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st computed tomography

검색결과 753건 처리시간 0.03초

폐격리증을 동반한 기관지 내 평활근종 -1예 보고- (Endobronchial Leiomyoma Combined with Pulmonary Sequestration -A case report -)

  • 이석열;오재윤;이승진;이철세;이길노;조현득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7호
    • /
    • pp.556-560
    • /
    • 2006
  •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42세 여자환자가 단순 흉부 촬영상 좌측 폐의 무기폐 소견을 보였다. 기관지 내시경과 흉부 컴퓨터 단층촬영상 좌측 주기관지에 종괴가 발견되었다. 조직검사상 종괴는 기관지 평활근종으로 진단되었다. 개흉술을 실시하여 좌측 주기관지절개를 하고 종괴를 제거하자 중엽은 정상적으로 환기가 되었다. 또한 하행대동맥에서 좌폐하엽으로 공급되는 이상동맥이 발견되어 좌폐하엽 절제수술을 동시에 실시하였다. 병리검사상 좌폐하엽은 내엽형 폐격리증으로 진단되었다. 저자들은 기관지 평활근종과 내엽형 폐격리증이 공존하는 드문 질환을 치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좌심방 점액종 제거 후 재발한 우심방 점액종(재발한 점액종) -1예 보고- (Recurred Right Atrial Myxoma after Resection of Left Atrial Myxoma (Recurred Myxoma) -A case report-)

  • 정진우;강신광;제형곤;송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4호
    • /
    • pp.301-304
    • /
    • 2007
  • 33세 남자가 심와부 불편감을 주소로 내원하여 흉부컴퓨터단층촬영과 심초음파에서 좌심방 내 점액 종으로 수술적 절제하였다. 12개월 후 외래추적 검사에서 첫 번째 수술과 관계없는 부위인 우심방 내 점액종이 발견되어 재수술하였으며 10개월간 재발 없이 지내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좌심방 내 점액종 제거 후 재발된 좌심방 내 점액종은 보고된 적이 있지만, 우심방에 재발된 경우는 보고된 바가 없어 치험례를 보고한다.

흉막삼출을 동반한 맥관육종 1예 (A Case of Angiosarcoma Presenting Pleural Effusion)

  • 경쾌수;정성광;이혜경;전우기;염호기;김동순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1권1호
    • /
    • pp.36-41
    • /
    • 1994
  • 저자들은 호흡곤란을 주소로 내원한 44세 남자에서 기관지 내시경검사, 흉막생검, 복부초음파검사, 흉부단층촬영을 시행한 결과 흉막삼출을 동반하는 폐의 전이성 맥관육종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식도-종격동 누공을 동반한 식도결핵 1예 (A Case of Esophago-mediatinal Fistula Due to Esophageal Tuberculosis)

  • 박은호;장태원;박무인;송준영;최인수;옥철호;정만홍;권진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62권6호
    • /
    • pp.531-535
    • /
    • 2007
  • 식도결핵은 매우 드문 질환으로 원발성으로 발생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발생한다 하더라도 대부분 속발성으로 발생한다. 가장 흔한 원인으로는 종격동 림프절의 침범에 의해 인접해 있는 식도로 전파되는 것으로 이러한 경우 식도-종격동 누공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가 있다. 저자들은 식도결핵 및 이의 합병증으로 식도-종격동 누공이 형성된 환자를 항결핵제 투여만으로 식도결핵의 호전과 누공의 폐쇄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식도 누공으로 자연 배액된 종격동 췌장성 가성낭종 (Mediastinal pancreatic pseudocyst naturally drained by esophageal fistula)

  • 박수호;박승근;김상현;최원규;심범진;박희욱;정찬우;최재원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54-259
    • /
    • 2017
  • Mediastinal pancreatic pseudocyst is a rare complication of acute or chronic pancreatitis. Pleural effusion and pneumonia are two of the most common thoracic complications from pancreatic disease, while pancreaticopleural fistula with massive pleural effusion and extension of pseudocyst into the mediastinum is a rare complication of the thorax from pancreatic disease.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re have been no case reports of mediastinal pancreatic pseudocyst-induced esophageal fistula in Korea to date. Here in, we report a case about 43-year-old man of mediastinal pancreatic pseudocyst-induced esophageal fistula presenting with chest pain radiating toward the back and progressive dysphagia. The diagnosis was confirmed by an esophagogastroduodenoscopy and abdomen computed tomography (CT). The patient was treated immediately using a conservative method; subsequently, within 3 days from treatment initiation, symptoms-chest pain and dysphagia- disappeared. In a follow-up gastroscopy 7 days later and abdomen CT 12 days later, mediastinal pancreatic pseudocyst showed signs of improvement, and esophageal fistula disappeared without any complications.

Double primary lung adenocarcinoma diagnosed by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mutation status

  • Kwon, Oh Jung;Lee, Min Hyeok;Kang, Sung Ju;Kim, Seul Gi;Jeong, In Beom;Jeong, Ji Yun;Cha, Eun Jung;Cho, Do Yeun;Kim, Young Jin;Son, Ji Woong
    • Journal of Yeungnam Medical Science
    • /
    • 제34권2호
    • /
    • pp.270-274
    • /
    • 2017
  • A nodular density was detected on a chest radiograph taken from a 57-year-old Korean woman who was visiting a hospital for a routine check. Chest computed tomography revealed a 4.8 cm lobulated mass in the right lung and another focal nodular lesion in the left lung; biopsies of both lungs revealed adenocarcinoma. We conducted DNA sequencing and peptide nucleic acid clamping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double primary lung cancer. The results verified that the mass in the right lung had a mutation in the epidermal growth factor receptor, whereas the nodule in the left lung had a wild-type sequence, showing that these two were genetically different cancers from one another. Thus, we demonstrate that genetic testing is useful in determining double primary lung cancer, and we herein report on this case.

자발성 종격동 기흉: 작게 청진된 심음을 주소로 내원한 신생아 (Decreased heart sound in a healthy newborn: Spontaneous multiseptated cystic pneumomediastinum with delayed respiratory distress)

  • 최영준;김은선;김이경;김한석;천정은;김우선;김인원;최중환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3권2호
    • /
    • pp.244-247
    • /
    • 2010
  • 자발성 종격동 기흉은 신생아기에 발생하는 호흡곤란의 드문 원인 중의 하나이며 대부분의 증례에서는 인공호흡, 출산손상, 태변흡입 등이 선행하는 경우가 많으며, 또한 대다수가 미숙아로 알려져있다. 저자들은 신생아 진찰 중 심음이 적게 들리는 소견으로 발견되었던, 위와 같은 위험인자가 없는 건강한 만삭아에서 발생한 자발성 종격동 기흉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Case of seropositive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in a 10-year-old girl without previously documented asthma

  • Shin, Jeong Eun;Shim, Jae Won;Kim, Deok Soo;Jung, Hae Lim;Park, Moon Soo;Shim, Jung Yeon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8권5호
    • /
    • pp.190-193
    • /
    • 2015
  • Allergic bronchopulmonary aspergillosis (ABPA) is a hypersensitivity lung disease due to bronchial colonization of Aspergillus fumigatus that occurs in susceptible patients with asthma or cystic fibrosis. A 10-year-old girl was referred to the Department of Pediatric Pulmonology for persistent consolidations on chest radiography. Pulmonary consolidations were observed in the right upper and left lower lobes and were not resolved with a 4-week prescription of broad-spectrum antibiotics. The patient had a history of atopic dermatitis and allergic rhinitis but no history of asthma. She had no fever but produced thick and greenish sputum. Her breathing sounds were clear. On laboratory testing, her total blood eosinophil count was $1,412/mm^3$ and total serum IgE level was 2,200 kU/L. Aspergillus was isolated in the sputum culture. The A. fumigatus-specific IgE level was 15.4 kU/L, and the Aspergillus antibody test was also positive. A chest computed tomography scan demonstrated bronchial wall thickening and consolidation without bronchiectasis. An antifungal agent was added but resulted in no improvement of pulmonary consolidations after 3 weeks. Pulmonary function test was normal. Methacholine provocation test was performed, revealing bronchial hyperreactivity ($PC_{20}=5.31mg/mL$). Although the patient had no history of asthma or bronchiectasis, ABPA-seropositivity was suspected. Oral prednisolone (1 mg/kg/day) combined with antifungal therapy was started. Pulmonary consolidations began decreasing after 1 week of treatment and completely resolved after 1 month. This is the first observed and treated case of seropositive ABPA in Korean children without previously documented asthma.

우측폐 중엽에 발생한 원발성 악성 흑색종 - 수술 치험 1예 - (Primary Malignant Melanoma of the Lung - 1 case report -)

  • 김동원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6권4호
    • /
    • pp.289-292
    • /
    • 2003
  • 폐에 발생하는 원발성 악성 흑색종은 매우 드문 종양으로 문헌상으로 수 십 예의 결과만 보고되고 있다. 본 저자는 우측폐중엽에 발생한 원발성 악성 흑색종 1예를 치험하였는데 환자는 65세 된 남자로 객담을 동반한 기침으로 내원하여 컴퓨터단층촬영 소견상 우측폐 중엽에 종괴가 관찰되었으며 경피적 폐생검상 악성 흑색종이 확인되었고 bone scan상전이 소견은 없었으며 피부 및 안구 검사상 전이의 증거가 없었다. 환자는 원발성 악성 흑색종으로 진단하고 우측폐 중엽 절제술을 시행하였는데 약 4.5$\times$3 cm의 종괴가 우측폐 중엽에서 관찰되었으며 주변의 임파절을 함께 박리 하였다. 수술 중 특이 소견은 없었으며 수술 3일째 흉관을 제거할 수 있었고 병리조직 검사상 기관지 주변부의 임파절 전이가 확인되어 보조적 방사선 치료를 기획하고 수술 10일째 퇴원하였다. 환자는 현재 24개월째 외래를 통해 추적관찰 중인데 재발 및 전이의 증거 없이 지내고 있다.

외상 후 발생한 지연성 무명동맥류의 수술적 치료 -1예 보고 - (Surgical Treatment of Delayed Traumatic Anuerysm of the Innominate Artery - A case report-)

  • 박훈;금동윤;김형태;구자현;고성민;최세영;박남희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62-165
    • /
    • 2006
  • 무명동맥에 단독으로 발생하는 동맥류는 드문 질환으로 외상, 감염 또는 동맥경화증에 의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증례는 36세 남자 환자로 16년 전 교통사고의 병력 이외에는 특이한 과거력이 없었으며 신체검사에서 우연히 우상종격동 종양이 발견되어 본원으로 전원되었다. 컴퓨터단층촬영에서 흉골과 경계가 불분명한 5 cm크기의 진성 무명동맥류를 볼 수 있었으며 동맥류의 내부에는 혈전이 관찰되었다 수술은 중등도 이상의 저체온법을 이용하여 체외순환 하에서 Dacron Y-이식편을 사용하여 상행대동맥과 우측 경동맥 및 쇄골하동맥 사이에 우회도관을 연결하였으며 동맥류는 절제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특별한 합병증 없이 회복되어 퇴원하였고 현재 추적 관찰 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