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 radiographs

검색결과 144건 처리시간 0.023초

결핵성 농흉의 임상적 특성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uberculous Empyema)

  • 신무철;이승준;윤석진;김은진;이응배;차승익;박재용;정태훈;김창호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0권5호
    • /
    • pp.516-522
    • /
    • 2006
  • 배 경 : 결핵성 농흉은 단순 결핵성 흉막염보다 빈도는 낮으나 공동이나 중증 폐결핵과 흔히 동반되 고, 배농과 함께 장기적인 치료를 요하는 흉강의 만성적 활동성 감염질환이다. 국내에서도 이러한 결핵성 농흉 환자가 드물지 않게 발생하고 있으나 지금까지 이에 대한 연구가 거의 없었다. 방 법 : 1991년 1월부터 2004년 4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에서 결핵성 농흉으로 진단된 17예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조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 대상환자 17예 중 12예(71%)에서 폐결핵 치료 과거력(6예) 혹은 현재 치료중인 폐결핵(6예)과 관련이 있었으며, 가장 흔한 증상으로는 객담이 동반된 기침, 발열, 호흡곤란의 순이었다. 중증 폐결핵 병변이 53%, 공동성 병변이 12%, 농기흉이 41%에서 관찰되었다. 흉막액 분석이 가능하였던 8예 모두에서 다형핵백혈구 우세의 삼출액이었으며, 세균성 감염이 47%에서 동반되어 있었다. 객담 항산균 도말검사는 71%, 객담 결핵균 배양검사는 64%에서 양성을 보였으며, 흉막액의 항산균 도말검사는 33%, 흉막액 결핵균 배양검사는 36%에서 양성을 보였다. 추적 관찰된 16예 중에서 외과적 치료를 시행한 3예를 포함한 12예(75%)에서 성공적으로 치료되었고, 2예(12%)는 사망하였다. 결 론 : 결핵성 농흉은 농기흉을 동반한 중증의 폐결핵과 흔히 동반되고, 흉막액의 백혈구 감별계산에서 다형핵백혈구 우세를 보이며, 흉막강의 세균성 감염이 흔히 동반되었다. 따라서 심한 폐병변과 동반되어 완전한 농이나 다형백혈구 우세 소견을 보이는 화농성 흉막액 환자에서 결핵성 농흉을 감별진단에 반드시 고려하여 이에 대한 적극적인 조사와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유방암 환자에서 보조적 방사선치료 후의 폐 손상 (Radiation-induced Pulmonary Toxicity following Adjuvant Radiotherapy for Breast Cancer)

  • 문성호;김태정;엄근용;김지현;김성원;김재성;김인아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5권2호
    • /
    • pp.109-117
    • /
    • 2007
  • 목 적: 유방암 환자에서 보조적 방사선치료 후 호흡기 증상을 동반한 방사선 폐렴(SRP) 및 방사선학적 폐 독성(RPT)의 빈도 및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예측인자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특히 3차원 방사선계획에서 얻은 선량체적히스토그람(DVH) 인자와 RTP의 상관관계를 중심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3년 9월부터 2006년 2월까지 171명의 환자가 유방암으로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다. 2개의 tangential photon 조사야가 통상적으로 사용되었고, 액와부 림프절 전이 정도에 따라 anterior oblique photon 조사야를 추가하였다. 유방 보존술 후 보조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침윤성 유방암 환자에는 전자선을 이용한 boost가 적용되었다. 방사선 치료 후의 정기추적 흉부 단순촬영소견을 흉부방사선전문의와 함께 검토, 분석하였다. RTOG 특성기준 및 modified WHO grading system을 적용하였다. 조사받은 방사선량에 따라 $V_{15},\;V_{20},\;V_{30}$ 및 mean lung dose (MLD)를 구하되, 동측 폐를 tangential 및 SCL 영역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DVH parameters 즉 $V_{15\;TNGT},\;V_{20\;TNGT},\;V_{30\;TNGT},\;MLD_{TNGT}$$V_{15\;SCL},\;V_{20\;SCL},\;V_{30\;SCL},\;MLD_{SCL}$을 구하여 RPT와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결 과: 호흡기 증상을 동반한 방사선 폐렴(SRP)이 4예(2.1%)에서 발생하였다(RTOG grade 3가 3예 grade 1이 1예). 나이 흡연여부, 기존폐질환유무, 항암요법, 호르몬치료, regional RT 여부 등은 SRP와 무관하였다. 3-RTP가 시행된 137예 중 13.9%에서 tangential 영역에 RPT가 발생하였다. Regional RT를 받은 59 중 49.2%에서 SCL 영역에 RPT가 발생하였다. Regional RT 유무(p<0.001), 환자의 나이(p=0.039), V15 TNGT를 제외한 모든 DVH parameter들이 RPT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MLD_{TNGT}$는 TNGT 영역의 RPT를, $V_{15\;SCL}$는 SCL 영역의 RPT를 예측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 론: 본 연구에서 SRP의 빈도는 매우 낮았다. Regional RT 여부와 환자의 나이, DVH parameter들이 RPT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으며, $MLD_{TNGT}$는 TNGT 영역에서, $V_{15\;SCL}$는 SCL 영역에서 RPT의 유의한 예측인자였다.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적 가치 -병변과 기관지의 관계에 따른 진단율을 포함한 연구- (Diagnostic Value of Transbronchial Lung Biopsy -Including Diagnostic Yield According to Tumor-bronchus Relationship-)

  • 강태경;차승익;박재용;채상철;김창호;정태훈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8권4호
    • /
    • pp.438-447
    • /
    • 2000
  • 연구배경 : 흉부 방사선사진상 국한성 혹은 미만성 음영을 보이는 환자로 비관혈적인 통상의 검사로 진단이 되지 않은 경우에 병변의 크기와 위치에 따른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의 차이, 폐암의외 경우 세포형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 병변의 위치결정에 있어 흉부전산화단층촬영사진과 경기관지폐생검의 일치율, 종양과 기관지의 관계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 등을 조사하여 시술 전에 폐질환의 진단 가능성을 예측함으로써 적절한 진단적 접근방법을 선택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였다. 방 법 : 경북대학교병원에서 경기관지폐생검을 시행 하였던 278명을 대상으로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1) 대상환자 278예 가운데 116예에서 경기관지폐생검으로 진단이 가능하였고 경피침생검 등의 다른 방법으로 진단된 76예를 포함하여 총 192에서 확진이 되었다. 2) 확진된 192예 가운데 악성종양에 대한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64.7%로 양성질환의 53.9%에 비해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9). 원발성 폐암으로 확진된 110예에 대한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선암과 소세포암이 나머지 세포형에 비해 진단율이 높았다(p<0.01). 양성질환의 경우 결핵의 양성질환에 비해 높았다(p<0.05). 3) 폐야를 내측 1/3, 중간 1/3, 외측 1/3 그리고 상, 중, 하 폐야의 3구역으로 나누었을 때의 진단율 그리고 폐문 혹은 기관분기부(carina)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진단율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진단된 192예에서 병변의 양상에 따른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은 양성질환의 경우 병변의 양상에 따른 진단율의 차이가 없었으나 악성종양회 경우에는 미만성 및 다발성 결절 병변의 진단율이 국한성 병변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p<0.05). 5) 병변의 크기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크기가 클수록 진단율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6). 6) 병변의 위치판정시 흉부전산화단충촬영과 기관지 내시경 검사는 높은 일치울을 보였다(r=0.994, p<0.01). 7) 기관지-종피의 상관관계에 경기관지폐생검의 진단율을 비교하면 종괴와 기관지의 관계를 확인할 수 없는 VII형을 제외하고는 기관지가 종괴와 만나는 부위에서 단절되는 I형과 기관지가 종괴내로 일부가 틀어가는 II형에 대한 진단율이 유의하게 높았다(p<0.05). 결 론 : 폐병변의 위치를 결정하는데 전산화단층촬영과 경기관지폐생검은 높은 일치율을 보이고 전산화단층촬영상 '기관지정후'(bronchus sign)에 해당되는 I형과 II형에서 진단율이 높았다. 기관지와 종괴의 해부학적 관계를 보다 정확히 규명하기 위해 thin section 전산화단층촬영이 도용이 될 것으로 생각되며 향후 이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경기관지폐생검을 이용해 병변으로 접근이 어려운 경우 경피침생검 등이 진단에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유로키나제 주입치료의 예후인자 (The Predictors of Effectiveness on Urokinase Instillation Therapy into Loculated Pleural Effusion.)

  • 송기산;방제소;곽승민;조철호;박찬섭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4권3호
    • /
    • pp.621-628
    • /
    • 1997
  • 연구배경 : 흉막의 염증성 변화가 생기면 흉막의 혈관 및 임파관의 투과성의 증가로 인한 혈장단백질의 유입으로 인해 흉막 비후와 격막의 형성으로 인하여 소방이 형성된다. 이러한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 있어 흉막강내 섬유소용해 치료의 하나로 유로키나제 치료가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치료효과 예측을 위한 지표에 대한 연구는 미미한 실정이다. 이에 저자들은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생화학적 지표들과 초음파검사상의 격막의 정도를 이용하여 유로카나제 치료효과에 대한 예측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1993년 4월부터 1996년 4월까지 인하병원에서 소방이 형성된 흉막삼출액 소견을 보인 3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부 초음파검사와 흉막삼출액에 대한 생화학적 검사를 시행하였고, 1개의 경피적 도관을 삽입하여 배액량이 100ml/day 이하로 감소되면 유로키나제를 주입하였고 배액량이 50ml/day 이하로 측정되면 유로키나제 주입을 중단하였다. 흉부단순촬영 추적검사에서 50% 이상의 폐실질의 확장을 보이면 치료효과군으로, 50% 미만의 확장을 보이면 치료실패군으로 분류하여, 각군들에 대한 초기 흉막 삼출액의 당, 단백질, LDH, ADA, pH, 백혈구 수와 초음파 상의 격막 정도를 무에코형, 선상 격막형, 벌집형으로 구분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 1) 대상환자 35명중 치료효과군은 27명 (77.1%)이었고, 치료실패군은 8명(22.9%)였으며, 성과 연령에 있어서의 차이는 없었다. 2) 치료효과군과 치료실패군 사이의 증상발현 기간에 있어서 치료실패군에서 유의하게 길었으며, 유로키나제 주입치료 기간중의 배액량도 적음을 알 수 있었다. 치료효과군에서 $89.7{\pm}35.9mg/dl$, 치료실패군에서 $41.2{\pm}47.1mg/dl$로 치료실패군에서 의미있게 낮은 결과를 보였으며, LDH는 치료효과군에서 $878.7{\pm}654.3IU/L$, 치료실패군에서 $2711.1{\pm}973.1IU/L$로 치료실패군에서 의미있게 높은 결과를 보였고(P<0.05), 단백질, pH, ADA, 백혈구수에 있어서는 의미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 론 : 이상의 결과로 소방이 형성된 흉막질환에서 경피적 도관 삽입을 통한 유로키나제 주입치료의 효과를 판정할 수 있는 지표로 증상발현 기간이 길수록, 흉막삼출액의 당이 낮을수록, LDH 의 수치가 높을수록, 초음파 검사상 격막의 정도가 심할수록 치료가 어려운 것을 나타내는 예측인자임을 추정할수 있었다.

  • PDF

폐의 융모상피암 1예 (A Case of Pulmonary Choriocarcinoma)

  • 박세미;양우인;문지애;변민광;정우영;최상봉;정재희;강신명;박무석;김영삼;장준;조남훈;조상호;김성규;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3호
    • /
    • pp.237-240
    • /
    • 2007
  • 저자들은 39세 남자 환자에서 부검을 통해 폐의 융모상피암종을 확인하였으나 고환과 같은 생식선 또는 성선 이외(extragonad) 부위에서의 암종 존재 유무를 확인하지 못하여 원발성인지 혹은 전이성인지를 구분하지 못한 폐의 융모상피암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폐결핵(肺結核)이나 기타 폐질환환자(肺疾患患者)에서의 진균(眞菌) 합병증(合倂症) (Fungal Complications in Patients with Pulmonary Tuberculosis or Other Lung Diseases)

  • 김상재;홍영표;김신옥
    • 한국균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26-32
    • /
    • 1988
  • 성공적인 결핵치료에도 불구하고 계속적인 만성기침 또는 객담이 있거나 간헐적인 혈담 또 각혈이 있는 환자와 그외에도 진균감염이 의심되는 환자 등 총 1,192명을 대상으로 하여 모든 환자로부터 혈청을 채취하고 대부분의 환자로부터 객담이나 기타 병리가검물을 채취하여 흉부 x선소견과 함께 진균감염여부를 관찰하였다. 면역확산법검사에 의해 한가지 이상의 진균항원에 대해 양성반응을 나타내는 환자는 전체의 34.0%인 405명이고 그중에서 Aspergilli에 감염된 환자는 303명이었고, 대부분의 환자(287명)가 Aspergillus fumigatus에 감염되어 있고 그 다음은 Aspergillus flavus(1.7%) Aspergillus nidulans(0.3%), Aspergillus niger(0. 3%), Aspergillus nidulans var. latus(0.1%)순이며 Candida albicans(8.1%)에도 침강항체반응이 나타났으며 Pseudallerscheria boydii 드물게 분리되는데 9명(8.1%)에도 침강항체반응을 나타내었다. 침강항체반응 양성을 나타내는 186명의 흉부 x선사진에서 진균종 음영이 나타나는 환자가 47명이었고 이들 가운데서 45명이 A. fumigatus 의해 형성되었다. 진균감염 또는 미감염환자 724명의 객담에서 발견되는 진균가운데 46.4%가 Aspergilli였다. 413명의 환자객담에서 분리된 137주의 효모양균주를 분리 동정할 결과 그중 Candida albicans(64.2%)가 가장 많았다.

  • PDF

폐암에 의한 악성 흉막삼출환자에서 OK-432와 Doxycycline 흉막유착술의 비교 (Comparison of OK-432 and Doxycycline Pleurodesis for Malignant Pleural Effusions Caused by Lung Cancer)

  • 정재호;박무석;정재희;김영삼;장준;김주항;곽승민;김성규;김세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2권6호
    • /
    • pp.590-596
    • /
    • 2002
  • 목 적 : 폐암은 악성 흉막 삼출액의 가장 흔한 원인으로 흉관 삽입후 흉막유착술을 시행하는 것이 치료에 널리 이용 되어왔다. 흉막경화제는 여러 종류가 알려져 있으나 그 효과나 부작용은 약제마다 차이가 있다. 이에 저자들은 대표적 흉막경화제인 doxycycline과 새로운 약제인 OK-432의 효과, 부작용 및 무병기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4년 1월부터 2001년 8월까지 흉막천자 세포진검사 혹은 흉막조직검사상 악성 흉막염이 확인된 폐암환자 중 OK-432나 doxycycline으로 흉막유착술을 시행한 79명의 환자에게서 흉막 유착술 후 30일째의 성공률을 조사하였으며, 약제의 부작용과 무병 생존기간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 과 : OK-432와 doxycycline을 이용한 흉막유착술 후 30일째의 성공률은 각각 83%와 87%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p=0.677), 부작용으로 발열은 OK-432군 (59%, p=0.001)에서 유의하게 많았고, 통증은 doxycycline군 (73%, p=0.008)에서 유의하게 많았다 무병기간은 두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OK-432 : 13.6개월, doxycycline : 11.6개월)(p=0.532). 결 론 : 폐암으로 인한 악성 흉막액을 치료하는 OK-432는 doxycycline과 비슷한 흉막유착술치료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무기폐를 동반한 폐암의 방사선 치료 (Effect of Radiation Therapy on Atelectasis from Lung Cancer)

  • 홍성언;홍영기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8권1호
    • /
    • pp.73-77
    • /
    • 1990
  • 1981년부터 1989년까지 경희대학 부속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무기폐를 동반한 폐암으로 방사선 치료를 받은 환자중, 과거력상 폐절제술, 항암요법, 방사선치료등의 기왕력이 있는 환자를 제외한 42명을 대상으로 치료성적을 분석하였다. 1. 비소세포성 폐암은 $62\%$ (21/34), 소세포성 폐암은 $75\%$ (6/8)에서 각각 무기폐가 방사선 치료 후 재팽창 되었으며, 전체 환자의 $64\%$ (27/42)에서 부분 또는 완전반응(reexpansion)을 나타내었다. 2. 방사선 총선량이 40 Gy (1297 ret) 이하와 40 Gy (1337 ret) 이상인 군에서 반응은 각각 $50\%$ (6/12)와 $70\%$ (21/30)이 었으며, 총선량과 무기폐 반응사이에는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p<0.01). 3. 분할조사선량에 따른 반응율은 소선량($180\~200$ cGy)에서는 $53\%$ (14/22), 대선량(300 cGy)에서는 $65\%$ (13/20)이었다. 4. 이상의 성적으로 보아 무기폐를 동반한 폐암 환자중에서, 특히 수술과 항암요법으로 치료가 곤란하고 조속한 처치를 요하는 비소세포성 폐암에서 방사선 치료의 중요한 역할이 확인되었다.

  • PDF

폐기종의 연무흡입 폐환기스캔 소견 (Radioaerosol Inhalation Lung Scan in Pulmonary Emphysema)

  • 전정수;박영하;정수교;박용휘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229-236
    • /
    • 1990
  • Perfusion and ventilaion imagings of the lung are well established procedure for diagnosing pulmonary embolism, differentiation it from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and making an early detection of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radioaerosol inhalation imaging (RII) in chronic obstructive lung disease, especially pulmonary emphysema, we analyzed RIIs of five normal adult non-smokers, five asymptomatic smokers (age 25-42 years with the mean 36), and 21 patients with pulmonry emphysema (age 59-78 years with the mean 67). Scintigrams were obtained with radioaerosol produced by a BARC nebulizer with 15 mCi of Tc-99m-phytate. Scanning was performed in the anterior, posterior, and lateral projections after five to 10-minute inhalation of the radioaerosol on sitting position. The scans were analyzed and correlated with the results of pulmonary function studies and chest radiographs. Also lung perfusion scan with $^{99m}Tc-MAA$ was performed in 12 patients. In five patients, we performed follow-up scans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a bronchodilator. Based on the X-ray findings and clinical symptoms, pulmonary emphysema was classified into four types: centrilobular (3 patients), panlobular (4 patients), intermediate (10 patients), and combined (4 patients). RII findings were patternized according to the type, extent, and intensity of the aerosol deposition in the central bronchial and bronchopulmonary system and lung parenchyma. 10 controls, normal five non-smokers and three asymptomatic smokers revealed homogeneous parenchymal deposition in the entire lung fields without central bronchial deposition. The remaining two of asymptomatic smokers revealed mild central airway deposition. The great majority of the patients showed either central (9/21) or combined type (10/21) of bronchopulmonary deposition and the remaining two patients peripheral bronchopulmonary deposition. Parenchymal aerosol deposition in pulmonary emphysema was diffuse (6/21), discrete(6/21), intermediate (3/21), or combined (6/21). In 12 patients studied also with perfusion scans, perfusion defects matched closely with ventilation defects in location and configuration. But the size of the ventilation defects was generally larger than the perfusion defects. In all four patients treated with bronchodilators, the follow-up study demonstrated decrease in abnormal of radioaerosol deposition in the central airway with improvement of ventilation defects. RII was useful technique for the evaluation of regional ventilatory abnormality and the effects of treatment with bronchodilators in pulmonary emphysema.

  • PDF

Bronchial compression in an infant with isolated secundum atrial septal defect associated with severe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 Park, Sung-Hee;Park, So-Young;Kim, Nam-Kyun;Park, Su-Jin;Park, Han-Ki;Park, Young-Hwan;Choi, Jae-Young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5권8호
    • /
    • pp.297-300
    • /
    • 2012
  • Symptomatic pulmonary arterial hypertension (PAH) in patients with isolated atrial septal defect (ASD) is rare during infancy. We report a case of isolated ASD with severe PAH in an infant who developed airway obstruction as cardiomegaly progressed. The patient presented with recurrent severe respiratory insufficiency and failure to thrive before the repair of the ASD. Echocardiography confirmed volume overload on the right side of heart and severe PAH (tricuspid regurgitation [TR] with a peak pressure gradient of 55 to 60 mmHg). The chest radiographs demonstrated severe collapse of both lung fields, and a computed tomography scan showed narrowing of the main bronchus because of an intrinsic cause, as well as a dilated pulmonary artery compressing the main bronchus on the left and the intermediate bronchus on the right. ASD patch closure was performed when the infant was 8 months old. After the repair of the ASD, echocardiography showed improvement of PAH (TR with a peak pressure gradient of 22 to 26 mmHg), and the patient has not developed recurrent respiratory infections while showing successful catch-up growth. In infants with symptomatic isolated ASD, especially in those with respiratory insufficiency associated with severe PAH, extrinsic airway com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Correcting any congenital heart diseases in these patients may improve their sympto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