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Changran Jeotgal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16초

미생물을 이용한 창란젓갈의 숙성기간 단축 (Shortening of Fermentation Period of Changran-Jeotgal Using Microorganism)

  • 윤지혜;강지희;박미주;김영주;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327-332
    • /
    • 2003
  • We Isolated strains of Micrococcus sp., Pseudomonas sp., Leuconostoc sp. which have protease activity in the Changran-Jeotgal. These microbes were added in the Changran-Jeotgal for the starters during fermentation to short fermentation period to check PH, VBN, $NH_2-N,$ free amino acids, and sensory evaluation. Microbiological changes were also examined for microorganism-added Changran-Jeotgal and the control. Viable cell counts in the microorganism-added Changran-Jeotgal increased from $7.1\times10^5\;CFU/g\;to\;7.5\times10^8\;CFU/g$ on 15th day, The cell counts in the control increased from $4.1\times10^5\;CFU/g\;to\;8.1\times10^8\;CFU/g$ on 30th day. VBN also increased in both. Increasing rates of $NH_2-N$ and free amino acids in the microorganism-added Changran-Jeotgal were faster than those in the control. Sensory evaluation showed that the microorganism-added Changran-Jeotgal was most favorable on 20th day. These results showed that fermentation period was shortened about 10 day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HACCP in Changran Jeotgal

  • Park Mi-Yeon;Choi Seung-Tae;Chang Dong-Suc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48-53
    • /
    • 2002
  • The HACCP (hazard analysis critical control point) concept becomes an important aspect of Good Manufacturing Practices (GMP) in safe food production. The HACCP plan was developed with food safety objective. The authors already carried out hazards analysis on Changran Jeotgal manufacturing process in a previous report. In this study we developed a HACCP plan o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Changran Jeotgal. We could decide two CCPs those were salt concentration and eliminations of foreign materials before packaging. Foreign materials should be certainly checked out with laser detector just before packaging. Salt should be maintained more than $8\%$ to inhibit pathogenic bacteria in end product. On the Jeotgal process free water is removed after salting and Jeotgal is seasoned with several subsidiary materials such as com syrup. In result end products have $8\%$ salt with water activity 0.82. Most bacteria are inhibited but some can live in this condition. Materials on the working may be contaminate by pathogens, chemicals or physical hazards. It will be decreased by SSOP (standard sanitary operating program). The SSOP needed in Jeotgal plants is nearly same as other general food manufacturing plants but essential to fulfill HACCP program.

양념 창란젓갈 제조시 감마선 조사기술 적용: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특성 (Application of Gamma Irradiation on Manufacturing Changran Jeotgal (aged and seasoned intestine of Alaska pollack) : Microbiolog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조철훈;김동호;이원동;이재진;변명우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73-678
    • /
    • 2003
  • 양념 창란젓갈 제조시 감마선의 산업적 적용을 위하여 시판품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제조된 양념 창란젓갈을 0, 2.5, 5.0 및 10 kGy로 감마선 조사하고 미생물학적 및 관능적 품질을 관찰하였다. 또한 고춧가루를 10 kGy의 감마선 조사로 살균한 후 시판품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양념 창란젓갈의 품질특성도 비교하였다. 시판 고춧가루는 이미 3.9$\times$$10^{6}$ CFU/$m\ell$의 호기성 미생물수를 나타내었으며 10kGy의 감마선 조사로 약 4 log cycle의 감균효과를 볼 수 있었다. 양념 창란젓갈 제조 후 2.5, 5.0, 10 kGy 감마선 조사는 12주동안 1$0^{\circ}C$에서 저장 후 각각 약 3,6,7 log cycle의 감균효과를 가져왔으며, 고춧가루를 10 kGy로 조사하여 제조된 양념 창란젓갈도 약 2 log cycle의 감균효과를 가져왔다. 관능검사 결과 2.5 및 5kGy 조사구는 종합적 기호도에서 비조사구와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제조된 양념젓갈에 2.5kGy의 감마선 조사는 양념 창란젓갈의 유통안전성을 개선시키는데 효과적이며 또한 고춧가루에 감마선 조사도 위생성 향상 측면에서 상당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란젓갈 제조의 신기술 개 발 3. 조미공정의 개량 및 품질평가 (Development of New Manufacturing Process for Changran-Jeotgal 3. Improvement of Seasoning Process and Quality Estimation)

  • 이원동;이재진;장동석;윤지혜;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9-124
    • /
    • 2001
  • 창란젓갈의 조미공정에서 효율적인 수분조정과 물엿에 의한 맛의 이질감을 해결하기 위하여 물엿을 먼저 첨가하여 교반당장을 한 후 부재료를 첨가하는 방법으로 조미공정을 개선하였으며 그 최적화 방안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물엿을 첨가하여 당장을 할 경우 첨가농도 $20\%$, 처리온도 $20^{\circ}C$, 교반속도 10rpm으로 4시간 교반하는 것이 최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조건으로 당장을 할 경우 4시간만에 당농도가 평형에 도달하여 기존의 정치당장에서 6시간 이상 소요되는 것에 비하여 당장시간을 2시간 이상 단축할 수 있었다. 한편 개선된 창란젓갈 신제조 기법과 재래식제조 방법의 각 제조공정별 제품의 이화학적 및 미생물학적 품질평가 결과, 공정전반에 걸쳐 염도나 pH, VBN값, 조지방, 조단백 등의 성분들에 대하여는 두 방법이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으나, $A_{w}$와 수분함량에 대해서는 뚜렷한 차이를 나타내었는데 재래식 제조법에 의한 완제품의 $A_{w}$가 0.90인데 비해 공정을 개선한 경우 완제품의 $A_{w}$는 0.82로 감소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 제품을 대상으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개선된 공정을 이용하여 제조한 제품이 일반 소비자에게 (부산 지역의 40대 이상을 제외하고는) 종합적인 수용도가 높았으며 연령이 낮을수록 관능평가의 결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창란젓갈의 포장에 관한 연구 -1. 병포장 젓갈의 품질유지기한- (A Study in Packing of Changran-Jeotgal -1. Shelf-life of a Jar Packing in Changran-Jeotgai-)

  • 윤지혜;이원동;장동석;강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14
    • /
    • 2002
  • 신제조기법과 재래식방법으로 제조된 창란젓갈을 각각 병포장하여 10, 20, $30^{\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으며, 이들을 시험구와 대조구라 하였다. 각 온도별 압력을 측정한 결과,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저장 중 압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해 저장 중의 압력증가 속도가 완만하였다. 저장 초기에는 온도에 관계없이 head space의 $CO_2$ 발생 속도는 크게 증가하고 상대적으로 0,는 급격히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기간에 따른 총 $CO_2$의 변화는 온도가 높을수록 초기 발생속도가 컸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시험구는 증가속도가 낮게 나타났다. 다만, $10^{\circ}C$에서는 20일 이후 총 CO, 농도가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창란젓갈 저장 중 온도가 높을수록 pH의 저하 속도가 빨랐으며, 시험구는 대조구보다 pH 변화가 적었다. 휘발성염기질소 (VBN)의 경우 각 온도에서 시험구가 대조구보다 VBN이 낮았으며, 그 증가율도 낮았다. 생균수변화에 있어서도 시험구는 대조구보다 생균수 증가 속도가 완만하였다. 창란젓갈의 저장 중 색도는 온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L값이 증가하였으며, 수분활성도가 낮은 시험구$(A_w 0.82)$가 대조구 $(A_w 0.90)$보다 동일조건에서 L값이 낮았다. 창란젓갈을 병포장하여 온도별로 저장하면서 관능검사를 실시한 결과 품질유지기한이 대조구와 시험구는 $10^{\circ}C$에서 각각 40일과 70일, $20^{\circ}C$에서 8일과 16일, $30^{\circ}C$에서는 2일과 4일로 결정되었다. 따라서 병포장에서 $A_w$가 낮은 시험구는 $A_w$가 높은 대조구보다 품질유지기한이 10, 20, $30^{\circ}C$에서 각각 30일, 8일, 2일이 연장되었다. 창란젓갈 저장시 품질측정변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병포장에서는 용기내 압력, pH, L값, VBN, 관능검사 등이 상관관계가 높아 젓갈 포장에서 품질지표항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창란젓갈 제조의 신기술 개발 1. 염장조건의 최적화 (Development of New Manufacturing Process for Changran-Jeotgal 1. Optimization of Salting Process)

  • 이원동;장동석;강선모;윤지혜;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09-113
    • /
    • 2001
  • 재래식 창란 젓갈은 정치상태로 제조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염장 및 숙성 시간이 오래 걸리며, 또한 높은 수분함량으로 변패가 빠른 단점 등이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제조공정 중에 교반염장 과정 및 염지 유출수 제거과정을 도입하여 염장조건의 최적화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원료창란에 $12\%$의 식염을 첨가하여 $20^{\circ}C$에서 10rpm으로 교반한 경우 염장 2시간만에 목표염도인 $11\%$에 도달하였으며 이는 정치염장의 경우 6시간이 소요되는 것에 비교하면 염장시간을 4시간 단축시킬 수 있었다. 또한 교반염장 후 2시간째에 유출수를 제거한 경우의 Aw는 0.88이었으며, 반면 유출수를 제거하지 않은 창란의 Aw는 0.94인 것으로 나타나 높은 수분함량 때문에 나타나는 품질변화 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선상에서 처리한 창란젓갈 원료에 관한 연구 (Quality Analysis of Viscera of Alaska Pollack Treated on Vessel for Raw Materials of Changran-Jeotgal)

  • 이원동;장동석;고병호;이명숙;정은탁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271-276
    • /
    • 1997
  • 어획한 명태를 선상에서 가공할 때 부산물로 생산되는 선상창란을 대상으로 선도에 따른 제품의 관능검사와 제조과정 중의 수율을 조사함으로서 산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원료창란의 VBN판정기준을 설정하고 아울러 초기 VBN 값이 각기 다른 원료창란으로부터 젓갈숙성중의 VBN, pH, 그리고 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선상에서 처리한 원료창란은 창란젓갈 원료가 되는 위와 창자의 비율이 $72\%$로서 시료명태 내장중 위와 창자의 비율인 $18.5\%$보다 약 4배정도 높았다. 2. 동일한 시료명태에서 백색육과 내장의 VBN을 조사한 결과, 내장의 VBN이 백색육보다 최소 2배에서 최대 14.2배였고, 명태육과 내장의 선도 사이에는 일정한 상관 관계가 없었다. 3. 원료창란의 VBN이 $70{\pm}2mg\%$ 이하인 경우 위와 창자만을 정선한 수율은 $52\%$ 이상이었고, 제품의 관능 검사 결과도 양호하였다. 그러나$ VBN\;80{\pm}2mg\%$ 이상인 경우 정선창란의 수율은 $43\%$ 이하였으며 제품의 관능검사 결과도 불량하여 유통상품으로서 가치가 적었다. 4. 원료창란의 $VNB\;35{\pm}2mg\%$$70{\pm}2mg\%$인 시료를 60일 동안 숙성시키면서 VBN, pH 및 생균수 변화를 조사한 결과, VBN은 $50.06{\pm}2mg\%,\;87.71{\pm}2mg\%로서 두시료 모두 숙성초기보다 각각 $15.06mg{\%},\;17.51mg{\%}$ 증가하였으며, pH는 숙성초기에 7.12와 7.44이던 것이 각각 6.22, 6.15로 감소하였고, 생균수는 초기균수 $3.4{\times}10^3\;CFU/g$$3.4{\times}10^4\;CFU/g$에서 각각 $2.8{\times}10^4\;CFU/g$$9.8{\times}10^5\;CFU/g$$1\~1.5-log-unit$가 증가하였다.

  • PDF

창란젓갈의 포장에 관한 연구 -2. 파우치 포장 젓갈의 품질유지기한- (A Study in Packing of Changran-Jeotgal -2. Shelf-life a Plastic Pouch racking of Changran-Jeotgal-)

  • 윤지혜;이원동;장동석;강지희;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5-20
    • /
    • 2002
  • 신제조기법과 재래식방법으로 제조된 창란젓갈을 시험구와 대조구로하여 이들을 파우치 포장하여 각각 10, 20 및 $30^{\circ}C$에 저장하면서 품질변화를 조사하였다. 창란젓갈의 파우치포장 low density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terephthalate/polyethylene/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T), polyethylene/nylon/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PE/Ny)에서 시험구와 대조구 모두 저장온도가 높을수록 파우치 포장의 $CO_2$, 발생과 부피 팽창속도가 가속화되었으며, 부피팽창 속도는 PE/Ny, PET, PE 순으로 빨랐다. 한편, pH, L값, VBN의 변화속도는 PE가 가장 빨랐으며 그 다음이 PET, PE/Ny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저장 전 구간에 있어서 시험구가 대조구에 비하여 변화속도가 완만하였다. 포장재별로 각 온도에서 저장한 창란젓갈의 생균수변화를 조사한 결과 온도가 높을수록, 대조구가 시험구보다 생균수 증가가 빨랐다. 일반적으로 젓갈 포장에 사용되고 있는 PE의 경우 PET나 PE/Ny에 비하여 필름의 가스투과성이 높아 호기성 미생물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PET나 PE/Ny 파우치 포장으로 대체되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창란젓갈 파우치포장의 관능검사에서 상품성이 유지되는 품질기준을 6.0 이상으로하여 품질유지기한을 설정하였을 때, $10^{\circ}C$에서PE, PET, PE/Ny 포장의 품질유지 기한은 대조구가 20일, 40일, 40일인데 비하여 시험구는 40일, 50일, 60일로 나타나 10$\~$20일 정도 연장되었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창란젓갈 저장시 품질측정변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조사한 결과 파우치포장에서는 파우치의 부피, pH, L값, 휘발성염기질소 (VBN), 관능검사 등이 상관관계가 높아 젓갈 포장에서 품질지표항목으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창란젓갈 제조의 신기술 개발 2. 숙성조건의 최적화 (Development of New Manufacturing Process for Changran-Jeotgal 2. Optimization of Fermentation Process)

  • 이원동;이재진;장동석;윤지혜;이명숙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114-118
    • /
    • 2001
  • 저염창란젓갈 제조 공정에 시 숙성공정에 교반과정을 도입하여 숙성기간의 단축과 제품의 균일화를 시도하였다. 먼저 시험구의 경우에는 원료창란을 연속교반 염장한 후 생성된 유출수를 제거하고 $0\pm2^{\circ}C$에서 4시간마다 10rpm으로 10분간 교반숙성하였으며, 대조구의 경우는 정치염장한 후 유출수를 포함하여 $0\pm2^{\circ}C$에서 정치숙성하였다. 60일간 숙성시키면서 이들의 품질변화를 측정한 결과 숙성일수가 경과할수록 pH는 낮아졌으며, 숙성 60일째에는 초기 pH 7.0에서 $6.2\~6.3$ 정도로 떨어졌으며 시험구가 대조구 보다 대체로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시험구의 경우 숙성 30일째에Brix는 27.4, VBN은 $54.3 mg\%$ , 아미노태질소는 $87.9 mg\%$를 나타내었는데 비하여 대조구는 경우 숙성 50일째 Brix는 27.1, VBN은 $57.8 mg\%$, 아미노태질소는 $96.6mg\%$를 나타내었다. 숙성 중 미생물 변화는 대조구의 경우 50일째 $1.9\times10^6CFU/g$, 시험구의 경우 30일째 $2.6\times10^6CFU/g$으로 최대로 증가한 후 서서히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관능검사 평가 결과도 대조구의 경우 50일째, 시험구의 경우 30일째에 최고값을 나타내어 창란젓갈의 최적 숙성기간은 대조구의 경우 50일, 시험구의 경우 30일로, 교반숙성 시키는 경우가 정치숙성에 비해 20일정도 공정일수를 단축할 수 있었다.

  • PDF

Safety Inspection on Jeotgal, Salt-Fermented Sea Food

  • Park Mi-Yeon;Lee Myung-Suk;Chang Dong-Suck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43-47
    • /
    • 2002
  • Jeotgal, salt- fermented sea food, is a kind of Korean traditional foods. We carried out hazard analysis on Changran (stomach and intestine of Alaska pollack) Jeotgal and squid Jeotgal through the whole processing procedures at H Co. located at Guryongpo from April 2000 to September 2001. During this studying period, we educated employee regularly and analyzed hazards on the whole process and then could conclude that pathogenic bacteria and metal particles were most important hazards in Jeotgal. Metal particles in end-product will be eliminated by laser detector before packaging. But bacteria must thoroughly manage through the whole process. Bacteriological qualities of the end products were much improved after education for the employees and by effort for HACC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program introduction. Pathogenic bacteria such as pathogenic Escherichia coli, Salmonella spp., coagulase positive Staphylococcus aureus and Vibrio parahaemolyticus were not detected from not only raw materials but also end products. The falling bacteria in the places such as thawing area, packaging area, seasoning area, fermenting room, subsidiary materials room and storage room were less than 30 CFU per plate for 30 minutes during working time. But those were increased more than 10 times during the resting time. It means that special measures are needed during the break time such as lunch time or exchanging working teams.