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Chiak

검색결과 48건 처리시간 0.022초

역사문화적 관점에서의 치악산국립공원 구룡계곡 소나무림의 식생구조 및 관리방안 (Vegetation Structure and Management Planning on the Historical Landscape of Pinus densiflora Forest in Guryong Valley, Chiak National Park)

  • 오희영;강현경;김명섭;백승준;홍점규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117-131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raw vegetation landscape elements in the ancient literature, investigate plant community structure, understand vegetation structure, and suggest reasonal conservation management methods. As a result of analyzing ancient literature, geomorphological landscapes in Guryong valley were canyon landscape and valley surrounded in Mt. Chiak. Plant landscape factors were as followed. Rhododendron spp. spread around valley. Also, Pinus densiflora communities were distributed in Guryong valley around. Especially, the entrance zones of Guryong valley were described as covered with Pinus densiflora and Whangchangkumpyo(黃腸禁標). Therefore, it was estimated that entry of Guryong valley was covered with Pinus densiflora community landscape. As for current vegetation result, the main vegetation was divided into mixed deciduous broad-leaved trees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s a result of analysis by TWINSPAN for community classification, five communities(Deciduous broadleaved trees, Pinus densiflora, Pinus densiflora-Abies holophylla, Abies holophylla, and Pinus koraiensis community) were classified. To maintain historic plant landscape and conserve crucial resources, Pinus densiflora community was classified as concentrated conservation management area($105,472m^2$). To maintain Pinus densiflora landscape which has high historical and cultural value of Guryong valley, it was considered that active density control of lower layer vegetation would be necessary. Accordingly, to conserve P. densiflora landscape, Whangchangkumpyo(?腸禁標), that area was separated into Pinus densiflora lower layer forest management area($84,029m^2$) and Pinus densiflora seedling conservation management area($21,443m^2$). In understory of Pinus densiflora lower layer flora, the target tree species for elimination and management were Quercus serrata and Quercus mongolica. They were $4{\sim}6trees/100m^2$ and their average diameter was 7.1cm. To preserve Pinus densiflora seedlings, areas with Sasa borealis, the ground vegetation of Pinus densiflora community, rate of 80% or more should be selected as priority management areas and concentrated elimination and management of Sasa borealis should be implemented. Likewise, traditional Pinus densiflora forest is a historically cultural heritage to preserve with sustainable interest and survey. Efficient management method through systematic monitoring system should be made.

치악산 국립공원의 주연부 식생구조 (Edge Vegetation Structure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오구균;권태호;조일웅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19-36
    • /
    • 1988
  • 치악산국립공원의 주연부 식생구조 및 출현수종을 밝히기 위해 1988년 7월-9월 사이에 현지조사를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수관선형, 수간선형 및 전진형 주연부식생이 나타나고 있었으며, 주연부에서 삼림내부로의 거리에 따른 출현수종들이 수관층위별 상대우점치 변화가 방위와 기존 상층우점수종별로 달랐다. 특히, 남사면의 소나무림 내부에서 주연부 양수들이 우세하게 출현하고 있었으며, 북사면 계류 주연부에서는 호습성수종들이 양수들과 함께 우세하게 출현하였다. 삼림주연부로부터 삼림내부로의 거리가 증가할 수록 수관층위별 종수 및 개체수, 종다양도 및 상이도는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주연부깊이는 15-20m로 나타났다. 환경유형별 관목층과 임상층의 주연부우점수종은 고도와 지형적 위치 즉, 계곡부, 능선, 정상부에 따라 달랐으며 특히, 정상부의 주연부 우점수종은 독특하였다. 그리고 고도, 지형적 위치 및 방위가 주연부식생간의 유사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 방위 및 지형적위치에 따라 주연부 수종들의 출현빈도계급이 달랐으며, 병꽃나무는 전지역에서 높은 출현빈도를 나타냈으며 병꽃나무, 신갈나무, 물푸레나무, 다래, 산딸기, 소나무, 생강나무, 노린재나무, 두릅나무는 대체적으로 전지역에서 주연부 수종으로 출현했다.

  • PDF

치악산 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 토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 (Trail and Campground Deteriorations, and Their Environmental Changes of Soil and Vegetation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권태호;오구균;권영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50-65
    • /
    • 1988
  • 치악산국립공원의 구룡사지구를 대상으로 등산로 및 야영장의 훼손실태와 그 주변토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등산로의 상태를 표현하는 등산로 폭 및 나지노출폭은 이용밀도에 따른 차이가 인정되었으며. 최대깊이는 등산로물매와 직선회귀관계($R^2$=0.35)가 성립되었다. 전구간에 걸쳐 출현빈도가 높은 등산로 훼손형태는 암석노출 (48%). 종침식(29%), 및 뿌리노출(27%) 등의 순이었으며 등산로물매가 훼손발생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등산로 주변토양 및 식생인자의 변화경향은 일정하지 않았으나 이용객의 간섭형태에 따라 변화경향을 구분할 수 있었다. 야영장에서의 수목훼손형태 및 출현빈도는 이용객의 영향범위의 판단에 유의한 기준이었으며 소나무림야영장이 혼효림야영장보다 훼손범위가 넓었고, 훼손형태별 출현빈도는 거리 및 수관층위에 따라 달랐다. 토양함수량, 토양산도, 토양경도. 하층수관의 피복도, 100$m^2$당 출현수종수, 개체수, 상층 및 중층의 흉고단면적 등의 인자는 야영장에서 임내방향으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유의한 회귀관계를 보였으며, 야영장에서의 이용간섭의 영향범위는 70~80m이상이었다. 야영행위에 대한 내성수종으로는 고추나무, 산뽕나무, 국수나무, 광대싸리 등이 파악되었다.

  • PDF

치악산의 식생과 토양에 미친 산불의 영향 (Effects of Fire on Vegetation and Soil Nutrients in Mt. Chiak)

  • 박봉규;김종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4권1호
    • /
    • pp.31-45
    • /
    • 1981
  • 본 연구는 불이 난 초지에서 불의 영향이 식생과 토양에 어떠한 변화를 미치는가를 관찰하기 위해, 불이 난 지역과 불이 나지 않은 인접지역에서 식생과 토양을 조사하였다. 1. 각 임지에 나타난 중요치를 기초로 하여 불이 난 지역에서 높은 값을 나타내면 Increaser species, 낮은 값을 나타내면 Decreaser species로, 그 외의 종은 Neutral species로 무리지었다. 2. 불이 난 지역에서의 생체량은 불이 나지 않은 지역의 약 2.2배로 증가되어, 불로 인해 생산성이 증가됨이 밝혀졌다. 3. 임지간의 유사성 비교는 B$_1$B$_2$가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U$_1$U$_2$로 나타났으며, 불이 난 지역과 불이 나지 않은 지역간에는 B$_2$U$_2$가 높았는데, 그 까닭은 불의 영향이 지형적 특성 가운데 경사도와 경사 방향에 따라 크게 다르게 나타남을 제시해 주었다. 4. 종 다양성은 불로 인해 증가되었다. 5. 토양내의 pH 및 유기물함량은 증가되었으나, 수분함량은 현저한 감소를 나타냈는데, pH와 수분함량에 있어서 15~20cm의 토양까지는 불의 영향이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6. 질소함량, 인산함량과 치환성 염기등은 모두 불로 인해 증가되었는데, 특히 Na를 제외한 모든 성분들이 표층에서 높게 나타났는바, 이 까닭은 Na가 바른 성분들에 비해 해리도가 커서 용탈에 의해 6~10cm의 토양에서 큰 값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 PDF

한국산 둑중개 (Cottus poecilopus Heckel)의 성적 이형 (Sexual Dimorphism in a River Sculpin(Cottus poecilopus Heckel) in Korea)

  • 변화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14-21
    • /
    • 1996
  • Cottus poecilopus Heckel의 성적 이형을 조사하기 위하여 치악산 계류에서 1993년 1월 부터 1994년 4월까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령별 암수의 체장 구성비에 있어서 수컷이 암컷 보다 다소 컸으며, 뒷지느러미, 배지느러미, 가슴지느러미의 길이와 입의 크기에 있어 수컷이 암컷보다 길다. 혼인색(nuptial color)과 생식적 유두(genital papilla)는 수컷에서만 존재한다. 암컷은 산란시 큰 수컷을 선호하며, 큰 수컷은 수정란을 보호하고 수류를 일으키는데 우세하며 수정난 생존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또한 큰 입은 산란장을 형성하거나 보호하는데 이점이 있다. 이러한 성적 형태의 차이는 본종의 성적 선택의 결과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생각된다.

  • PDF

3D 프린팅의 교육적 활용 방안 연구 : 창의적 디자인 모델 기반 수업 (A Study on Educational Utilization of 3D Printing : Creative Design Model-based Class)

  • 최형신;유미리
    •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167-174
    • /
    • 2015
  • 최근 3D 프린팅의 영향력에 대한 관심의 증가와 3D 프린터의 저가 공급으로 인해 가까운 장래에 공교육 현장에도 3D 프린터가 교육 기자재로 도입될 것이다. 미래창조과학부와 산업통상자원부 합동으로 3D 프린팅 산업 발전 전략을 마련하여 초 중등의 교육과정에 3D 프린팅 개념 이해와 실습 내용을 포함한 시범 교육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현장에 3D 프린터가 도입될 것이라고 하지만 이에 대응하기 위한 교육 내용과 방법에 대한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3D 프린터를 사용하기 위해 선결 능력인 3D 모델링 능력을 위한 다양한 3D 모델링 소프트웨어를 분석하고 이를 초등교과에 도입할 수 있도록 창의적 디자인 모델(creative design spiral)에 기반한 교육 프로그램을 고안하고 적용하였다.

'Mansu', a Hardy Kiwifruit (Actinidia arguta Planch. et Miq.) Cultivar with Improved Storage Life

  • Jung, Byung Joon;Cho, Hye Sung;Park, Moon Young;Cho, Youn Sup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5호
    • /
    • pp.755-760
    • /
    • 2016
  • In general, the storage life of hardy kiwifruit (Actinidia arguta) is approximately one month, even in cold storage, which is a limiting factor for its commercialization due to the short marketing period. This short shelf life is in contrast to those of green kiwifruit (A. deliciosa, 6 to 8 months) and gold kiwifruit (A. chinensis, 4 to 6 months). To increase the storage life of hardy kiwifruit, we performed a cross between A. arguta (a local collection, 'Hy2-1', female) and A. deliciosa ('Matua', male) at Wando station at the Fruit Research Institute of JARES, Korea in 1999. After the first selection in 2006, we clonally propagated the hybrid plants by grafting them onto A. arguta seedlings in Gwangyang and Haenam province, Korea. We performed the final selection of this cultivar in 2012 and applied for plant protection rights from th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in 2013. Several experimental orchards have been established for commercial production. 'Mansu' begins to flower on May 20 in Gwangyang. The horticultural maturity date in 'Mansu', when the soluble solid content reaches $7^{\circ}Bx$, is October 15, whereas that of the control variety ('Chiak') is October 5. The average fruit size of 'Mansu' is approximately 15 g. The soluble solid content of 'Mansu' is approximately 16 to $17^{\circ}Bx$ after ripening. The total yield of mature 'Mansu' vines is estimated to be 2.2 to 2.5 tons per 10a. The fruit firmness of 'Mansu' exceeded 1.5 kg/5 mmØ until 70 days after storage (at 0 and $1^{\circ}C$). Therefore, 'Mansu' fruits have much longer storability than the control. The cultivation and production of 'Mansu' may extend the marketing period for hardy kiwifruit.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 사정에 관한 연구 (Evaluation on The Actual Vegetation and The Degree of Green Naturality in Chiak Mountain National Park)

  • 김용식;김갑태;김준선;임경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9-18
    • /
    • 1988
  •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현존식생과 녹지자연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식생상관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하여 녹지자연도 조사에 관한 사정기준에 따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치악산의 현존식생은 농경지와 인공 조림지를 포함하여 모두 11개의 식생군으로 분류되었다. 이 중에서 소나무 군집이 36.83%로 가장 넓었으며, 신갈나무 군집이 22.35%. 소나무-신갈나무 군집이 7.37%의 순으로 나타났다. 소나무와 신갈난무의 순림 또는 이 수종에 의한 혼효림은 총 면적의 74.50%로 거의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한편 치악산의 녹지 자연도 등급은 자연성이 높은 녹지 자연도 9가 전체의 35.9%로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으며, 녹지 자연도 8은 28.5%를 차지하여, 결과적으로 볼 때에 현재 치악산 국립공원 지역의 자연성은 매우 높은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소나무 공간분포의 지형학적 분석 (Topographical Analysis for Spatial Distribution of Pinus densiflora)

  • 김태민;이우균;손요환;유성진;김소라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8권6호
    • /
    • pp.764-771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설악산과 치악산 국립공원에서 소나무 공간분포와 경사, 방위, 고도 등의 지형학적 인자간의 연관성을 분석 하였다. 다양한 격자크기에서 방위에 따른 소나무의 공간분포 분석결과, 100 m 격자크기가 소나무의 공간분포 특성을 설명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100 m 격자크기에서 지형인자에 따른 소나무 출현빈도는 고도 400~800 m, 경사 $15^{\circ}{\sim}30^{\circ}$, TWI 0~2에서 각각 가장 높게 분석되었으며, 방위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고도의 계급별로 지형인자에 따른 소나무 출현빈도 차이는 고도가 400 m 이하 일 때 지형인자에 따른 소나무 분포특성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한반도산 등줄쥐 Apodemus agrarius corease Thomas(포유강, 설치목)의 미토콘드리아 DNA의 변이 (Variation of Mitochondrial DNA in Striped Field Mice, 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Mammalia, Rodentia), from the Korean Penisula)

  • 고흥선;유상규;김상복;유병선
    • Animal Systematics, Evolution and Diversity
    • /
    • 제9권2호
    • /
    • pp.171-179
    • /
    • 1993
  • 한반도의 8개 지역에서 채집한 39마리의 등줄쥐(Apodemus agrarius coreae Thomas)의 미토콘드리아 DNA(mtDNA)를 8가지의 제한효소로 digestion시켰으며, 이들 mtDNA 절단단편들을 분석하였다. 전부 31개의 절단단편들이 나타났고, 7개의 mtDNA clone이 밝혀졌으며, 전체 8개 지역의 39마리 중에서 8개 지역의 32마리(속초, 1중에 1; 치악산, 5중에 4; 월악산, 3중에 3; 속리산, 2중에 2; 덕유산, 2중에 2; 지리산, 4중에 3; 해남, 4중에 2; 청주, 18중에 15)가 동일한 한 clone에 속했다. 또한 이들 7개 mtDNA clone들 간의 nucleotide-sequence divergence (p)의 범위는 0.2%-2.3%였으며, 이들 clone들은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subgroup으로 구분되지 않았다. 한반도산 등줄쥐는, mtDNA genotype에 있어서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 집단으로 나뉘어지지 않았으므로, 단일 아종인 Apodemus agrarius coreae임을 확인하게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