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racter Display

검색결과 139건 처리시간 0.028초

TV 제어 메뉴의 다국적 언어 인식을 위한 특징 선정 기법 (A Feature Selection Technique for Multi-lingual Character Recognition)

  • 강근석;박현정;김호준
    •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송공학회 2005년도 학술대회
    • /
    • pp.199-202
    • /
    • 2005
  • TV OSD(On Screen Display) 메뉴 자동검증 시스템에서 다국적 언어의 문자 인식은 표준패턴의 구조적 분석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학습패턴 집합의 규모와 특징의 수가 증가함으로 인하여 특징추출 및 인식 과정에서 방대한 계산량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학습 데이터에 포함되는 다량의 특징 집합으로부터 인식에 필요한 효과적인 특징을 선별함으로써 패턴 분류기의 효율성을 개선하기 위한 방법론을 고찰한다. 이를 위하여 수정된 형태의 Adaboost 기법을 제안하고 이를 적용한 실험 결과로부터 그 유용성을 고찰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초기의 특징 집합을 취약한 성능을 갖는 다수의 분류기(classifier)로서 고려하며, 이로부터 반복학습을 통하여 개선된 분류기를 점진적으로 선별해 나가게 된다. 학습의 원리는 주어진 학습패턴 집합에 기초하여 일종의 교사학습(supervised learning)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각 패턴에 할당된 가중치 값은 각 단계에서 산출되는 분류결과에 따라 적응적으로 수정되어 반복학습이 진행됨에 따라 점차 보완적 성능을 갖는 분류기를 선택할 수 있게 한다. 즉, 주어진 각 학습패턴에 대하여 초기에 균등한 가중치가 부여되며, 반복학습의 각 단계에서 적용되는 분류기의 출력을 분석하여 오분류된 패턴의 가중치 분포를 증가시켜 나간다. 본 연구에서는 실제 응용으로서 OSD 메뉴검증 시스템을 대상으로 제안된 이론을 적용하고 그 타당성을 평가한다.

  • PDF

Fabrication of Visible-Light Sensitized ZnTe/ZnSe (Core/Shell) Type-II Quantum Dots

  • Kim, Misung;Bang, Jiwon
    • 한국세라믹학회지
    • /
    • 제55권5호
    • /
    • pp.510-514
    • /
    • 2018
  • Colloidal semiconductor quantum dots (QDs), because of the novel optical and electrical properties that stem from their three-dimensional confinement, have attracted great interest for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in such fields as bio-imaging, display, and opto-electronics. However, many semiconductors that can be exploited for QD applications contain toxic elements. Herein, we synthesized non-toxic ZnTe/ZnSe (core/shell) type-II QDs by pyrolysis method. Because of the unique type-II character of these QDs, their emission can range over an extended wavelength regime, showing photoluminescence (PL) from 450 nm to 580 nm. By optimizing the ZnSe shell growth condition, resulting ZnTe/ZnSe type-II QDs shows PL quantum yield up to ~ 25% with 35 nm PL bandwidth. Using a simple two step cation exchange reaction, we also fabricated ZnTe/ZnSe type-II QDs with absorption extended over the whole visible region. The visible-light sensitized heavy metal free ZnTe/ZnSe type-II QDs can be relevant for opto-electronic applications such as displays, light emitting diodes, and bio-imaging probes.

표시 유형별 한글 표시문 읽기 불편 경험도 조사 (Survey on the Experienced Discomfort in Reading Korean Characters of Various Display Types)

  • 정명철;송영웅;공용구;이인석
    • 산업공학
    • /
    • 제22권4호
    • /
    • pp.312-316
    • /
    • 2009
  •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scomfort when people experience in reading Korean characters of displays. In the survey, 499 respondents (276 males and 223 females), whose ages ranged from 10s to 70s, participated, while 19.6% of the respondents were over 60 years old. The mean visual acuity was 0.93, while it decreased as the age increases from 40s. Approximately 41.4% of the respondents, 98% of them were over 40s,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presbyopia. It was found that the percentage of the respondents who experienced the discomfort much in reading Korean character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age increases from 40s. The respondents over 40s reported different discomfort experiences according to the type of displays. It was found that the respondents thought that the main reason for the discomfort in reading is related to the character size. The survey results showed that the Korean text in the displays should be designed to be easily readable by the main users.

혼유 주유 방지 및 세차 대기 표시기 구현 (An Implementation for Oil Mixing Preventive Device and Time Indicator)

  • 김성진;선우용운;이성현;이정웅;이승대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191-198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주유소에서 초보운전자들이나 박혀있는 고정관념으로 인해 발생하는 혼유 사고를 방지하는 것을 구현하였다. MQ-9 가스 센서를 이용하여 차량 연료용 탱크의 CO 가스 농도를 측정한 후 경유와 휘발유를 감별하여 주유기의 유종과 다를 경우 서보모터를 이용하여 주유기 노즐의 손잡이를 잠가 혼유를 방지할 수 있는 주유기의 혼유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주유를 마치고 세차를 하려는 이용 고객의 시간 절약과 편의성 도모를 하기 위한 세차 시간 표시를 적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구현하였다.

코엔 형제 작품에 나타난 캐릭터와 공간 표현 방법 연구 (A Study on Characters and Space Expression in Coen Brothers' Films)

  • 윤수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7호
    • /
    • pp.635-651
    • /
    • 2022
  • 코엔 형제의 대표작품 중 하나인 <바톤핑크>에 나타난 캐릭터 사용과 공간 표현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이 작품의 난해한 내러티브 해석은 작품에 등장하는 많은 상징적인 표현들을 이해해야 가능하다. 주인공과 함께 등장하는 비현실적인 주변 인물들과 공간, 그리고 소품들은 특별한 중의적 의미를 지니며 작가가 구현한 상징적인 세계를 일관되게 유지하고 있다. 이런 장치들은 이 작품의 독특한 세계를 창조하는 데 기여하고 이후 작품에까지 크게 영향을 끼친다. 현실과 공존하는 인지하기 힘든 세계, 그리고 그 세계를 지배하는 강력한 존재는 코엔 형제의 또 다른 대표작들인 <파고>와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에서도 고스란히 드러난다. 본 연구는 코엔 형제의 대표작품들에 나타난 상징적인 캐릭터와 공간 표현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Forgetting Stories from the Islands, Jeju and Calauit

  • Raymon D. Ritumban
    • 수완나부미
    • /
    • 제16권1호
    • /
    • pp.103-123
    • /
    • 2024
  • The traumatic experiences of people from peripheral islands are susceptible to mnemocide. Such erasure of memory is facilitated by "defensive and complicit forgetting," which, according to Aleida Assmann, leads to "protection of perpetrators." My paper reflects on the vulnerability of traumas from the islands to mnemocide by looking into [1] the massacre of communists and civilians on Jeju Island, South Korea in 1948 as described in Hyun-Kil Un's short story "Dead Silence" (2017; English trans.) and [2] the eviction of residents and indigenous people from Calauit Island, Philippines for the creation of a safari in 1976 as imagined in Annette A. Ferrer's "Pablo and the Zebra" (2017). In "Dead Silence," I direct the attention to how to the execution of the villagers-witnesses to the death of the communist guerillas-is a three-pronged violence: it is a transgression committed against the innocent civilians; an act of "erasing traces to cover up" the military crackdown on the island; and, by leaving the corpses out in the open, a display of impunity. In "Pablo and the Zebra," I second that both residents (i.e., humans and animals) experience post-traumatic stress because of their respective displacements; thus, the tension between them has got to stop. Curiously, while it concludes with a reconciliatory gesture between an elder and a zebra, no character demanded a reparation for their traumatic past per se. Could the latter be symptomatic of a silence that lets such violence "remain concealed for a long time"?

Carbon nanotube field emission display

  • Chil, Won-Bong;Kim, Jong-Min
    • E2M - 전기 전자와 첨단 소재
    • /
    • 제12권7호
    • /
    • pp.7-11
    • /
    • 1999
  • Fully sealed field emission display in size of 4.5 inch has been fabricated using single-wall carbon nanotubes-organic vehicle com-posite. The fabricated display were fully scalable at low temperature below 415$^{\circ}C$ and CNTs were vertically aligned using paste squeeze and surface rubbing techniques. The turn-on fields of 1V/${\mu}{\textrm}{m}$ and field emis-sion current of 1.5mA at 3V/${\mu}{\textrm}{m}$ (J=90${\mu}{\textrm}{m}$/$\textrm{cm}^2$)were observed. Brightness of 1800cd/$m^2$ at 3.7V/${\mu}{\textrm}{m}$ was observed on the entire area of 4.5-inch panel from the green phosphor-ITO glass. The fluctuation of the current was found to be about 7% over a 4.5-inch cath-ode area. This reliable result enables us to produce large area full-color flat panel dis-play in the near future. Carbon nanotubes (CNTs) have attracted much attention because of their unique elec-trical properties and their potential applica-tions [1, 2]. Large aspect ratio of CNTs together with high chemical stability. ther-mal conductivity, and high mechanical strength are advantageous for applications to the field emitter [3]. Several results have been reported on the field emissions from multi-walled nanotubes (MWNTs) and single-walled nanotubes (SWNTs) grown from arc discharge [4, 5]. De Heer et al. have reported the field emission from nan-otubes aligned by the suspension-filtering method. This approach is too difficult to be fully adopted in integration process. Recently, there have been efforts to make applications to field emission devices using nanotubes. Saito et al. demonstrated a car-bon nanotube-based lamp, which was oper-ated at high voltage (10KV) [8]. Aproto-type diode structure was tested by the size of 100mm $\times$ 10mm in vacuum chamber [9]. the difficulties arise from the arrangement of vertically aligned nanotubes after the growth. Recently vertically aligned carbon nanotubes have been synthesized using plasma-enhanced chemical vapor deposition(CVD) [6, 7]. Yet, control of a large area synthesis is still not easily accessible with such approaches. Here we report integra-tion processes of fully sealed 4.5-inch CNT-field emission displays (FEDs). Low turn-on voltage with high brightness, and stabili-ty clearly demonstrate the potential applica-bility of carbon nanotubes to full color dis-plays in near future. For flat panel display in a large area, car-bon nanotubes-based field emitters were fabricated by using nanotubes-organic vehi-cles. The purified SWNTs, which were syn-thesized by dc arc discharge, were dispersed in iso propyl alcohol, and then mixed with on organic binder. The paste of well-dis-persed carbon nanotubes was squeezed onto the metal-patterned sodalime glass throuhg the metal mesh of 20${\mu}{\textrm}{m}$ in size and subse-quently heat-treated in order to remove the organic binder. The insulating spacers in thickness of 200${\mu}{\textrm}{m}$ are inserted between the lower and upper glasses. The Y\ulcornerO\ulcornerS:Eu, ZnS:Cu, Al, and ZnS:Ag, Cl, phosphors are electrically deposited on the upper glass for red, green, and blue colors, respectively. The typical sizes of each phosphor are 2~3 micron. The assembled structure was sealed in an atmosphere of highly purified Ar gas by means of a glass frit. The display plate was evacuated down to the pressure level of 1$\times$10\ulcorner Torr. Three non-evaporable getters of Ti-Zr-V-Fe were activated during the final heat-exhausting procedure. Finally, the active area of 4.5-inch panel with fully sealed carbon nanotubes was pro-duced. Emission currents were character-ized by the DC-mode and pulse-modulating mode at the voltage up to 800 volts. The brightness of field emission was measured by the Luminance calorimeter (BM-7, Topcon).

  • PDF

무용의 스토리텔링 구조연구 (Structural Study on Dance Story-Telling)

  • 김기화;백현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1호
    • /
    • pp.265-274
    • /
    • 2012
  • 본 연구는 무용예술의 신체적 언어가 서사적 담론체계로서 스토리텔링의 담론방식을 수용할 수 있는가를 연구목적으로 하고 있다. 무용은 무용수와 무대미술의 관계형성을 통해서 비유 은유 상징 등의 다양한 문학적 장치들로 담론의 체계를 형성할 수 있다. 스토리텔링의 개념에서 무용의 서사적 구성요소를 발현하는가에 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사물적 요소로서 배경은 무대미술과 무용수의 행위적 요소들에 의해서 시공간적 배경이 제시가능하며, 인물설정도 무용수는 그 자체가 1인칭 화자인 동시에 평면적인 인물성격 묘사가 가능하다. 무용의 사건적 요소는 무대미술의 요소들이 1차적인 사건적 동기의 배경을 제시하고, 무용수의 다양한 인간관계로서 독무, 듀엣, 군무의 상관관계를 통해서 갈등관계가 형성되고, 사건을 전개하는 과정으로서 플롯은 무용수의 마임적 행위, 제스처, 얼굴표정 등의 행위소에 의해서 이끌어간다. 무용이 서사를 발현하는 요소는 무용 예술 그 자체가 발현체가 되며, 서사의 전이구조는 무용언어가 갖는 고유의 문법이다. 안무가는 무용의 서사의 담론으로서 인물설정, 인물의 행위, 시공간적 배경을 연출하는 무대미술의 요소들, 플롯의 전개 등으로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설득력 있는 무용텍스트를 구성해야 한다.

가상현실 수업시뮬레이션에서 가상학생과의 정서적 상호작용이 사용자의 시선응시 및 가상실재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Interaction with Virtual Student on the User's Eye-fixation and Virtual Presence in the Teaching Simulation)

  • 류지헌;김국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0권2호
    • /
    • pp.581-593
    • /
    • 2020
  •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시뮬레이션에서 아바타에 대한 사용자의 주의집중이 어떻게 일어나는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주의집중 정도를 알기 위해서 시선추적 기법을 적용했으며, 이를 통하여 사용자가 아바타의 어느 부분에 초점을 두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수업시뮬레이션에서 아바타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응시 시간과 가상실재감을 분석했다. 실험참가자는 대학생 45명(여학생=21명, 남학생=24명)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가상현실 기반의 수업시뮬레이션이 사용되었으며, 교권침해에 대한 시나리오들이 적용되었다. 종속변수는 아바타에 대한 사용자의 시선응시시간이며 3개의 관심영역(AOI)에 대한 차이분석을 실시했다. 또한 실험조건에 대한 사용자의 가상실재감(공간실재감, 몰두감, 사실성)을 측정했다. 실험참가자는 두 가지 시나리오를 모두 경험했으며, 반복측정에 의한 다변량분산분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시나리오와 AOI에 의한 유의미한 상호작용이 있었고, 시나리오와 AOI에 따른 주효과도 유의미한 차이가 보였다. 시나리오의 유형과 상관없이 사용자는 언제나 아바타의 얼굴표정에 상당히 많은 시선응시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량용 HUD의 인지적 감성 평가 -주행정보의 색채 시인성을 중심으로- (Vehicle HUD's cognitive emotional evaluation - Focused on color visibility of driving information)

  • 최원정;이혜미;이설희;박영경
    • 감성과학
    • /
    • 제16권2호
    • /
    • pp.195-206
    • /
    • 2013
  • 교통사고의 주된 원인은 자동차 주행 중 운전자의 시각적 주의 분산이다. 본 연구에서는 운전자의 시선을 도로에서 벗어나지 않게 하면서 주행정보를 제공하는 HUD(Head Up Display)시스템을 이용해서 자동차 앞 유리(windshield)에 투영된 주행정보의 색채감성을 평가하였다. 주행정보는 전방시선 $0^{\circ}$에서 약 하방 $9^{\circ}$에 위치하도록 설치하였고, 실험실의 형광등, 5개의 LED 조명등과 TV출력 영상을 통해 25[lux]의 야간 운전 시 조도 환경, 100,000[lux]의 주간 운전 시 조도 환경을 재현하였다. 먼셀 표색계의 기본 5색(R, Y, G, B, P)과 신호등의 색 YR, W 총 7색의 단일 색과 W를 제외한 6개 글자에 각각 흰색 글자 외곽선, 회색 글자 외곽선을 주어 외곽선 있는 글자 12개를 만들었다. 총 19개의 실험 자극물을 주간과 야간 환경에서 각각 주행정보의 컬러 시인성, 피로도, 선호도, 방해 정도를 평가하였다. 실험결과는 시인성이 유의미하게 나왔는데, 첫째, 주간에서는 Y와 G 색상같이 색상 자체의 휘도가 높은 경우 시인성이 높았다. 둘째, 텍스트의 외곽선이 있는 경우, 외곽선이 배경색으로 작용하여 색상과의 휘도대비를 일으켜 시인성에 영향을 준다. 셋째, 외곽선이 없는 경우에는 차량 전면 유리의 휘도가 배경색 휘도로 작용하여 글자의 휘도와 큰 대비를 이룰 때 시인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운전자의 주시야를 고려해 전방에 제공되는 가상의 영상, HUD의 상용화를 위해서는 주행정보의 색채시인성이 중요한데 이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배경과 글자의 휘도대비를 고려해볼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