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eck-List

검색결과 394건 처리시간 0.023초

ADHD 위험 아동에 대한 반응성 부모교육이 아동의 문제행동과 중심축 발달행동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a Responsiv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on Child's Behavioral Problems and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s in Children at Risk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신희선;김정미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17권1호
    • /
    • pp.39-47
    • /
    • 2011
  • Purpose: This study was done to determine whether a parenting education program using responsive teaching strategies is effective for parenting stress, maternal interactional behavior and behavioral problems in children at risk for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17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The ADHD risk group was determined by scores on the Korean-ADHD Rating Scale.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based on Dr. Mahoney's responsive teaching curriculum. Mothers participated in the program once a week for 8 sessions. Treatment outcome was evaluat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Child Behavior CheckList (K-CBCL), parenting stress, maternal interactional behavior, and child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Wilcoxon signed rank test, Mann-Whitney test, and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fter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arenting stress (Z=-1.00, p=.320) was found, but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the child's internal behavior problems (Z=-2.05, p=.040), and also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aternal interactional behavior an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 pivotal developmental behavior (Z=-2.67, p=.008). Conclusion: The results indicate that parenting education programs based on responsive teaching strategies are effective and that application of a program is recommended to prevent behavioral problems and improve maternal child interaction for children at risk for ADHD.

설계VE팀의 역량평가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Checklist of Design Phase VE Team)

  • 서하나;이학기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9권4호
    • /
    • pp.154-162
    • /
    • 2008
  • 건설교통부에서는 2006년부터 "설계의경제성등검토"를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설공사의 예산낭비와 비효율적인 요인을 사전제거함에 따라 설계VE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이나 기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설계VE는 수행과정에서 다수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설계VE도입에 대한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팀을 구성하여 설계VE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설계VE팀의 역량을 강화 할 수 있는 역량평가 체크리스트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계VE팀의 특성에 따른 29개의 역량인자를 도출하였으며 팀 지식, 팀워크 스킬, 팀 태도로 구분하였다. 중요도에 따라 설계VE팀의 역량평가 항목으로 도출하고, 각평가항목에 대한 상대적인 중요도를 정량화하여 설계VE팀의 역량평가에 객관적 인 기준을 제시할 수 있는 역량평가 방안 제시하였다.

설계VE팀의 역량 평가항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mpetency Evaluation Item of Design Phase VE Team)

  • 서하나;이학기
    • 한국건설관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설관리학회 2007년도 정기학술발표대회 논문집
    • /
    • pp.797-800
    • /
    • 2007
  • 건설 프로젝트에서의 VE는 예산낭비와 비효율적 요인을 서전제거하는 유용한 도구로 활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2006년부터 건설교통부에서는 "설계의경제성등검토"를 총공사비 100억원 이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제도적 뒷받침이나 기술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국내 설계VE는 수행과정에서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어 효과가 극대화되지 못하고 있다. 효과적인 설계VE팀 구성으로 설계VE의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설계VE팀의 역량평가에 대한 체크리스트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VE팀의 역량평가 체크리스트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역량 평가항목을 도출하고 가중치를 산정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설계VE팀의 특성에 따른 역량인자를 도출하여 팀 지식, 팀워크스킬, 팀 태도로 구별하여 구성하였다. 도출된 역량인자의 중요도에 대해 1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그 결과로 도출된 제 1, 2, 3계층의 역량 평가항목에 대하여 계층 분석적 의사결정기법을 활용한 2차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가중치를 산정하였다.

  • PDF

웹 기반 시 지각 진단 프로그램의 모형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A Basic Study on Development of Web-based Visual Perception Test Program Prototype)

  • 안성혜
    • 디자인학연구
    • /
    • 제19권2호
    • /
    • pp.5-14
    • /
    • 2006
  • 시 지각(Visual Perception)은 눈을 통하여 받아들인 사물에 관한 시각적 정보를 중추신경계에서 해석하는 능력이다. 즉, 시각적 자극을 인식하고 변별하며, 그러한 자극들을 선행경험들과 연합함으로써 해석하는 능력을 말한다. 오늘날 시 지각장애의 원인을 밝히는 일과 시 지각 능력의 진단을 통하여 지각장애의 제반 특성을 파악하는 일은 시 지각 장애의 교정이나 시 지각 훈련 프로그램을 통한 치료적인 방법으로 활용된다.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 특수교육이나 작업치료, 또는 장애인 복지관의 심리상담에 주로 사용되는 지필(紙筆)방식의 시 지각 능력 진단 도구들은 그 사용에 있어서 문제점 및 한계성이 많이 발견되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데이터베이스로 구축이 가능한 웹 기반 시 지각 발달 진단 프로그램의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진 기초연구라고 할 수 있다. 그 결과 시 지각을 진단할 수 있는 측정유형을 3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검사용 그래픽 아이템의 개발방향을 예시하였다. 또한 시 지각 진단 프로그램의 설계 및 구축을 위해 고려해야할 체크리스트 항목과 신뢰도의 타당성 검사를 위한 변인을 추출하여 웹 기반 시 지각 진단 프로그램의 모형개발을 위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 PDF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효율적 안전관리를 위한 체크리스트 제안에 관한 연구 (Highly Efficient Checklist for the Safety Management of Reinforced Concrete construction)

  • 심운준;서형석;안용선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10권6호
    • /
    • pp.7-17
    • /
    • 2010
  • 현대 건설기술의 발달은 건설현장의 시스템화로 이어져 공법이 단순해졌다고는 하나 인력의존도가 높은 철근 콘크리트공사에서는 여전히 새로운 재해가 늘고 있으며 대형화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철근콘크리트 공사를 중심으로 재해사례 및 원인을 조사하였다. 아울러 건설현장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여, 안전의식 및 재해발생과 관련한 근로자의 심리적 상태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건설현장의 재해와 관련된 기본적인 요인을 도출하여 각 요인들 간의 상관성을 분석하여 효율적 안전관리 방안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제안 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도출된 안전관리 체크리스트를 숙지하여 우선순위 유형을 안전관리의 도구로 활용하여 철근콘크리트 공사의 합리적인 안전관리를 수행하여야하며 단순히 통계의 분석으로 볼 것이 아니라 여기서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안전 교육시에 활용하고 연구하여 재해예방의 도구로 활용하여야 할 것이다.

지역사회거주 여성의 비만도와 골밀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of Obes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Women Dwelling in the Community)

  • 강현숙;김종임;박원숙;송라윤;안양희;이인옥;임난영;조경숙;최선하;한상숙
    • 근관절건강학회지
    • /
    • 제14권2호
    • /
    • pp.181-187
    • /
    • 2007
  • Purpose: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and bone mineral density in middle aged women. Methods: A cross-sectional survey design was utilized with a check list and physiological measurements. A total of 827 convenient samples were recruited from women who lived in the community. Bone mineral density was measured by T-score using the pixi method of Lumar on the left heel. Descriptive statistics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utilized for data analysis. Results: Most were assessed as having normal weight(37.9%) or obese (57.4%) by BMI. Only 32% was assessed as having normal bone mineral density, while 40.3% had osteopenia, and 27.7% as osteoporosis. The BMI scores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age, and episodes of fractures. Those with lower bone mineral density reported significantly more episodes of fractures and chronic disease. The T scores of Bone mineral density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cores of BMI (r= .126, p< .001). Conclusion: There is a strong need to develop intervention programs for this age group to manage bone mineral density loss to prevent occurrences of osteoporosis, and episodes of fracture.

  • PDF

거푸집 붕괴사고 주요 요인별 중요도 분석 (Importance Analysis of Major Factors in Formwork Collapse Accident)

  • 박지영;김광희
    • 한국건축시공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249-256
    • /
    • 2021
  • 건축공사 재해 중 거푸집공사 비중이 매우 크다. 거푸집 공사 재해 예방을 위해 관련 연구가 장기간 걸쳐 진행되고 있지만 지속적인 노력에도 불구하고 재해가 줄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AHP 기법을 활용하여 거푸집 붕괴사고 요인별 중요도 분석을 하고 관리할 우선 요소를 정하고자 한다. 분석 결과 시공요인, 관리요인, 설계요인 순으로 가중치가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시공요인을 우선적으로 관리하면 거푸집 붕괴 재해를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Dysregul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 Worker's Job Stress and Mental Health)

  • 고진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6호
    • /
    • pp.307-314
    • /
    • 2019
  • 본 연구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노인요양기관에서 근무하는 요양보호사 154명을 대상으로 요양보호사 직무스트레스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 질문지, 간이정신진단검사를 시행하였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 정서조절곤란, 정신건강 간의 직접 효과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 검증을 통해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에 대한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직무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정서조절곤란의 하위요인 중 전략적 접근 제한과 명료성의 부족은 완전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요양보호사의 정신건강을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를 경감시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요양보호사들이 자신의 부정적인 정서를 다룰 수 있는 조절능력을 기를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Effects of an Online Imagery-Based Treatment Program in Patients with Workplace-Relate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 Pilot Study

  • Lee, Won Joon;Choi, Soo-Hee;Shin, Jung Eun;Oh, Chang Young;Ha, Na Hyun;Lee, Ul Soon;Lee, Yoonji Irene;Choi, Yoobin;Lee, Saerom;Jang, Joon Hwan;Hong, Yun-Chul;Kang, Do-Hyung
    • Psychiatry investigation
    • /
    • 제15권11호
    • /
    • pp.1071-1078
    • /
    • 2018
  • Objective We developed easily accessible imagery-based treatment program for patients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PTSD) related to workplace accidents and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program on various PTSD related symptoms. Methods The program was based on an online platform and consisted of eight 15-min sessions that included script-guided imagery and supportive music. Thirty-five patients with workplace-related PTSD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4 days per week for 4 weeks. Its effects were examin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before and after the take-home online treatment sessions. Results After completing the 4-week treatment program, patients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s in depressed mood (t=3.642, p=0.001) based on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anxiety (t=3.198, p=0.003) based on the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seven-item (GAD-7) scale, and PTSD symptoms (t=5.363, p<0.001) based on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Check List (PCL). In particular, patients with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exhibited a greater degree of relief related to anxiety and PTSD symptoms than those without adverse childhood experiences. Conclusion The present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relatively short online imagery-based treatment program developed for this study had beneficial effects for patients with workplace-related PTSD.

Risk Factors of the Masticatory Function in Patients with Temporomandibular Disorders: A Cross-Sectional Cohort Study

  • Kim, Keon-Hyung;Park, Jo-Eun;Kim, Mee-Eun;Kim, Hye-Kyo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44권3호
    • /
    • pp.92-102
    • /
    • 2019
  • Purpose: To investigate the masticatory function of patients with different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MD) phenotypes, and to explore the risk factors for the masticatory function of TMD patients among multiple biopsychosocial variables using patient-reported outcomes (PROs). Methods: Clinical features and TMD diagnoses of 250 cases were investigated by reviewing medical records. Psychosocial factors were evaluated using four questionnaires representing pain severity and pain interference (Brief Pain Inventory), pain catastrophizing (Pain Catastrophizing Scale, PCS), psychological distress (Symptom Check List-90-Revised, SCL-90R) and kinesiophobia (Tampa Scale for Kinesiophobia for Temporomandibular Disorders, TSK-TMD). Masticatory function, as a dependent variable, was determined using the Jaw Functional Limitation Scale (JFLS). Kruskal-Wallis test and Spearman's rank correlation were used for analyses. Results: A total of 145 cases were included and classified into four subgroups including group 1: TMD with internal derangement without pain (n=14), group 2: TMD with muscle pain (n=32), group 3: TMD with joint pain (n=60) and group 4: TMD with muscle-joint combined pain (n=39). Pain severity (p=0.001) and interference (p=0.022) were the highest in group 2, but the mean global score of JFLS was the highest in group 3, followed by group 4, group 2, and group 1 (p=0.013). Pain severity, pain interference, the mean global score of PCS and the mean global score of TSK-TMD showed significant and moderate correlation with the mean global score of JFLS. All subdimensions and the global severity index of SCL-90R had significant, but weak correlations with all scores of JFLS. Conclus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masticatory functional limitation depends on the TMD phenotypes. Among the various PROs, pain perception, pain catastrophizing and kinesiophobia seem to be more influential risk factors on jaw function than psychological distress, such as depression and anxie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