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peeling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6초

젖산과 글리콜산을 이용한 화학적 필링, 물리적 필링(다이아몬드 필링과 크리스탈 필링)에 따른 피부개선 효과 (Skin Improvement Effects of Chemical Peeling Using Lactic Acid and Glycolic Acid, and Physical Peeling Using Diamonds and Crystals)

  • 김현경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487-497
    • /
    • 2020
  • 본 연구는 미용적인 피부 관리를 위해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필링중 화학적인 필링과 물리적인 필링이 여성들의 피부 개선에 미치는 효과와 장단점을 확인하여 대상자의 피부상태에 따른 올바른 적용법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2011년 11월 1일부터 12월 27일까지 복합성 피부를 가진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하였고, 이 중 10명은 화학적 필링 군으로, 10명은 물리적 필링 군으로 나누었다. 실험은 6주 동안 주 1회 총 6회를 진행 하였고, 시술시 마다 피부측정기를 이용해 수분과 유분, 각질, 모공, 주름, 색소에 대해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화학적 필링군의 경우 글리콜산 필링과 젖산 필링 모두 보습에 효과적으로 나타났다. 물리적 필링군의 경우 크리스탈 필링은 주름에 더 효과적이었고, 다이아몬드 필링은 각질과 색소개선에 더 효과적이었다. 매체에 따른 필링의 효과를 비교해 본 결과 더 많은 항목에서 물리적 필링이 더 효과적으로 나타났으나, 수분과 유분의 변화는 화학적 필링이 더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두 집단 간에 시행했던 필링의 효과가 큰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 시술 시 자극이 적고 만족도가 높은 필링 시술을 받는 것이 효과적인 피부 관리법 이라고 볼 수 있을 것이다.

닥나무 흑피제거 자동화 공정 기초연구 (Preliminary Study on Automation of Bark Peeling Process for Paper Mulberry)

  • 권오훈;김현철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4호
    • /
    • pp.59-66
    • /
    • 201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develop the automation bark peeling process of paper mulberry for making Hanji. Nowadays, almost raw material has been imported from south-east asia for making Hanji. Raw material dependence is very high for Hanji-making by low productivity in korea.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solution for problem of bark peeling automation. Water and sand jet of compressed air was possible bark peeling for black bast fiber. The effect of removing black bast fiber increased the longer the steaming time. Also using drum of bark peeling showed that results under temperature $80^{\circ}C$ and Rpm 50/min were best bark peeling and separating bast fiber from stem. The contents of holocellulose, lignin, ethanol-benzene extractives, and ash were 91.63~95.55%, 1.4~2.0%, 1.12~1.65%, and 1.4~4.3%, respectively. Chemical characteristics are similar between imported raw-material with drum bark.

MDDR(Mobile Double Data Rate) DRAM의 WSix Peeling 불량 해결 연구 (A Study on Solving the WSix Peeling Issue at MDDR DRAM)

  • 채한용;이성영;박태훈;이현성;이광희;서주원;최규상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8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 /
    • pp.481-482
    • /
    • 2008
  • In this paper, the advanced process has been presented to remove the WSix peeling that was made in sub 100nm DRAM SRCAT(Sphere-shaped-Recess-Ch annel-Array Transistor). The source of WSix peeling was proved to be the groove of gate poly film. We have completely solved the problems to adopt the gate-poly CMP (Chemical Mechanical Polishing) process.

  • PDF

글리콜산을 사용한 화학적 필링이 Mice 피부 표피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pidermal Changes in the Mice Skin Following Glycolic Acid Peeling)

  • 이지연;이석준;장병수
    • Applied Microscopy
    • /
    • 제40권4호
    • /
    • pp.245-251
    • /
    • 2010
  • 본 연구는 15% 글리콜산과 30% 글리콜산이 포함된 각각의 필링제를 털이 제거된 mice 등쪽 피부에 처리하여 시술 전후의 피부 수분량, 유분량 및 pH를 Cutometer로 분석하였고 표피 각 질의 변화에 대한 미세구조를 더마스코프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사용하여 관찰하였다. 15% 글리콜산을 처리한 실험군 I과 30% 글리콜산을 처리한 실험군 II에서 피부의 수분량, 유분량 및 pH의 변화는 필링제의 농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Mice 피부의 표면을 더마스코프로 관찰한 결과 정상 대조군의 피부는 전반적으로 투명한 상태로 표피에서 각질이 분리되어 있거나 탈락되기 직전의 상태로 나타났다. 15% 글리콜산으로 처리한 mice 피부 표면의 각질은 많이 제거된 상태로 관찰되었으며 30% 글리콜산으로 처리한 mice 피부 표면은 매끄러운 상태로 선홍색을 띠고 있었다. Mice 피부 각질층을 인위적으로 탈락시켜서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정상 대조군의 각질층 표면은 각화세포 막의 함입에 의해서 불규칙하였다. 15% 글리콜산으로 처리한 mice 피부의 각질층 표면은 비교적 매끄러웠으며 노출된 각화세포의 세포질 표면은 약간의 주름이 형성되어 있었다. 30% 글리콜산으로 처리한 mice 피부에서 각질층 표면은 매끄러웠으며 이들 표면은 주름이 형성되어 있지 않았다.

닥나무 박피 자동화를 위한 닥 인피의 구성성분 분석 (Component Analysis of Paper Mulberry Bark for the Automation of Bark Peeling Process)

  • 서진호;김형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3권1호
    • /
    • pp.74-82
    • /
    • 2011
  • The bast fiber of Paper mulberry has been generally used as a fibrous raw material in traditional Hanji-making. Nowadays, its uses is expanded to different special purposes such as paper mulberry yarn, laminated paper, antimicrobial paper depending on its application. Despite the wide array of the use of mulberry fibers, it is still limited due to some difficulties in the automation process of manufacturing work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analysis of chemical components and morphological properties of paper mulberry bark for the automation of bark peeling process. The bast tissue of paper mulberry was separated in three plies; black outer layer, green inner layer, and white inner layer. The total lignin content, holocelluloses, extractives and ashes, and the anatomical structure of the three layers in mulberry bark tissue were investigat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black outer layer is composed of about 50% of total lignin content, whereas the white inner layer is composed of about 90% of holocellulose content.

Efficacy evaluation on whitening cosmetics in Japan

  • Funasaka, Yoko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91-108
    • /
    • 2002
  • 미백제는 기미와 태양광선노출에 의한 색소침착반과 같은 색소불균형이 주로 나타나는 동양 여성들에 특히 관심이 많다. 이러한 색소침착의 불균형은 UV에 의해 더 심해지기 때문에 미백제는 멜라닌합성을 억제시키거나 UV에 의해 활성화된 signal을 억제함으로써 효과가 나타난다. Eumelanin은 UV에 의해 유도된 DNA 손상을 보호하므로 UV에 의해 유도된 DNA손상을 감소시키는 물질이 이상적인 미백제가 된다. 새롭게 합성된 항산화제인 $\alpha$-tocophenyl ferulate의 효과는 UV에 의해 손상된 DNA damage에 의한 보호 효과와 멜라닌 합성을 억제시킴으로서 나타난다. Chemical peeling과 복합적으로 색소 반점을 치료하는 lightning agent의 효과에 대한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색소 반점의 개선을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새롭게 개발된 facial image analyzer를 소개할 것이다.

고속회전형 마쇄기술을 통한 순환골재 품질향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Quality Improvement of Recycled Coarse Aggregate by High Speed Rotating Grinder)

  • 이기원;여운호
    •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논문집
    • /
    • 제7권4호
    • /
    • pp.341-34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기존 건설폐기물 파·분쇄 기술의 문제점을 분석하여 저품질 순환골재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콘크리트용 순환골재의 고품질화 방안으로 새로운 회전형 마쇄기술을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회전형 마쇄기술의 해석 모델링을 통하여 해당 기술의 현장 적용전 모르타르 박리 유효성을 확인하고, 현장에 적용하여 생산된 순환골재의 품질특성을 확인하여 콘크리트용 순환굵은골재로의 적합성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모르타르 박리기술을 현장에 제작·설치하여 기술 투입전, 투입후 순환골재의 모르타르 부착량, 절대건조밀도 및 흡수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으며, 콘크리트용 순환굵은골재의 핵심 품질특성인 입도, 절대건조밀도 및 흡수율을 시험분석 하였다.

A New Perspective on the Advanced Microblade Cutting Method for Reliable Adhesion Measurement of Composite Electrodes

  • Song, Jihun;Shin, Dong Ok;Byun, Seoungwoo;Roh, Youngjoon;Bak, Cheol;Song, Juhye;Choi, Jaecheol;Lee, Hongkyung;Kwon, Tae-Soon;Lee, Young-Gi;Ryou, Myung-Hyun;Lee, Yong Min
    •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13권2호
    • /
    • pp.227-236
    • /
    • 2022
  • The microblade cutting method, so-called SAICAS, is widely used to quantify the adhesion of battery composite electrodes at different depths. However, as the electrode thickness or loading increases, the reliability of adhesion values measur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is being called into question more frequently. Thus, herein, a few underestimated parameters, such as friction, deformation energy, side-area effect, and actual peeing area, are carefully revisited with ultrathick composite electrodes of 135 ㎛ (6 mAh cm-2). Among them, the existence of side areas and the change in actual peeling area a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measured horizontal forces. Thus, especially for ultrahigh electrodes, we can devise a new SAICAS measurement standard: 1) the side-area should be precut and 2) the same actual peeling area must be secured for obtaining reliable adhesion at different depths. This guideline will practically help design more robust composite electrodes for high-energy-density batteries.

수작업 박피밤과 화염박피 밤의 물리화학적 특성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Hand-Peeled and Flame-Peeled Chestnuts)

  • 김종훈;박재복;최창현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4권5호
    • /
    • pp.407-414
    • /
    • 1999
  • To evaluate the quality of flame-peeled chestnuts,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were analyzed.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flame-peeled chestnuts, including geometrical shape, texture and chemical composition, were compared to those of hand-peeled ones. For the flame-peeled chestnuts, some properties in heated and non-heated sections were separately analyzed. The color, texture such as springness, cohesiveness, adhesiveness, hardness and chewiness, moisture content, and reducing sugar of the heated section of the flame-peeled chestnu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their non-heated section. But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non-heated section of the flame-peeled chestnuts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hand-peeled ones.

  • PDF

혼합배지 조제에 이용되는 유·무기 물질들의 물리·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Used as Container Media)

  • 최종명;정해준;최종승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18권4호
    • /
    • pp.529-535
    • /
    • 2000
  • 혼합배지 조제에 이용되는 부숙 가공된 왕겨, 톱밥, 수피 등 유기물질과 질석, 펄라이트, 폐암면의 물리 화학성을 분석하여 혼합배지 조제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건식수피나 습식수피는 1.0mm 이상의 입자분포가 72.1% 및 69.1%를 나타내어 부숙가공된 왕겨나 톱밥의 34.7 및 33.7%보다 월등히 높았다. 수입질석은 1.0mm 이상의 입자가 89.9%로 국산질석의 25.7%보다 높아 수입질석의 입자가 컸다. 토양물리적 특성에서 용기용수량에서는 러시아산 피트가 79.3%로 가장 높았고 습식수피 58.2%로 낮아 보수성이 낮음을 알 수 있었다. 기상률에서 톱밥과 러시아산 피트는 약 4.1%로 측정되어 작물재배에 이용할 경우 통기성 불량으로 인한 작물생육이 저조할 것으로 예상되었다. 부숙가공된 유기물질들의 화학적 특성에서 톱밥이 가장 높아 $2.30mS{\cdot}cm^{-1}$로 측정되었고, 기타 유기물질들의 전기전도도는 $0.25mS{\cdot}cm^{-1}$ 이하로 매우 낮았으며, 질소는 대부분 처리에서 1.5% 미만이었다. 양이온치환용량의 경우 수입질석이 64.0meq/100g로 국산질석의 27.2meq/100g보다 약 2.4배 높았다. Ca 및 Mg함량은 국산질석이 수입질석 보다 함량이 낮았으며, Na함량은 수입질석이 국산질석 보다 무려 38배 가량 높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