic viral hepatitis on adverse hepatic fibrosis in HCC related to BQ chewing. This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enrolled 200 pairs of age- and gender-matched patients with HCC and unrelated healthy controls. Serologic hepatitis B surface antigen (HBsAg), antibodies to hepatitis C virus (anti-HCV), ${\alpha}$-fetoprotein (AFP), and surrogate markers for significant hepatic fibrosis were measured. Information on substance-use habits was obtained with a questionnaire. By analysis of surrogate markers for hepatic fibrosis, the prevalence of significant hepatic fibrosis in patients chewing BQ was between 45.8% and 91.7%, whereas that for patients without BQ chewing was between 18.4% and 57.9%. The difference was significant (P <0.05 for each surrogate marker). Multivariate analysis indicated that cirrhosis with Child-Pugh C (odds ratio (OR) = 3.28; 95% confidence interval (CI), 1.29-8.37), thrombocytopenia (OR = 3.92, 95% CI, 1.77-8.68), AFP >400 mg/L (OR = 2.21, 95% CI, 1.05-4.66) and male gender (OR = 4.06, 95% CI, 1.29-12.77) were independent factors associated with habitual BQ chewing. In conclusion, adverse hepatic fibrosis and severe liver damage play important roles in the pathogenesis of BQ-related HCC, which could be aggravated by chronic hepatitis B and hepatitis C. BQ-cessation programs and prevention of chronic HBV/HCV infection are needed to prevent HCC related to BQ chewing.

Is higher dose always the right answer in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for small hepatocellular carcinoma?

  • Lee, Kyung Hwa;Yu, Jeong Il;Park, Hee Chul;Park, Su Yeon;Shin, Jung Suk;Shin, Eun Hyuk;Cho, Sungkoo;Jung, Sang Hoon;Han, Young Yih;Lim, Do Hoon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36권2호
    • /
    • pp.129-138
    • /
    • 2018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mpare clinical outcomes and treatment-related toxicities after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SBRT) with two different dose regimens for small hepatocellular carcinomas (HCC) ${\leq}3cm$ in size. Materials an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44 patients with liver-confined HCC treated between 2009 and 2014 with SBRT. Total doses of 45 Gy (n = 10) or 60 Gy (n = 34) in 3 fractions were prescribed to the 95% isodose line covering 95% of the planning target volume. Rates of local control (LC), intrahepatic failure-free survival (IHFFS), distant metastasis-free survival (DMFS), and overall survival (OS) were calculated using the Kaplan-Meier method. Results: Median follow-up was 29 months (range, 8 to 64 months). Rates at 1 and 3 years were 97.7% and 95.0% for LC, 97.7% and 80.7% for OS, 76% and 40.5% for IHFFS, and 87.3% and 79.5% for DMFS. Five patients (11.4%) experienced degradation of albumin-bilirubin grade, 2 (4.5%) degradation of Child-Pugh score, and 4 (9.1%) grade 3 or greater laboratory abnormalities within 3 months after SBRT.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seen in any oncological outcomes or treatment-related toxicities between the two dose regimens. Conclusions: SBRT was highly effective for local control without severe toxicities in patients with HCC smaller than 3 cm. The regimen of a total dose of 45 Gy in 3 fractions was comparable to 60 Gy in efficacy and safety of SBRT for small HCC.

원발성 간암의 국소 방사선치료 시 선량반응 관계 (Dose Response Relationship in Local Radiotherapy for Hepatocellular Carcinoma)

  • 박희철;성진실;한광협;전재윤;문영명;송재석;서창옥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9권2호
    • /
    • pp.118-126
    • /
    • 2001
  • 목적 : 본 연구에서는 원발성 간암의 국소 방사선치료 시 조사선량을 높여준 것이 종양의 반응의 향상을 유도하였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저선량을 조사하였던 환자들과 고선량을 조사하였던 환자들의 종양의 반응 및 부작용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적절한 조사선량 범위를 결정하는데 유용한 기준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대상 환자의 선정 기준은 방사선치료의 과거력이 없는 경우, 간외전이가 없는 경우, 간경변증의 정도가 Child's class A 또는 B군인 경우, 종양이 전체 간 용적의 2/3를 넘지 않는 경우, 전신수행도가 ECOG 3기 이상으로 악화되지 않은 경우로 하였다. 1992년 1월부터 2000년 3월까지 원발성 간암에 국소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은 환자들 중 158명이 연구 대상에 포함되었다. 조사영역은 종양과 주변 부위 $2\~3\;cm$를 포함하였고 일일 1.8 Gy씩 주 5회 조사되었다. 방사선치료 전과 종료 후 $4\~6$주째의 컴퓨터 단층 촬영 영상 및 자기 공명 영상, 간동맥 혈관 촬영 영상 등을 이용하여 조사영역 내의 종양의 반응을 평가하였다. 주 1회 혈액 검사를 시행하여 말초 혈액 혈구수 및 간기능을 관찰하였다. 치료의 종료 후 체중 증가, 복수, 간종대 등의 소견을 관찰하였고 4주와 8주에 간기능 검사를 시행하였다. 위장관계의 부작용은 상부위장관 내시경을 시행하여 확인하였다. 종양의 관해 정도에 따라 반응군과 비반응군으로 구분한 후 조사선량의 분포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대상을 조사선량에 따라 세 군으로 분류하고 종양의 반응과 임상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결과 : 종양의 반응은 106명이 부분 관해를 보여서 반응군의 비율은 $67.1\%$이었다. 완전 관해는 없었다. 종양이 $50\%$ 이하로 감소된 경우가 41명$(25.9\%)$, 종양의 진행을 보인 경우가 11명$(7\%)$이었다. 반응군의 평균 조사선량은 $50.1{\pm}6.6\;Gy$이었고 비반응군의 평균 조사선량은 $44.3{\pm}9.0\;Gy$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도 조사선량이 p-value 0.001로 유일하게 의미 있는 인자로 나타났다. 종양의 반응률은 조사선량이 40 Gy 미만인 군에서 $29.2\%$, 40 Gy에서 50 Gy사이인 군에서 $68.6\%$, 50 Gy를 넘는 환자 군에서 $77.1\%$로 나타났다. 종양의 크기는 40 Gy 미만인 군에서 $9.8{\pm}2.6\;cm$, 40 Gy에서 50 Gy사이인 군에서 $9.8{\pm}2.6\;cm$, 50 Gy를 넘는 환자 군에서 $8.3{\pm}3.2\;cm$로 고선량을 조사한 군에서 작았다. 간문맥 혈전증은 각각 $66.7\%,\;64.7\%,\;37.3\%$에서 양성으로 50 Gy를 넘는 선량이 조사된 군에서 상대적으로 간문맥 혈전증의 양성률이 낮았다. 방사선 간염, 십이지장의 궤양은 조사선량을 증가시킬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경미한 정도의 복수가 발생하거나 전형적인 방사선 간염의 발생, 위장관계의 염증 등이 치료 전 간경변증이 심할수록 현저히 많이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다. 결론 : 원발성 간암에서 국소 방사선치료를 시행하는 경우 고선량이 조사될수록 반응군의 비율이 증가하는 선량반응 관계가 성립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고선량이 조사될수록 대상 환자의 종양의 크기가 작았고 간문맥 혈전증의 비율도 적었는데 이는 병기가 낮은 경우 완치를 목표로 오히려 고선량을 투여하는 경향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조사선량이 50 Gy를 넘는 경우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른 반응률의 향상이 현저하지 않은 반면 방사선 간염의 발생은 간경변증의 정도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는 점을 고려할 때, 조사선량의 증가는 반드시 치료를 받는 대상 환자의 간기능과 간경변증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조심스럽게 진행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진행된 간세포암에서의 간문맥 혈전증에 대한 방사선치료 효과 (The Role of Radiotherapy in the Treatment of Portal Vein Thrombosis from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 김정훈;최은경;안승도;이상욱;신성수;최원식;임영석;김강모;서동진;정영화;이영상;원형진;김종훈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3호
    • /
    • pp.170-176
    • /
    • 2007
  • 목적: 치료방법이 정립되지 않은 진행된 간세포암에서의 간문맥 혈전증에 대한 방사선치료의 효과와 간독성을 측정함으로써 향후 방사선치료의 효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0년 5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원발성 간세포암으로 진단받은 환자 중 간문맥 혈전증이 동반된 7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하였다. 대상 환자들의 나이는 $24{\sim}74$세(중앙값 51세)였으며, 대부분이 Child-Pugh's class A, B였고 Eastern Cooperative Oncology Group (ECOG) 2 이하였다. 방사선치료는 3차원입체조형치료를 시행하였으며, 1회 선량은 $2{\sim}4$ Gy로 총방사선량은 $40{\sim}60$ Gy (중앙값 48 Gy)였으며, 생물학적 유효선량(biologic effective dose)은 $31.3{\sim}78.0\;Gy_{10}$ (중앙값 61.6 $Gy_{10}$)였다. 결과: 치료 반응평가는 치료 전과 치료 종료 후 최소 1개월 이상 경과 후 컴퓨터 단층촬영(CT)을 시행하여 평가하였으며, 대상 환자들의 추적관찰기간은 $2{\sim}24$개월(중앙값 9개월)이었다. 방사선치료 후 완전반응인 경우가 2명(2.9%), 부분반응 31명(44.3%), 무반응 35명(50.0%), 진행병변 2명(2.9%)이었다. 1년 무진행 생존율(progression-free survival)은 60%였으며, 중앙 무진행 생존기간은 17개월이었다. 전체 환자의 중앙 생존기간(overall survival)은 11개월이었으며, 치료반응 유무에 따라 부분 반응 이상을 보인 환자군의 중앙 생존기간은 15개월, 무반응이거나 진행병변을 보인 환자군은 8개월로 통계학적 차이를 보였다(p=0.032). 치료 중 일시적인 간기능 저하가 4명(5.7%), 방사선 간염은 1명(1.4%)에서 발생하였다. 결론: 진행된 간세포암에서의 간문맥 혈전에 대해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경우 비교적 유용하며 안전한 치료법이며,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방사선치료가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여부와 적절한 방사선량을 결정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위마비증과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 환자에서 Aprepitant의 효과 (Effect of Aprepitant in Patient with Gastroparesis and Related Disorders)

  • 정경원;박무인
    • 대한소화기학회지
    • /
    • 제72권6호
    • /
    • pp.325-328
    • /
    • 2018
  • 위마비증(gastroparesis)이나 만성 구역 구토 증후군(chronic unexplained nausea and vomiting)으로 인한 구역과 구토에 대한 치료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위장관 촉진제에 만족스럽지 못한 경우가 많고, 여러 부작용으로 인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워 보다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필요하다. 최근 미국에서 발표된 본 연구는 위마비증이나 연관 증후군 환자에서 구역과 구토 증상을 줄이기 위한 aprepitant(neurokinin-1 receptor antagonist) 치료의 효과를 분석한 것으로, 향후 일반적인 치료에 불응성 위마비증 환자에서 새로운 약제 사용을 시도해볼 수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본 Aprepitant for the Relief of Nausea (APRON) 연구는 기질적 질환을 배제하기 위하여 최근 2년 이내 위내시경이 정상이며, 적어도 6개월 이상 조기 포만감(early satiety), 식후 만복감(postprandial fullness), 팽만감(bloating) 그리고 명치부 통증(epigastric pain)을 유발하는 증상과 함께 만성적인 구역이 있는 18세 이상의 성인 중 4시간의 위배출 검사를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객관적인 지표로 0점에서 45점까지 보이는 9-증상 Gastroparesis Cardinal Symptom Index(GCSI)가 2주 이상 총 21점 이상이며, 0-100 mm의 visual analog scale (VAS)의 7일간의 구역 증상 평균 25 mm 이상인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일주일에 3일 이상 narcotics를 사용하였거나 와파린이나 pimozide, terfenadien, astemizole, cisapride를 복용하였던 환자, 2배 이상으로 간 효소 수치상승을 보이거나 Child-Pugh score 10점 이상, aprepitant에 알레르기를 보이는 환자는 제외되었다. 그렇지만 metoclopramide나 erythromycin을 안정적으로 사용 중인 환자는 제외되지 않았다. 위배출 검사는 2시간에서 60% 이상 남아 있거나 4시간에서 10% 이상 남아 있는 경우에 지연된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지연된 위배출 검사 결과 자체는 환자의 등록 기준에 포함되진 않았다. 등록 기준에 포함된 환자는 1:1로 무작위 배정되어 하루 한 번 125 mg의 aprepitant 복용군과 위약군으로 나누어져 연구가 진행되었으며, 약제 복용 4주간 2주 간격으로, 그리고 복용 후 2주 뒤까지 구역 증상의 호전 정도와 약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효과를 판정하기 위하여 환자가 방문하는 동안 GCSI를 포함한 Patient Assessment of Upper GI Symptoms (PAGI-SYM),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daily VAS,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 그리고 정신 측정 도구와 삶의 질 도구인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15와 Short Form 36 version이 측정되었다. 구역에 대한 aprepitant와 위약의 치료 효과의 일차적 판정은 이전 항암 요법에 대한 aprepitant 연구와 같이 28일 평균 VAS 25 mm 미만이거나 치료 전 7일간의 VAS와 비교하여 28일 치료 기간 동안 25 mm 이상 감소한 경우로 정의하였고, 이차 결과는 구역의 매일 시간, 치료 중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PAGI-SYM score의 개선 등으로 확인하였다. 2013년 4월부터 2015년 7월까지 총 126명의 환자가 등록되어 aprepitant군 63명, 위약군 63명으로 무작위 배정되었다. 전체의 57%인 72명에서 위배출 지연이 보였으며, 나머지 43%에서는 정상 또는 빠른 위배출 소견을 보여 만성적으로 설명할 수 없는 구역과 구토에 포함된 환자군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29%에서 당뇨를 가지고 있었으며, 8%에서 수면제를 사용하고 있었다. 최종적으로 aprepitant군은 59명, 위약군은 63명이 연구를 끝까지 종료하였다. 일차 결과에서 aprepitant 군 46%, 위약군 40%의 구역 호전을 보여 두 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상대 위험도 1.2, 95% CI: 0.8-1.7; p=0.43). 그러나 일차 분석의 두 가지 척도(28일 평균 VAS 25 mm 미만과 기저 VAS보다 평균 28일 VAS의 25 mm 이상 감소)를 모두 함께 고려한 민감도 분석에서는 aprepitant군이 37% (22/59)로 위약군의 17%(11/63)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구역의 호전을 보였다(상대 위험도 2.1, 95% CI: 1.1-4.1; p=0.01). 또한 이차 분석을 살펴보면 aprepitant군에서 PAGI-SYM 중증도 지수로 확인하였을 때, 구역(1.8 vs. 1.0; p=0.005)과 구토(1.6 vs. 0.5; p=0.001)의 중증도 및 매일 구역 시간의 감소를 보였고, 28일 동안 구역이 없는 날짜의 퍼센트 증가 소견을 보였다. 다른 이차 결과 분석에서 aprepitant군이 PAGI-SYM 중증도 지수의 GCSI 종합 점수(1.3 vs. 0.7; p=0.001), 상당한 증상호전, 구역 구토의 세부 점수, 팽만감 세부 점수 그리고 위식도 역류 증상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고, 매일 일기로 표현한 daily diary version of the GCSI에 상복부 통증 중증도, 전체 증상 그리고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의 종합 점수에서 호전을 보였다. 연구 중 발생한 부작용은 주로 경증과 중등도 정도의 부작용이 주로 발생하였지만, aprepitant군(35% vs. 17% 위약군, p=0.04)에서 더 많이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위마비증 또는 위마비증 유사 증후군으로 인한 만성 구역 및 구토 환자의 무작위 시험에서 aprepitant는 VAS 점수를 통한 주요 결과를 분석하였을 때는 구역의 중증도를 호전시키지 못하였지만 다른 이차적 결과에 대해서는 위약군에 대하여 호전 소견을 보였다. 따라서 aprepitant에 효과적인 반응을 보이는 위마비증 환자를 감별하는 추가 임상시험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