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tbots

검색결과 113건 처리시간 0.028초

쇼핑 챗봇에 대한 소비자 반응 연구: 에이전트와 메시지 유형 효과를 중심으로 (A Study on Consumers' Responses to Shopping Chatbot: The Effects of Agent and Message Types)

  • 송유진;김민희;최세정
    • 한국HCI학회논문지
    • /
    • 제14권2호
    • /
    • pp.71-81
    • /
    • 2019
  • 인공지능(AI)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되고 있다. 인공지능을 활용한 챗봇(Chatbot)의 이용도 여러 분야로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모바일 쇼핑 이용이 증가하면서 챗봇 서비스의 소비자와의 소통 기능이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챗봇에 대한 연구는 초기 단계이며 모바일 커머스에서 이용하는 챗봇에 대한 선행연구는 아직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쇼핑 챗봇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실증적으로 살펴보고 의인화된 챗봇의 에이전트로서의 유형과 메시지 유형이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챗봇 에이전트 유형(비서/친구)과 메시지 유형(사실/평가)을 독립변수로 $2{\times}2$ 집단 간 실험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챗봇 에이전트 와 메시지 유형이 소비자의 챗봇에 대한 지각된 인식 및 반응에 미치는 주효과는 발견되지 않았지만, 에이전트 유형과 메시지 유형의 간 상호작용이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에이전트 유형이 비서일 때에는 사실적 메시지로 상품 추천을 하였을 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친구일 경우에는 평가적 메시지 유형이 보다 긍정적인 반응을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챗봇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이해하기 위해서 커뮤니케이션 요소들을 고려해야 하며 이를 적절하게 활용하여 긍정적인 경험을 유도할 수 있다는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온라인 금융 상담 서비스에서 이모티콘 사용이 서비스 사용의도에 미치는 영향: 상담원 유형과 주관적 금융지식의 조절 효과 (Effects of Emoticons on Intention to Use in Online Financial Counseling Service: Moderating Roles of Agent Type and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 강영선;최보름
    • 지식경영연구
    • /
    • 제20권4호
    • /
    • pp.99-118
    • /
    • 2019
  • Online financial counseling services are increasingly expanding with the rise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chatbots. It is very important to examine the effects of emoticons noted as alternatives for communicating emotions in online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companies. In this paper, we examine how the use of emoticons affects the consumer's response and investigate the moderating roles of type of counseling agents (human vs. chatbot) and the consumer's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e results show that the use of emoticon in the conversation brings a positive effect on the consumer's intention to use of online chat counseling service. When participants had relatively low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ey had higher intention to use online chat counseling services with emoticons only when the agent type was chatbot. When the type of counseling agent was human, this positive effect of the emoticon did not occur. On the other hand, when participants had relatively high subjective financial knowledge, they had higher intention to use online chat counseling service with emoticons only when the agent type was human. This study contributes to providing practical implications to build online chat counseling service using chatbot in the financial industry by studying users' intention depending on the type of agents and the level of their subjective knowledge.

The Effects of Chatbot Anthropomorphism and Self-disclosure on Mobile Fashion Consumers'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s

  • Kim, Minji;Park, Jiyeon;Lee, MiYoung
    • 패션비즈니스
    • /
    • 제25권6호
    • /
    • pp.119-130
    • /
    • 2021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he chatbot's level of anthropomorphism - closeness to the human form - and its self-disclosure - delivery of emotional exchange with the chatbot through its facial expressions and chatting message on the user's intention to accept the service. A 2 (anthropomorphism: High vs. Low) × 2 (self-disclosure through facial expressions: High vs. Low) × 2 (self-disclosure through conversation: High vs. Low) between-subject factorial design was employed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and a total of 234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used chatbot service more when emotions were disclosed through facial expressions, than when it disclosed fewer facial expressions. Ther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indic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hatbot's self-disclosure through facial expression and the consumers'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 differs depending on the extent of anthropomorphism. In the case of "robot chatbots" with low anthropomorphism levels, there was no difference in intention to use chatbot service depending on the level of self-disclosure through facial expression. When the "human-like chatbot" with high anthropomorphism levels discloses itself more through facial expressions, consumer's intention to use the chatbot service increased much more than when the human-like chatbot disclosed fewer facial expressions. The findings suggest that chatbots' self-disclosure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formation of consumer perception.

모바일 환경에서의 챗봇 UX (Chatbot UX in a Mobile Environment)

  • 이영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11호
    • /
    • pp.517-522
    • /
    • 2019
  • 많은 비즈니스에서 챗봇은 사용자의 질문에 가장 즉각적이고 직접적인 피드백으로 제공함으로써 사용자 경험을 높여가고 있으며 그 활용 영역이 커져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챗봇의 정의를 비롯해 명령방식, 기능, 플랫폼에 따른 세 가지 유형을 구분되는 요소에 따라 분류해 보았다. 그 과정에서 기능적 구분 요소는 패턴인식, 자연어처리, 시멘틱 웹, 텍스트 마이닝, 상황인식 컴퓨팅의 기능적 부분의 핵심 기술 요소가 챗봇 UX를 위해 필요하지만 현재 단계에서의 한계도 알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위한 챗봇의 UX요소를 페이스북, 스카이프, 텔레그램, 구글어이스턴트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카드와 같은 기본 UI요소와 빠른 응답, 명령, 영구 메뉴의 적용이 사용자 경험요소로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온라인 패션 쇼핑몰 챗봇의 커뮤니케이션 실패에 대한 소비자의 부정적 반응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o the Communication Failure of Chatbots in Online Fashion Shopping Malls)

  • 서민정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83-194
    • /
    • 2022
  •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the consumers' negative responses to communication failure of chatbots caused by their imperfections. Specifically, this study examines 1) the relationship among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dissatisfaction, negative behavior (complaint, negative word-of-mouth (nWOM), and inertia); 2) the moderating effect of technostres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and dissatisfaction; 3) the differences in the negative responses between the generation MZ and the previous generations. Data were collected via an online survey. First, the participants interacted with the chatbot developed for this survey, to experience the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Thereafter, they responded to a questionnaire. PLS-SEM was conducted using the R software environment to test the hypotheses. This study empirically identified that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positively affected dissatisfaction. In addition, the customers who were more dissatisfied with the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s were more likely to complain than engage in nWOM. Compared to the generation MZ,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caused a higher level of dissatisfaction in previous generations. The results suggest that online shopping malls should carefully introduce an improved chatbot service after minimizing its communication failure rate. The chatbot developers of online shopping malls targeting middle-aged and elderly consumers should strive to develop and implement strategies to further alleviate consumers' dissatisfaction in the situation of chatbot's communication failure.

중국 전자상거래 플랫폼에서 챗봇의 특성이 고객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 of Chatbot Characteristics on Customer Satisfaction in China's e-commerce Platform)

  • 오성진;임규건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37-53
    • /
    • 2023
  • With the development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companies are trying to introduce new AI technologies and improve their performance. In particular, chatbot technology has developed and can not only communicate smoothly with humans, but also perform many complex tasks, so it has high market potential. However, there is still little research on chatbots in the field of e-commerce. Accordingly, this study aims to suggest ways to improve corporate performance through chatbot user satisfaction analysis.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China's e-commerce platform, In this study, through previou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chatbots were classified into accessibility, accuracy, empathy, reliability, and intimacy as factors influencing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ease, and perceived enjoyment of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TAM). Five were selected and used as independent variables, and a model that affects customer satisfaction was set up. This paper sets user satisfaction as an important indicator of chatbot service and analyzes the path that affects user satisfaction, thereby improving chatbot service technology. It is important in that it provides a way to improve the smart chatbot service by understanding the degree of user acceptance in depth.

사용자 니즈 기반의 챗봇 개발 프로세스: 디자인 사고방법론을 중심으로 (Development Process for User Needs-based Chatbot: Focusing on Design Thinking Methodology)

  • 김무성;서봉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3호
    • /
    • pp.221-238
    • /
    • 2019
  • 최근,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는 고객 상담과 응대 분야에 챗봇(Chatbot)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챗봇 서비스의 도입은 기업이나 기관에게 있어서 인건비 절감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빠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과 인공지능 기술의 고도화는 이런 챗봇 서비스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중심으로 개발된 챗봇은 사용자가 내재적으로 원하는 바와 괴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챗봇이 단순히 기술의 영역이 아닌 사용자 경험의 영역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 분야의 대표적 방법론인 디자인 사고 접근법을 챗봇 개발에 적용하여, 사용자 니즈 기반의 챗봇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사용자 관찰을 통해 팩트(Fact) 수집을 시작으로, 인사이트(Insight)를 도출하고 기회영역(Opportunity)을 발굴하는 추상화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사용자의 멘탈모델에 맞는 기능을 제공하고 원하는 정보를 구조화하는 구체화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챗봇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프로세스의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화장품 시장을 대상으로 실제 구축 사례를 함께 제시한다. 본 연구는 챗봇 개발 프로세스에 사용자 경험을 접목한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지며, 기업이나 기관이 바로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방법을 제안한다는 면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봇 프레임워크를 활용한 챗봇 구현 방안 (Method of ChatBot Implementation Using Bot Framework)

  • 김기영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1호
    • /
    • pp.56-61
    • /
    • 2022
  • 본 논문에서 챗봇에서 사용하는 AI알고리즘과 자연어처리 방법을 분류하고 제시하고 챗봇 구현에 사용할 수 있는 프레임워크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챗봇은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대화방식으로 구성하여 입력된 문자열을 해석하고 입력된 문자열에 적절한 답을 학습된 데이터에서 선택하여 출력하는 구조의 시스템이다. 최근 콜센터와 주문 업무에 적용하여 인건비를 감소하고 정확한 업무를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질문에 대한 적정한 답변 집합을 생성하기 위해 학습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상당한 계산 기능을 갖는 하드웨어가 필요하다. 개발을 하는 업체는 물론 AI분야 개발을 학습하는 학생들의 실습은 한계가 있다. 현재 챗봇은 기존의 전통적인 업무를 대체하고 있으며 시스템을 이해하고 구현하는 실습과정이 필요한 실정이다. 정형화되어 있는 데이터에 대해서만 응답을 하는 수준을 넘어 딥러닝 등의 기술을 적용하여 비정형 데이터를 학습시켜 질문에 대한 응답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RNN과 Char-CNN 등을 사용해야한다. 챗봇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이론을 이해하고 있어야한다. 본 논문에서는 단기간에 챗봇 코딩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과 기존 개발자, 학생들이 챗봇 구현을 할 수 있는 플랫폼을 활용하여 학생들이 전체시스템을 구현 예를 제시하였다.

Users' Attachment Styles and ChatGPT Interaction: Revealing Insights into User Experiences

  • I-Tsen Hsieh;Chang-Hoon Oh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29권3호
    • /
    • pp.21-41
    • /
    • 2024
  • 본 연구는 OpenAI가 개발한 고급 언어 모델인 ChatGPT (Cha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er)와 사용자의 애착 유형 간의 관계를 탐구한다. 인공지능(AI)이 점차 일상생활에 통합되면서, 다양한 애착 유형을 가진 개인들이 AI 챗봇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이해하는 것은 특정 사용자 요구를 충족하고 사용자와 가장 이상적인 방식으로 상호 작용하는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구축하기 위해 중요하다. 심리학의 애착 이론을 기반으로 한 이 연구에서는 애착 유형이 ChatGPT와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여 인간과 AI 간의 상호 작용에 대한 이해에서 중요한 공백을 메우고 있다. 예상과는 달리, 애착 유형은 ChatGPT 사용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애착 유형에 관계없이 중요한 정보를 전달하는 ChatGPT를 완전히 신뢰하는 것을 주저했으며, AI 시스템의 신뢰 문제를 해결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한다. 단, 본 연구는 사용자와 ChatGPT 간 독특한 상호 작용에 중점을 두어, 애착 유형이 이러한 상호 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해명하여 AI 챗봇의 개인화된 사용자 경험을 개발하는 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또, 본 연구는 Perceived Partner Responsiveness Scale의 도입은 사용자가 ChatGPT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평가하는 유용한 도구로 기능하며, AI의 인격화에 대한 관점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인간과 AI 간의 관계에 대한 넓은 토론에 기여하며, 사용자 중심의 미래를 위해 AI 시스템에 감정 지능을 통합하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A Study on the Restaurant Recommendation Service App Based on AI Chatbot Using Personalization Information

  • Kim, Heeyoung;Jung, Sunmi;Ryu, Gihwan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8권4호
    • /
    • pp.263-270
    • /
    • 2020
  • The growth of the mobile app markets has made it popular among people who recommend relevant information about restaurants. The recommendation service app based on AI Chatbot is that it can efficiently manage time and finances by making it easy for restaurant consumers to easily access the information they want anytime, anywhere. Eating out consumers use smartphone applications for finding restaurants, making reservations, and getting reviews and how to use them. In addition, social attention has recently been focused on the research of AI chatbot. The Chatbot is combined with the mobile messenger platform and enabling various services due to the text-type interactive service. It also helps users to find the services and data that they need information tersely. Applying this to restaurant recommendation services will increase the reliability of the information in providing personal information. In this paper, an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based smartphone restaurant recommendation app using personalization information is proposed. The recommendation service app utilizes personalization information such as gender, age, interests, occupation, search records, visit records, wish lists, reviews, and real-time location information. Users can get recommendations for restaurants that fir their purpose through chatting using AI chatbot.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check real-time information about restaurants, make reservations, and write reviews. The proposed app uses a collaborative filtering recommendation system, and users receive information on dining out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Through chatbots, users can receive customized services using personal information while minimizing time and space limit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