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mical Accident

검색결과 510건 처리시간 0.027초

주요 산업단지의 화학물질 배출량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hemicals in Major Industrial Complexes)

  • 김현지;임지영;윤정현;이지호;전준호;이청수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515-523
    • /
    • 2018
  • Objectives: Based on the results of a chemical substance emissions survey, we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of chemical emissions in industrial complexes and used them as basic data for chemical management. Methods: The emissions and characteristics of chemicals by major industrial complexes from 2011 to 2015 were analyzed using the Pollutant Release and Transfer Register homepage. To understand the status of chemical accidents for major chemicals emitted from the industrial complexes, the Chemistry Safety Clearing-house system of the National Institute of Chemical Safety was used. Results: Emissions from the top five industrial complexes accounted for about 30% of total chemical emissions. The chemical emission was the highest in the order of Ulsan Mipo Industrial Complex and Okpo Industrial Complex. The main chemicals emitted were xylene, ethylbenzene, ethyl acetate, toluene, dichloromethane, and others. Carcinogen emissions differed by industrial complex, but ethylbenzene and dichloromethane were the major chemicals for this type of emissions. Conclusion: Recently, the use and emission of chemicals have been continuously increasing. A chemical management plan should be prepar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complexes and chemical substance emissions.

국내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사고 특성분석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Hazardous Chemical Transport Vehicle Accidents in Korea)

  • 정재욱;이상재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6권2호
    • /
    • pp.310-317
    • /
    • 2020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6년간 발생한 화학사고 중 유해화학물질 운송차량사고의 특성을 분석하여, 운송과정에서 발생하는 화학사고를 예방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환경부 화학물질종합정보시스템의 통계자료를 활용하여, 운송차량에 의한 화학사고 사고유형, 사고원인, 차량종류로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총 506건의 화학사고 중 운송차량에 의한 사고는 105건으로 조사되었으며, 전체 사고의 20% 이상 상회하는 수치를 보였다. 사고유형은 유·누출에 의한 사고가 대부분이었으며, 사고 주요 원인으로는 교통사고와 차량관리소홀이 각각 49건, 29건으로 전체 운송차량사고의 74%이상으로 나타났다. 차량유형별로는 탱크로리(57건, 54%)에서 가장 많이 발생하였으며, 화물트럭(39건, 37%), 트레일러(9건, 9%) 순으로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결론: 운송차량 사고의 예방을 위해서는 운송차량의 철저한 점검 및 운전자의 안전운행이 요구된다. 또한 정부는 운송차량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확대하고, 소관 부처별로 상이한 제도를 통합적으로 관리할 필요성이 있다.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 운영을 통한 화학사고 감소 기여도 연구 (A Study on the Contribution to reducing Chemical Accident of Joint Inter-agency Chemical Emergency Preparedness Center)

  • 김성범;곽대훈;전정현;정성경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4권3호
    • /
    • pp.360-366
    • /
    • 2018
  • 연구목적: 본 연구는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의 운영과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화학사고의 저감에 기여여부를 연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합동방재센터의 기능 및 임무와 최근 5년('13~'17)의 화학사고 통계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화학사고('13~'17) 총 469건 중 '15년 113건, '16년 78건, '17년 87건으로 화학사고 저감경향을 보이고 있다.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는 다량의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산단에 위치하여 사고 발생 시 신속한 현장대응과 수습활동 및 원인조사, 사고예방 교육 훈련, 안전 순찰 등의 기능을 통해 지역밀착형 사고예방 기능 수행으로 화학사고 저감에 기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결론: 본 연구를 통해 화학사고 저감요인 중 화학물질관리법('15.1.1) 운영에 따른 안전관리 강화와 화학사고 대비 대응을 임무로 운영되는 화학재난합동방재센터('14.1 설치 운영)의 역할이 크다고 판단 할 수 있다.

이동식 탱크차량을 위한 사고대응 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Response Program for Hazardous Material(HAZMAT) Transport Vehicles)

  • 이현진;한승훈;채충근;용종원;태찬호;고재욱
    • 한국가스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1-68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이동식 탱크차량의 사고대응을 위해서 사고대응 가이드라인 작성, 사고대응 물질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가이드라인은 잠재원인 식별 후, FEMA(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절차에 따라 작성하였고, 최초 물질 데이터베이스는 GHS(Globally Harmonized System)를 적용하여 구축했으며, 데이터베이스 간의 유사점 확인을 통해 사고대응에 최적화 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였다. 마지막으로 Case Study를 통해 개발된 프로그램의 신뢰성을 확보하였다.

고위험군(高危險群) 제조화학업체(製造化學業體)의 안전의식(安全意識) 실태(實態)에 관한 연구(硏究) (대기업(大企業) 화학업체(化學業體)를 대상(對象)으로) (A Study on Safety Awareness of High Risk Chemical Companies: (Focusing on Large Chemical Corporation))

  • 허관회;안형환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1-31
    • /
    • 2012
  •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assist with infusing safety consciousness and resolving insensitivity towards safety for industrial accident in workers, managers and executives of chemical companies. Among many industrial accident prevention methods, Korea has been mostly taking an engineering approach of preventing industrial accidents by replacing old machines with risks of an accident and through new facilities and equipments. Through an attitude survey of workers in large scale chemical companies, this study wished to examine the fact that the biggest reason why the accident rate for the past 10 years has not decreased is because safety consciousness has not been established yet.

화학사고 초기대응자를 위한 검지관식 탐지장비의 반응성 연구 (The chemical reactivity of detecting tube detection equipment for incident responder)

  • Ahn, Seung-Young;Kim, Jungmin;Kim, Sungbum;Chun, Kwangsoo;Lee, Jin-Seon;Park, Choonhwa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33-39
    • /
    • 2014
  • 화학사고 발생 시 현장 초기대응자들은 사고 원인물질과 농도를 신속하고 손쉽게 확인하기 위한 방식으로, 미국 환경청(EPA) 초기대응팀에서도 널리 사용하고 있는 직독식 탐지장비를 이용하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검지관식 가스 탐지장비를 직독식 탐지장비로 이용하여 사고 발생 시 현장에서 이용하고 있고, 검지관식 가스탐지기는 신속한 원인 물질 확인과 정밀한 분석 전에 전략적으로 대략적인 오염물질의 정량과 정성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장비이다. 그러나 현장 초기대응자들의 직독식 탐지장비의 사용방법에 대한 이해 부족과 단순 수치로만 확인하려는 방식으로 인해 탐지결과의 정확성에 대한 의문점을 늘 제기해 왔다. 본 논문에서는 사고 현장에서 정확한 탐지 결과를 얻기 위해 환경부에서 사용하고 있는 검지관식 가스탐지기인 Kitagawa와 Draeger 탐지기의 물질 반응성을 확인하여 초기 대응자들의 현장 탐지결과의 정확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암모니아 화학사고 피해를 줄이기 위한 제도개선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System to Reduce Damage on Ammonia Chemical Accident)

  • 이주찬;전병한;김현섭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306-313
    • /
    • 2022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암모니아 화학사고 발생 시, 사고 피해 최소화와 사고예방을 위한 현 제도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화학사고 발생통계자료를 바탕으로 빈번한 화학사고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독성물질 중 하나인 암모니아를 누출물질로 선정하였다. 또한, 실제 암모니아 화학사고 발생 사례를 바탕으로 CARIS 모델링을 활용해 암모니아, 염산, 염소의 피해영향범위를 비교해보았으며, 현 제도의 문제점을 파악하였다. 연구결과: 암모니아 화학사고 발생 시 주위에 확산되는 영향범위를 산정한 결과 염산의 사고영향거리보다 더 길게 나타났으며 염소의 사고영향거리보다는 더 짧게 나타났다. 또한, 암모니아, 염산, 염소 사고 발생시 아파트, 학교 등의 민감수용체가 존재하고 있어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암모니아를 취급하는 사업장에 대해서 화학사고예방관리계획서, 통계조사 등의 제출여부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구체적인 세부지침 및 검토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암모니아 취급사업장의 DB 구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며 관계기관들 간의 정보공유 및 합동점검 등을 지향하여야 한다고 사료된다.

석유화학 사업장에서 운송 화학물질 위험관리 (A Study on the Risk Evaluation for Chemical Transportation Tank Lorry of Chemical Plant)

  • 김정곤;변헌수
    • 한국재난관리표준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53-62
    • /
    • 2008
  • 석유화학 공장에서 화학 물질을 수송하는 탱크로리의 잠재적인 위험(사고의 크기 그리고 영향, 사회적인 위험)이 증가함에 따라 다양한 화학물질에 대한 운송안전 평가기준의 정립과 적극적인 위험성 평가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최대예상사고분석(maximum credible accident analysis) 기법을 적용하여 "첫째 탱크로리를 이용한 취급화학물질의 대표적인 종류와 기준 비교 둘째 잠재위험에 대한 세분화된 구분 셋째 가상 사고 시나리오 파악 및 인식 넷째 가상 사고 시나리오별 위험성평가(정성/정량 - 누출원 모텔링)" 단계적 (4단계) 위험성평가를 통한 위험관리체계를 연구하였다.

  • PDF

사고대비물질 취급 사업장 Layout기반 위험작업 Mapping 방법론 개발 (Development of Hazardous Work Mapping Methodology Based on Layout of Workplace Handling The Accident Preparedness Substances)

  • 김진형;양재모;용종원;고병석;유병태;고재욱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2권6호
    • /
    • pp.736-742
    • /
    • 2014
  • 사고대비물질 취급 사업장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일반 화학물질사고보다 더 많은 인명, 재산피해를 야기한다.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여러 시스템들과 제도들을 개발하고 있지만, 사고발생의 주원인인 작업자의 오류를 제거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기술들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2012년 9월 구미 불산 누출사고 case study를 통해 국내기술지침들을 기반으로 위험작업 수치화 및 잠재위험확인, 작업평가를 수행하였으며 기존 시스템들을 보완하기 위한 새로운 risk mapping 방법론 개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실 사고분류 체계 개발 (Development of Accident Taxonomy for Experimental Laboratory)

  • 박교식
    • 한국안전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49-53
    • /
    • 2016
  •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cidents occurred at experimental laboratory and to suggest hierarchical taxonomy applicable to prepare countermeasures reducing the experimental laboratory accidents. Recent 5 years accidents were analyzed and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primary cause, facility or human. Then in case of facility, the accidents were further classified whether they can be fixed by organization or by individual. In case of human factor, they were classified into physical, chemical, or biological to prepare precise measures. Depending on the adequacy of appropriate practice, several measures were suggested such as; whether to improve training of laboratory workers, or to improve training the system, or to improve or prepare practice substantially. A new taxonomy for laboratory accident was suggested complying other governmental agencies' classification such as KOSHA and KGS. Additionally, two kinds of possibilities were suggested such as possibility of major accident and possibility of disaster which can be defined as laboratory accident causing large scale of harmful consequence to residential area or environment by fire, explosion and/or toxic release of hazardous chemicals and/or microbi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